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뉴스
"
끝
"(으)로 총 3,191건 검색되었습니다.
살금살금 문 열자마자..."삑! 침입입니다" 도둑·화재 잡는 소리센서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9.03
비슷한 나지막한 소리가 0.5초씩 2~3초 간격으로 났다. 박 연구원이 “오랜 시간 실험한
끝
에 최적화한 주파수를 갖는 소리”라고 설명했다. 신경쓰지 않으면 잘 들리지 않는 작은 소리였다. 움직이지 말라는 주의를 듣고 동작을 멈춘 지 수 초 뒤. 안 연구원이 손을 한번 휘젓자 모니터에 침입을 ... ...
[프리미엄 리포트] 고추 vs. 마라…韓中 매운맛 대결
과학동아
l
2019.09.01
범위로 자극이 확산됐다. 구강에서 산쇼올에 의한 자극이 가장 먼저 나타나는 부위는 혀
끝
과 혀 측면이었고, 자극이 가장 오랫동안 지속되는 부위는 입천장과 입술이었다. 마라탕을 먹으면 혀에서 먼저 매운맛을 느끼기 시작해 얼얼한 느낌이 입천장과 입술에 남아 있다가 사라지는 것이다. 어떤 ... ...
[강석기의 과학카페]진핵생물 진화의 열쇠 쥔 고세균, 배양에 성공하다
2019.08.27
15일자 기사를 보고 눈이 번뜩 뜨였다. 일본 과학자들이 무려 12년에 걸친 각고의 노력
끝
에 아스가드(Asgard) 고세균을 실험실에서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는 내용이다. 미생물 한 종을 배양한 게 뭐 그리 대단한 성과냐고 의아해할 독자도 있겠지만 이게 보통 미생물이 아니다. 어쩌면 생명과학의 ... ...
인공 전자피부도 찔리면 “아파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초고속 촉각센서를 개발해 감촉을 느끼는 인공 전자피부를 만들었다. 사진 속 검지
끝
에 촉각센서가 붙어있다. 이 연구팀은 올해 2월 원래 길이의 20배까지 늘어는 재생 가능 인공피부 재료도 만들었다. 싱가포르국립대 제공 로봇의 팔을 간질이려고 깃털을 가져가자 닿기도 전에 움찔 놀란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헬레니즘 시대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해야 할까. 지구-태양 사이의 거리를 아니까 지구에서 태양의 위-아래, 또는 좌-우
끝
을 바라보는 각도를 재면 된다. 놀랍게도 지구에서 태양을 바라보는 겉보기 크기는 달의 겉보기 크기와 똑같아서 그 각도는 약 0.5도이다. 달과 태양의 겉보기 크기가 같기 때문에 우리는 개기일식이라는 놀라운 ... ...
세포 노화 관여하는 '라민' 단백질 구조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만들고 사량체 양쪽
끝
이 악어클립 같은 집게 구조가 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사량체
끝
의 집게가 주변의 다른 사량체 집게를 서로 맞물면서 기다란 구조체를 만들어나간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다. 연구팀은 “기존에 알려진 자가조립된 라민 구조를 완벽히 설명하는 원리”라고 말했다. 하 교수는 ... ...
나비처럼 우아한 날갯짓 가능한 인공근육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보니 진짜 나비가 아니다. 나비 날개를 단 작은 기계였다. 나비뿐만이 아니다. 가지
끝
에 매달린 나뭇잎이 바람에 살랑이는 동작, 꽃이 탐스런 봉우리를 활짝 여는 동작이 기계의 움직임으로 부드럽게 재현됐다. 이렇게 자연계에서는 흔하지만 로봇이 내기는 어려웠던 가볍고 부드러운 움직임을 ... ...
고생물학자들 "세계 최대 진주 공룡 발자국 화석지 현지 보존해야" 성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8.21
전문가들마저 협조적이지 않아 상황이 매우 어렵다”며 “현지보존이 최선인 만큼
끝
까지 설득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문화재청은 22일 전문가를 초청해 두 번째 보존조치 평가회의를 할 계획이다. 평가회의 결과는 9~10월경 문화재위원회 안건으로 상정될 예정이다. 현재 ... ...
허공에 둥둥…계란 공중부양에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어느 날 모임에 나간 콜럼버스는 평소 자신을 시기하던 사람들에게 달걀을 한 쪽
끝
으로 세울 수 있는 지 물었다. 도전에 나선 이들 가운데는 성공한 이가 없었다. 그러자 콜럼버스는 달걀의 한쪽을 살짝 까서 깨진 부분을 바닥에 대고 달걀을 세워 보여주었다. 발상의 전환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 ...
"日의 소재 공격 맞서 中企에 기술이전 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nm는 10억분의 1m)에 길이가 1만 nm인 가늘고 긴 나노 소재다. 이 교수는 시행착오
끝
에 탄소나노튜브를 얇은 막으로 만든 뒤 잘라 그 단면을 이용하는 독창적인 방법으로 이 미세한 튜브를 좁은 지역에 마치 아파트단지처럼 고밀도로 세우는 데 성공했다. 여기에 그래핀을 이용해 전극을 붙이고,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