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차례"(으)로 총 2,8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을 바꾸는 학생 발명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전극이 달린 모자를 만들었다. 모자를 쓰고 글자를 떠올리면 컴퓨터 화면에 해당 글자가 차례로 뜨도록 했다. 그리고 첫 시도로 ‘USING EEG TO SEND TWEET(트위터에 EEG로 글 남기기)’과는 문장을 올리는 데 성공했다. 현재 ‘브레인트위터’라는 이 기술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1분에 최대 8글자까지 올리며, ... ...
- 수를 말하는 기수와 서수수학동아 l2010년 06호
- 때를 나타내는 말을 붙여 주면 세련된 표현이 된다.전화번호를 읽을 때는 번호를 차례로 읽으면 된다. 예를 들면 210-3476은 two one zero three four seven six라고 읽는다. 연도를 읽을 때는 2자리씩 분리해서 읽는다. 예를 들어 1950년도는 the year of nineteen fifty 혹 은 nineteen f ...
- 나는 미래의 대한민국 우주인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6호
- 로켓 화룡의 모습. 배우자, 우주인의 모든 것!자, 이번에는 우주인 훈련을 체험해 볼 차례야. 우리는 미국 항공우주국 나사(NASA)에서 공인한 챌린저 러닝센터에서 모의 우주 비행사 훈련을 받고, 우주복과 우주선에 붙이는 ‘미션 패치’도 만들어 보았어.우주 임무1챌린저 러닝센터 체험!챌린저 ... ...
- 사건파일 1 공룡뼈의 정체를 밝혀라!수학동아 l2010년 06호
- 지탱하려면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이지.이제 어떤 종류의 공룡인지 알아볼 차례군. 공룡의 종류를 구분할 때는 엉덩이뼈의 모양을 보면 돼. 엉덩이 뼈의 앞부분을 구성하는 치골의 위치를 잘 봐. 이건 치골이 뒤에 있는 뼈와 함께 나란히 앞뒤로 뻗어 있어. 바로 조반류의 공룡이란 거지. 즉 ... ...
- 세계 최장 새만금 방조제에 가다!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안쪽과 바깥쪽에 수위 차가 생길 것을 대비해 작은 문이 여러 개로 설치돼 있었다. 문이 차례로 열리면서 배가 서서히 방조제 밖으로 빠져나가는 구조였다. 통선문식어도는 신시배수갑문과 가력배수갑문에 각각 한 개씩 있는데, 일주일에 한 번씩 연다고 한다.“통선문식어도는 물고기들이 오고가는 ... ...
- 천안함 7분간의 재구성과학동아 l2010년 06호
- 국내서 꾸준히 연구한국은 이미 2000년~2007년 가스구체와 수중 폭발에 대한 연구를 수차례 진행한 일이 있다. 해군이 214급 잠수함을 도입하고 KDX-III와 독도함 같은 대형 함정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적의 수중 공격을 대비하기 위한 방안들이 마련됐다. 특히 수중에서 주로 활동하는 잠수함은 ...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이론에서 시작됐다.[아인슈타인(➊)은 1916년부터 2년간 양자역학에 관한 세 개의 논문을 차례로 쓰는데, 유도방출에 관한 내용은 1917년에 쓴 마지막 논문 ‘복사의 양자이론’(➋)에 나온다.] 유도방출 이론은 이미 1917년에 등장{BIMG_r2}아인슈타인의 가설은 막스 플랑크의 양자론과 보어의 원자가설, ... ...
- 아미노산 수백 가지 읽는 인공 리보솜 나온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일어나는 시험관이나 세포 안에 넣어준다. 리보솜이 변형 mRNA를 읽어나가다가 앰버 코돈 차례가 오면 거기에 짝을 이루는 변이 tRNA가 들어와 결국 새로운 아미노산이 사슬에 결합한다. 지금까지 이런 식으로 단백질에 도입된 아미노산은 50여 가지나 된다.그럼에도 변이 tRNA와 변형 mRNA만으로 새로운 ... ...
- 나로호 6월 9일 2차 발사과학동아 l2010년 05호
- 턱없이 부족한 데다 액체로켓 엔진 기술을 처음부터 다시 개발해야 하는 상황에서 또 한 차례 더 발사할 경우 2020년이라는 발사 목표 시점을 시간상 맞추기 힘든 실정이다. 교과부는 나로호가 실패할 경우 최대 3번까지 동일 발사체를 쏠 수 있도록 러시아 측과 합의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0년 05호
- 고정된 것을 확인하자 눈금자로 부리 길이, 부리부터 꼬리까지의 길이, 날개 길이를 차례로 조심스레 측정했다. 전자식 쟁반저울로 몸무게도 쟀다. 남 연구원이 키를 말하자 서 연구원이 복창하며 20여 항목에 숫자를 받아 적는다. 남 연구원이 잠시 새를 들여다보는 사이 일본에서 온 오구라 타케시 ...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