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시
주의
응시
감시
관찰
묵시
각광
d라이브러리
"
주목
"(으)로 총 4,11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자칫 사람의 정상적인 NA 복제과정에도 끼어들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아비간은 대단한
주목
을 받으며, 벌써부터 특허 시비에 휩싸이고 있습니다. 후지필름은 11일 중국 제약회사 ‘시환의약’이 내놓은 에볼라 치료제가 아비간과 동일한 성분이라며 중국 정부에 조사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 ...
INTRO. 에볼라 쇼크2 : 인간의 반격이 시작됐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나섰다. 한국 과학자들의 노력이 에볼라 바이러스를 박멸시킬 수 있을까. 결과가
주목
된다(과학동아 2014년 9월호 에볼라 쇼크 특집 참고)▼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에볼라 쇼크2 : 인간의 반격이 시작됐다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BRIDGE. “당신은 ... ...
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외교가 아닐까요.”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미국인 환자 4명을 모두 살려내 전 세계의
주목
을 받은 병원이 있다. 미국 조지아 주의 에모리대 병원이다. 이곳 신약개발센터 소장은 재미한국인 과학자인 김백 박사다. 지난해 9월부터 에볼라 치료제 개발에 돌입하며 바쁜 일정을 소화하고 있는 김 ... ...
[과학뉴스] 혜성 탐사선 ‘로제타’ 2014년 연구 성과 1위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2014년 10대 연구 성과 중 1위를 차지했다(아래 사진). 사이언스 12월 19일자에는 올해
주목
받은 10대 연구 성과 전체 목록이 공개됐다.유럽우주국(ESA)이 개발한 로제타는 2004년 3월 지구를 출발해 5억1000km 떨어진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에 도착한 뒤 2014년 11월 13일 혜성 표면에 필레를 무사히 ... ...
[Life & Tech] 전자담배 해롭긴 마찬가지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그는 “이번 논문은 전자담배의 니코틴 액상이 아닌 ‘증기’를 분석한 결과라는 데 더
주목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자담배가 간접흡연의 위험이 존재한다는 걸 시사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연구도 이를 뒷받침한다. 2012년 국내 시판 중인 전자담배 증기의 유해성을 연구한 ... ...
국내 최초 수각류 머리뼈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4호
머리뼈와 아래턱까지 온전하게 발견된 건 이번이 처음이지요. 그래서 이 화석이 더욱
주목
을 받고 있어요.국립문화재연구소 임종덕 박사 연구팀은 현지 조사와 뼈 분석을 통해 이 화석의 주인공이 약 1억 년 전 백악기 시대에 살았던 육식공룡이라고 밝혔어요. 화석으로 드러난 공룡의 몸길이가 약 2 ... ...
공룡 시대 가장 큰 포유류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3호
약 7000만 년 전 공룡과 함께 살았던 초창기 설치류였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이 화석이
주목
을 받는 이유는 무엇보다 그 크기 때문이에요. 빈타나 세르티치는 두개골만 해도 길이가 12cm에 이르고, 전체 몸길이는 약 60cm에 몸무게는 9kg까지 자랐을 것으로 추정돼요. 과학자들은 그동안 공룡 시대에 ... ...
SHAKE 웃음이 나는 개들의 굴욕 순간 힘차게 흔들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사진들은 라는 사진 전문 잡지에서 을 수상하기도 했답니다. 그녀가 찍은 생동감 넘치는 동물들의 사진은 한국에 발간된 화보 를 통해 더 볼 수 있어요.SHAKE 왜 몸을 터는 걸까?개들은 머리나 목, 어깨 부분이 물이 ... ...
항생제 이겨내는 세균 이기는 항생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대부분의 항생제에 들어 있는 베타락탐을 슈퍼박테리아가 효소로 분해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
했어요. 베타락탐 분해효소를 만드는 유전자가 돌연변이 등으로 바뀌면서 새로운 항생제를 만나도 파괴 할 수 있지요. 연구팀은 유전자의 이런 성질을 이용하면 신종 항생제를 개발할 수 있을 거라고 ... ...
여치의 노래를 잘 들을 수 없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잘 듣지 못하는 거랍니다. 이렇게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은 여치의 노래처럼 평소에
주목
받지 못하고 있는 많은 동물들에게 관심을 가져 보는 건 어떨까요? 귀뚜라미의 고막은 앞다리 종아리마디(A, B)에 있다. 그러나 숨관(C)을 통해서도 소리가 들어가 고막의 뒷부분에 전달된다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