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 드루와! 다트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특히 점수를 분배하는 방식은 다트의 규칙과 재미에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학자들이 여전히 고민하는 문제예요. 현재 사용하는 다트 보드는 부채꼴 모양의 20개 영역에 1~20점까지 점수가 있어요. 가장 높은 20점을 12시 방향에 놓고, 점수가 높은 영역 주변에 낮은 점수를 배치해 높은 점수를 ...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북한 지역 백두산을 네 차례나 오르며 북한 과학자들과 공동으로 백두산을 연구해온 화산학자다. 2016년에는 북한 측 백두산 지하에 용융 상태의 마그마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4월 15일자에 발표했다. 오펜하이머 교수는 “(북한의 6차 핵실험 직후) 전 세계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전날, 기자가 사전에 보낸 질의서에 답변을 일일이 달아 e메일로 회신해 준 세심한 과학자로 기억된다. 물론 기자는 인터뷰에서 하나라도 더 물어보고 싶은 마음에 추가 질문을 만드느라 밤늦게까지 노트북을 붙들고 있긴 했지만 말이다. LMB는 케임브리지 외곽에 자리 잡고 있다. 당시 8월이었는데도 ... ...
- [Photo] 위대한 후원자의 이름 딴 스미스소나이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경첩처럼 연결된 것으로 보인다. 자연은 오랜 세월에 걸쳐 신비한 광물을 창조한다. 지질학자라고해도 광물이 겪은 모든 현상을 세세히 밝혀낼 수는 없다. 때로는 상상과 유추의 힘을 빌린다. 그게 바로 자연의 신비가 아닐까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등 올바른 정보를 선별하기 위한 ‘꿀팁’을 담았다. 코스모스’로 유명한 미국의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1995년 출간한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에서 “과학은 단순히 지식의 집합이 아니다. 과학은 생각하는 방법이다”라고 썼다. 그간 비합리적인 결정을 해오진 않았는지 점검할 수 있는 기회다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생각합니다. 즉 외판원 문제를 푸는 효율적인 알고리듬은 없다는 거지요. 따라서 학자들은 근삿값을 찾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정답은 아니더라도 정답의 몇 배 이내의 값을 알려주는 알고리듬을 찾는 겁니다. 적당히 좋은 답에 만족하는 대신 계산을 훨씬 빠르게 할 수 있다면 그게 더 이득일 ... ...
- Part 3. 원더우먼 굴복의 팔찌, 천의 얼굴 플라스마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윌리엄 몰튼 마스턴은 실제로 혈압을 측정해 거짓말을 탐지하는 기기를 발명한 심리학자다. 영화 속 진실의 올가미는 묶인 상대를 무력화할 뿐 아니라, 상대가 환각이나 기억상실 상태일 때 치유하는 효과도 있다. 대장장이 신 헤파이토스가 대지의 신 가이아의 황금 벨트를 소재로 만들었다는 ... ...
- [Future] ‘부정맥 모음곡’으로 부정맥 조기 진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to have the musical sensibilities to know the right questions to ask. 과동 : 교수님처럼 ‘음악 하는 과학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츄 교수 : 먼저 과학과 수학, 그리고 음악을 모두 열심히 공부하세요. 음악과 과학을 융합하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테크닉도 중요하지만, 무엇을 표현 ...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9월 15일(한국시간) 제27회 ‘이그노벨상(Ig nobel Prize)’수상자가 발표됐다. 이그노벨상은 과학유머잡지 ‘황당무계 연구 연보’에서 선정하는 괴짜상으로, ‘사람들을 ... “지금까지 제가 흥미를 느끼는 것들을 해왔고, 앞으로도 그럴 거예요. 언젠간 ‘즐거운 과학자’가 될 수 있겠죠 ...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기적 유전자’의 주된 내용은 도킨스가 창조했다기 보다는 당시 신(新)다윈주의 학자들의 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는데 (중략) 도킨스만의 탁월한 글솜씨로 누구보다도 독자들과의 소통에 성공했다”고 평했다. 장대익 서울대 교수는 에드워드 윌슨과의 인터뷰(중앙일보 2013년 11월 30일자)에서 ...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