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궁극적으로는 날치처럼 바다 속을 헤엄치다가 필요할 때
하늘
을 나는 비행체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최해천 교수의 포부다.[자동차의 저속과 고속에서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내려갔다 들리는 PMD의 성능을 실험하고 있다.][날치의 앞지느러미 단면이다. 물체를 ... ...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대해 읽고 흥미를 느꼈다. 그는 홀로 집 뒤뜰에 지름 9m인 접시형 전파망원경을 만든 뒤
하늘
을 훑어 1939년 전파지도를 만들었다. 전파의 세기를 등고선으로 나타낸 그의 지도를 보면 우리은하의 중심과 백조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에서 강력한 전파가 나옴을 알 수 있다. 훗날 카시오페이아 자리의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ICBM이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의 숫자를 지속적으로 늘려 나가고 있다. 한반도
하늘
지키는 현무 시리즈우리나라는 어떨까. 최근 한국군은 근거리 탄도탄 ‘현무’를 비롯해 신형 탄도탄 ‘현무2(최대사거리 300km)’와 사정거리 1500km 수준의 순항미사일 ‘현무3’를 실전에 배치했다. 군은 휴전선 ... ...
구름vs안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봤을 때 산에 걸려 있던 구름이 산 중턱에선 안개로 보였던 적 있나요? 사실은
하늘
에 높이 떠 있으면 구름, 땅까지 내려와 있으면 안개라고 불러요. 수증기가 높은 데까지 올라가 얼어붙는 구름과 달리, 안개는 아주 맑은 날 밤새 땅이 차가워지면 수증기가 물방울로 엉겨 붙어서 생겨요. 그래서 하얀 ... ...
비상~! 보이지 않는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알아낼 거야. 미세먼지의 습격을 막는데 큰 도 움이 될 거래. 아참, 나쁜 줄만 알았던
하늘
에 떠 있는 미세먼지가 태양 복사열을 반사시켜 지구 온난화를 막는 역할을 하기도 한대. 국내연구진이 몽골에 설치한 황사감시기상탑▶ 잠깐! 고깃집 연기에도 미세먼지가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이준복 ... ...
오징어는
하늘
을 나는 게 더 쉽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몸에 물을 가뒀다가 내뿜는 힘으로 앞으로 쭉 나아가는 오징어는 마치 우주로 솟구치는 로켓처럼 빠르게 헤엄쳐요. 작용과 반작용의 원리로 한 번에 먼 거리를 갈 수 있답니다. 그런데 오징어가 위급한 상황에서는 물이 아닌 공기 중에서 날기도 한다는 사실이 확인됐어요.캐나다 달후시대학교 해 ... ...
수학으로 핑퐁! 코리아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공의 0°~90° 사이를 공략하면 된다. 공과 탁구 라켓의 접점이 90°를 벗어나게 되면, 공이
하늘
로 뜨거나 회전 방향이 바뀌어 공을 원하는 위치로 보내기 어렵다.*포핸드 라켓을 쥔 팔의 방향에서 앞쪽으로 공을 치는 방법.둘 타구의 크기는 정육면체로 정한다!탁구는 반응 속도가 빠른 운동이기 ... ...
토론하고 설득하고 ‘꿀벌은 정치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그런데 이상한 광경이 보였다. 작은 벌통 입구에서 일벌이 나와 하얀 뭔가를 들고
하늘
로 날아올랐다. 두세 마리가 힘을 합쳐 들기도 했다. 운반하고 있는 건 다름아닌 키우던 애벌레였다.“병든 애벌레를 버리려는 거예요.”생각해 보면 놀라운 행동이었다. 벌집 전체에 병이 퍼지는 일을 막기 ... ...
구조역학이 만든 생생한 그래픽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빠져들다 보면 그래픽인지 실제인지 분간이 되지 않을 때가 있다. 말을 타고 달리거나
하늘
을 나는 장면에서 옷의 펄럭임까지도 사실적으로 표현했기 때문이다. 그만큼 그래픽 기술이 발전한 것. 실제와 유사한 그래픽을 만드는 데 기본이 되는 원리는 구조역학과 뉴튼의 운동법칙이다. 드림웍스가 ... ...
날아라, 모스 글라이더!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실을 매달아 종이를
하늘
높이 띄우는 이 놀이는 벤자민 프랭클린의 연날리기 실험처럼
하늘
을 날지 못하는 사람을 대신해 실험에 사용되기도 했다.연이 날아오를 수 있는 것은 바로 ‘양력’ 때문이다. 양력은 공기같은 유체 안에서 물체가 수직방향으로 받는 힘이다. 연은 위쪽이 둥글기 때문에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