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삭제
절제
말소
폐지
금지
소각
철거
d라이브러리
"
제거
"(으)로 총 2,417건 검색되었습니다.
옛 소련 비밀 기술이 숙취를 예방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옛 소련의 국가정보국 KGB는 우주비행에서 귀환한 우주비행사의 체내에 쌓인 독소를
제거
하고 신진대사 기능의 빠른 회복을 위해 신약을 비밀리에 만들었던 것. 때문에 오랫동안 이 물질의 존재는 베일에 쌓여있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지상 근무자들이 우연히 이 약제를 복용한뒤 숙취 해소에도 ... ...
2003년 가장 '쿨'한 발명품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가르랑거리며 귀를 쫑긋거리거나 눈을 감을 수도 있다.18만5천엔 _ www.necoro.com지뢰
제거
가재 로봇미 해군과 마사프러덕트사가 개발한 것으로, 무게 3kg, 길이 60cm이며 여덟개의 발로 해안가의 어떤 곳이라도 기어다닐 수 있다. 집게발 두개와 꼬리로는 균형을 잡는다.2004년 출시예정(군사용) _ www.massa ... ...
거미가 뽑아내는 황금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실크단백질 주위의 물분자를 외부로 방출하는 것이다. 일단 물분자가 실크단백질로부터
제거
되면 실크단백질 안에서는 기다란 소수성 영역끼리 수소결합이 형성된다. 수소를 매개체로 형성되는 수소결합은 결합력이 강하기 때문에, 실크는 마치 병풍처럼 튼튼하고 안정된 구조를 갖게 된다. 실크가 ... ...
2 온몸으로 느끼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수련의 김씨의 이마에 땀방울이 송글송글 맺혀있다. 김씨는 지금 간에 생긴 종양을
제거
하는 수술을 집도하는 중이다. 복부를 절개해 고정한뒤, 환부를 찾아 상태를 살펴보고 종양을 도려내기 위해 메스를 쥔 손가락에 힘을 준다. 순간 비상벨이 김씨의 귓가를 때린다. 비상사태가 생긴 것이다.불이 ... ...
눈의 천적 자외선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인체에 해로운 유해산소를 만든다. 인체 내에 있는 항산화효소는 이런 유해산소를
제거
한다. 그런데 나이가 들면 항산화효소의 기능이 약해지기 때문에 젊었을 때 자외선에 많이 노출됐던 사람은 눈에 여러가지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 눈에서 카메라의 렌즈와 같은 역할을 하는 수정체가 하얗게 ... ...
근대화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줄이고 표면의 소혈관에 빈혈을 일으켜 충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염증적 병변을
제거
하여 모든 증세를 없앤다하천·운하 등에서의 물의 흐름을 연구하는 학문수소에 아주 높은 압력을 가해서 수소 원자들이 빽빽하게 들어선 상황이 되면 어느 두 개의 수소 원자 사이에 공유결합이 이루어졌다고 ... ...
정액이 난소암 막는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것으로 평가된다.가톨릭대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 배석년 교수팀은 정액에서 정자를
제거
한 뒤 광물질인 아연 등 세가지 성분을 뽑아 농축해 실험한 결과 난소암 세포를 죽이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냈다고 9월 14일 밝혔다.연구팀에 따르면 ‘시자르’(Cizar)로 이름 붙여진 이 물질을 상피성 난소암 ... ...
2 사랑에 빠진 뇌, 우정을 느낀 뇌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수는 없는 노릇이다. 하지만 뇌종양을
제거
하기 위해서나 기타 이유로 뇌수술을 할 때,
제거
될 부분이 언어나 기억 등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부위인지 아닌지를 알기 위해 여러 부위를 전기적으로 자극해볼 수 있다. 이렇게 수술 도중에 이뤄지는 전기자극을 통해 인간의 뇌 여러 부위를 직접 ... ...
2 말소리 죽이고 외부 빛 차단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플루오르(F), 염소(Cl), 이산화질소(NO₂)와 같은 공기 중에 떠다니는 분자들을 특별히
제거
하는 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전기적으로 치명적일 수 있는 정전기 방지 장치도 구축될 예정이다 ... ...
2 미생물을 이용해 생산하는 21세기 청정연료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멈춰 버린다. 현재는 이런 저해 작용을 극복하기 위해 명반응에서 발생되는 산소를
제거
하는 방법과 산소에 민감하지 않은 수소생성효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수소생성 미생물을 이용한 두번째 방법은 수소생성효소의 산소민감성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개발됐다. 남조류의 일부에서는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