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문
학문
학식
식견
지성
소양
인식
d라이브러리
"
지식
"(으)로 총 3,36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어떨 때 전자계산기를 쓰나?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되기 때문이다. 반면 연필과 종이로 푼다면 분수 개념과 분수 연산, 연산 순서에 관한
지식
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 문제를 전자계산기로 풀면 어떨까? 이 문제는 삼각형의 넓이를 어떤 원리에 따라 구하는지를 알지 못하면 답을 구할 수 없다. 성능이 뛰어난 전자계산기라 해도 원리 자체를 ... ...
[수학이 만드는 미래 세상] 미래인터넷, 수학으로 새판 짠다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수 있을까’라는 호기심으로 공격한 것으로 알려졌다.이처럼 인터넷은 어느 정도의 해킹
지식
이 있으면 누구나 쉽게 디도스 공격으로 특정 서버나 사이트를 마비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최근 동영상 이용이 폭발적으로 늘면서 네트워크에 과부하가 걸리고 있고, ... ...
Part 2. 과학으로 다시 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매체를 통해서다. 바닷물, 대기, 그리고 생물이다. 이들 가능성을 해양학과 대기과학
지식
을 덧붙여 정리해 봤다.1 [해양] 바다에서 방사능이 몰려오나일본은 지난 4월 4일부터 10일까지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나온 방사성 오염수 1만 400t을 바다에 버렸다. 요오드-131로 환산했을 때 방사능은 6~20Bq/cm2 ... ...
Part 1. 대한민국 영재들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됐다”면서 학업뿐 아니라 개인의 특기와 창의력을 키우는 교육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지식
암기 위주에서 벗어나 개인의 특성을 살리는 창의적인 교육은 한국 사회가 풀어야 할 숙제다.“네 열등감을 깨우치려 가르친 것이 아닌데 외로이 스스로의 목숨을 던지는 너에게 손을 내밀지 못한 내가 ... ...
“나를 키운 건 8살짜리 궁금증”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이야기가 있다”고 대답했다.“칼텍에서 공부할 때 고민이 많았어요. 너무 계산이나
지식
만 가르치는 거예요. 물리학의 근본적인 것들을 물어보면 그건 철학자에게 물어보라는 대답이 돌아왔어요. 자유로운 학풍을 가진 케임브리지대라면 나를 이해하지 않을까 싶어 물리학과에 편지를 보냈는데 ... ...
과학기술인을 ‘발명부자’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도움이 될 것입니다.”김 변호사는 과학기술인과 이공계 대학생, 대학원생에게 직무발명
지식
이 왜 필요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자신 있게 대답했다. “직무발명은 기본적으로 과학기술 종업원의 권리를 높여 주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회사 입장에서도 큰 이익입니다. 적절한 보상을 받을 수 ... ...
지식
산업 밝힐 경영과학의 길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잘 측정하고 이에 근거해 적절한 동기부여를 해 주는 나라가 앞설 것이라고 말했죠.
지식
산업을 이끌 경영과학을 함께 연구할 훌륭한 인재가 우리 연구실에 많이 들어왔으면 좋겠습니다 ... ...
나만의 탐구방법을 개발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영재고 지망생이라면 지금까지 자신이 배운 물리
지식
을 바탕으로 공학 분야에 대한
지식
을 조사해볼 수 있다. 공학 분야는 실험탐구형이나 이론탐구형 모두 접근할 수 있다. 실험탐구형의 경우 여러 소자를 갖고 직접 회로를 구성해서 자신만의 전자기기를 만들어본 사례가 있다(❸).또 돔형이나 ... ...
Part 3. 인터뷰 - 대한화학회 김낙중 회장 & 한국화학연구원 오헌승 원장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이용해 유용한 에너지와 물질을 얻는 바이오화학 분야입니다. 저희 연구원도
지식
경제부와 울산시에서 300억 원을 지원받아 울산시에 바이오화학실용화센터를 건립할 계획입니다.화학은 이처럼 우리 생활과 밀접한데도 물리학이나 천문학, 생명과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중의 관심이 적습니다.오 ... ...
“나의 영혼이 로봇 속으로 들어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한 곳에 모였다. 이 곳의 단장이 유범재 박사다.잉키 개발팀도 바쁘긴 마찬가지다.
지식
경제부 프론티어사업의 지원을 받는 ‘지능로봇사업단’에 소속돼 잉키의 차세대 로봇인 ‘메로’의 개발을 마쳤다. 사람과 감성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실감형 로봇이다. 이 밖에도 노인을 돕는 로봇 ‘실벗’,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