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변
환경
둘레
근처
외주
원주
가장자리
d라이브러리
"
주위
"(으)로 총 3,171건 검색되었습니다.
석빙고 없이 여름을 어떻게 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가라앉고 더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는 성질을 현명하게 이용했던 것이지요. 석빙고
주위
에 배수구를 설치해 얼음을 녹이는 물과 습기를 재빨리 빼낼 수 있도록 했답니다. 그리고 얼음과 맞닿은 벽과 천장의 틈 사이에는 볏짚, 톱밥 등을 채워 넣어 외부의 열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했습니다. 볏짚은 ... ...
무소음 항공기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웨이퍼를 에칭에 의해 계단 모양으로 깎아 내고 컬렉터 위에 베이스와 이미터를
주위
면 보다 튀어나오게 메사〔臺地〕모양으로 만든 트랜지스터 1898~1978 독일의 항공기 설계 · 제작자 프랑크푸르트 태생 항공기 설계를 지망하여 1923년에 메서슈미트 비행기 제작소를 창설하고 38년에는 바이에른사 ... ...
휴전선 감시하는 군인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표시하는 값으로 읽을 수 있다 주입 습곡작용에 의해 조성된 지질구조 지각 중에서
주위
의 암석보다 비중이 작고 소성(塑性)유동을 하기 쉬운 물질이 위쪽의 암층균열을 따라 상승하여 이를 밀어올려서 생기는 반구형 지붕 모양의 구조이다 길이 또는 두께의 측정량을 지침의 회전으로 바꿔 ... ...
나홀로 열받는 분노증후군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답답하고활활 타오르는 뜨거운 불은 음양(陰陽)의 관점에서 ‘양’이다. 불은 쉴 새 없이
주위
를 태우는 더운 성질을 갖고 있다. 반면 물은 ‘음’이다. 물은 불에 비해 정지해있고 차가운 속성을 갖는다.한의학에서 정상적인 ‘화’(火)는 인체의 기능을 유지하는 원동력이라고 본다. 화와 수(水)가 ... ...
빛을 느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있다. 어떤 거울에 비친 모습은 물체와 똑같은 모습이다. 단지 좌우만 바뀌어 있다. 우리
주위
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러한 거울을 평면 거울이라고 한다. 어떤 거울에는 훨씬 더 넓은 범위의 모습까지 비친다. 원래의 크기보다는 작게 보이지만 대신 멀리 떨어져 있는 사물까지 볼 수 있다. 이 거울은 ... ...
USB 충전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학설 즉, 대륙은 선캄브리아대에 성립된 대륙핵(大陸核)이라는 가장 오래된 중심부
주위
에 변동이 있을 때마다 대륙 지각이 첨가 되어 점차 영역이 넓어지면서 지금에 이르렀다는 학설이다 냉대의 남부에 나타나는 기후 여름에는 기온이 높아지나 그 기간이 짧고, 겨울은 길고 추워 연교차가 큰 것이 ... ...
태풍 잡는 레이더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열에너지로 계속해서 무작위로 움직이기 때문에 한곳에 가둬두기 매우 어렵다.우선
주위
의 온도를 낮춰 원자의 운동 속도를 조금 늦춘다. 그래도 원자는 계속 움직이고 있을 것이다. 이제 원자가 있는 위치에 x, y, z축으로 레이저를 쏜다. 여기서 한 축 방향의 레이저만 생각하자. 예를 들어 원자가 ... ...
명왕성 퇴출! 행성이 뭐길래?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높다. 교과서 개정은 좀더 시간을 두고 지켜본 뒤 해도 늦지 않을 듯하다. 왜행성 : 태양
주위
를 돌며 둥근 천체로 영어명은 ‘dwarf planet’이다. 태양 같은 별의 최후인 고밀도 천체를 ‘백색왜성’(white dwarf)이라 부르는데서 착안한 명칭이다 ... ...
화산섬 제주도의 보물6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작은 조개들, 산호와 같이 종류와 크기가 다양한 화석들이 뒤섞여 나타난다. 절벽
주위
의 바위에는 생물들이 흙을 파고 들어가 살았던 모습을 보여주는 생흔화석도 있다.서귀포층에 포함돼 있는 화석생물 가운데 약 50%의 후손이 현재 대부분 먼 남쪽 바다에서 살고 있다. 이는 서귀포층이 만들어질 ... ...
기름땅에 꽃이 필까?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대롱처럼 생긴 둥근 우물인 ‘관정’(well)을 땅에 박아 진공으로 빨아낸다. 이때 관정
주위
의 지하수면이 깔때기 모양으로 낮아지고 기름이 관정 주변에 고여 뽑아낼 수 있다.‘바이오슬러핑’(bioslurping)이라는 기술을 가장 많이 쓰는데, 기름층을 빨아내는 방법과 자연정화법이 결합됐다. 진공으로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