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자
지은이
작가
글쓴이
저작자
작자
저술가
d라이브러리
"
필자
"(으)로 총 1,571건 검색되었습니다.
촛불 앞에서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사이로 알코올이 딸려 올라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불도 붙일 수 있다. 4 ③
필자
가 양초를 직접 만들면서 맞부딪친 문제 중 가장 해결하기 힘들었던 난제가 심지였다. 양초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심지다. 심지가 녹은 파라핀을 잘 흡수하게 하려면 무명실로 꼬아 만든 심지를 ... ...
컴퓨터선생님 노릇 고달프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알고자 하는 지식을 얻는 기쁨에 고무되어 컴퓨터를 가르치는 일이 즐거워지지 않을까.
필자
가 알고 있는 충북 지역 선생님들의 그룹은 대단히 활성화된 모임으로 얼마 전 청주 시내건물을 빌려서 소프트웨어 전시회를 열기도 했다. 성황리에 끝난 전시회는 아마 그분들에게 새로운 자신감을 ... ...
히틀러를 악마로 만들어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요세푸스의 유희'나 우연치고는 매우 정교한 '숫자들의 대칭미' 등은 수학의 세계가 결코 딱딱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숫자 기하 논리 확 ... 1×$\sqrt{9}$(8-6)등이다. 독자들도 1991년을 맞아 1991이란 숫자에 대하여 연구해 보면 어떨지.
필자
가 찾아낸 1991=11×181(11도 소수, 181도 소수) 외에 말이다 ... ...
돌고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주고 잘 훈련된 암컷 한마리를 수입해 왔다.사육중인 동물들이 병사(病死)할 때마다
필자
는 언제나 안타까움과 죄책감을 느낀다. 좀 더 일찍 원인을 알아내 완치시키지 못한 것이 늘 아쉬움으로 남았다. 대자연속에서 살았다면 천수(天壽)를 다했을 텐데 괜히 사람들이 붙잡아다 쇼를 시키고 귀찮게 ... ...
베를린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수도가 된 베를린은 늘 독일의 오욕과 영광의 교차점에 서 있었다.베를린과의 첫 만남은
필자
가 베를린대학에 유학했을 때다. 물론 그 당시에는 서베를린이었다.베를린(Berlin)은 1871년 철혈재상 비스마르크의 활약으로 독일이 역사상 처음으로 통일되던 때부터 2차대전이 끝날 때까지 독일의 ... ...
바퀴식 TGV·신칸센의 신화, 곧 무너진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있기 때문이다.포화상태의 철도수송먼저 철도가 포화되고 있는 이유부터 따져 보자.
필자
는 그 첫번째 이유로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등 우리나라의 주요철도들이 서울-대전 사이에서 모두 동일한 철로를 이용하고 있다는 점을 꼽고 있다.길이 외길이니 혼잡할 수 밖에 없다. 통일호 새마을호 ... ...
하마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한단다.""저 동물은 물에서 사는 물돼지야"라고 일러주는 부모들을 자주본다. 그때마다
필자
는 그렇게 부르는 것이 오히려 타당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곤 했다.하마의 몸집은 무척 둔하고 무겁게 생겼을 뿐만 아니라 네다리는 균형잡히지 않은 데다 약하고 짧아 배가 땅에 닿을 것만 같다. 반대로 ... ...
제작술보다 한발 앞선 보존술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내가 여러차례 가본 멋있는 절이다. 지금도 이 글을 교토대학의 내 방에서 쓰고 있지만, (
필자
는 현재 연구를 위하여 교토대학 인문과학연구소에 체류중임-편집자) 난젠지에 비장된 11세기의 대장경은 아직 볼 수가 없었다. 하지만 이제 그런 아쉬움에는 퍽 익숙해져 있다. 한국의 과학기술사 연구 3 ... ...
생태계의 사고(史庫), 자연사박물관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있고 또 어떤 일들을 하는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은 뜻있을 것이다. 그래서 우선
필자
가 최근에 다녀온 영국 미국 프랑스 헝가리 및 일본의 주요 자연사박물관의 규모와 연구활동을 소개하고 이들의 교육사업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영국의 자연사박물관(The Natural History Museum, 런던)동물 식물 ... ...
과학대중화의 청신호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밝혀 여기에 체계적인 지식으로 살을 붙여줘야 합니다."국내에 몇 안되는 전문
필자
의 한사람으로 꼽히는 한양대 김용운 교수도 교양과학서가 인간과 과학이 별개가 아니라는 인식을 확산시켜야한다고 주장한다. "인수분해의 공식은 달달 외워도 인수분해가 왜 만들어졌으며 수학사에 어떤 변화를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