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기"(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도전! 유니스트 12 ‘촉매’처럼 사람들을 이어주는 연구자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충전하는 방식이다. 그의 실험실 한켠에서는 도시가스 관을 끌어다 연료전지를 이용해 전기를 만드는 실험이 한창이었다. 김 교수는 “연료전지는 에너지 부족을 해결할 수 있는 고효율 에너지원으로, 환경을 지키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 ...
- [News & Issue]스텔스 기능 쓰는 갑오징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갑오징어(위 사진)가 천적을 피하기 위해 스텔스 기능을 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듀크대 생물학과 크리스틴 비도어 연구원팀은 갑오징어가 ... 상어가 다가오면 대사를 조절해 6밀리볼트 수준으로 낮춘다. 상어의 눈에 띄지 않기 위해 전기적인 방법으로 스텔스 기능을 쓰는 셈이다 ... ...
- [Knowledge]전투면역 세포 백혈구의 재발견, 뉴트로필 리턴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제가 추천드리는 것은 후천성 면역입니다. 사회자 면역 입시의 스테디셀러죠. 공대에 전기, 화학, 기계가 있다면 면역세포에는 B 세포, T 세포가 있다는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손 대표 후천성 면역은 선천성 면역과 다르게 딱 한 놈만 잡습니다. 정상세포를 공격할 위협이 무척 낮지요. 게다가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공명 진동수와 액시온의 질량이 맞아 떨어질 경우 공명이 일어나 광자가 공간에 있는 전기장을 흔들게 된다. 그리고 그 신호를 잡아내면 액시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연구단은 구리로 속이 빈 원통형 구조물(마이크로파 공진기)을 만든 뒤 그 밖을 초전도 자석으로 둘러싸고, 온도를 영하273 ... ...
- [과학뉴스] 오줌으로 만드는 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양분을 흡수하고 분해해 전기 에너지를 만든답니다.연구팀은 웨어러블 발전기가 만든 전기 에너지로 무선 송신기를 작동시키는 데 성공했어요. 이 무선 송신기는 2분에 한 번씩 컴퓨터로 신호를 보낼 수 있었답니다.이로폴로스 교수는 “이 기술은 앞으로 군사용 장비나 생존 키트에 응용될 수 있을 ... ...
- [News & Issue]독성물질로 프린트 하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아니라 우리 정부에서도 표준화와 규제 관련 논의가 시작됐다. 이강 산업통상자원부 전자전기과 사무관은 “일부 위험성을 인지하고 있다”며 “미래창조과학부와 함께 만든 ‘3D 프린팅 전략기술 로드맵’에 따라 재료와 장비, 그리고 최종 제품의 품질과 안정성, 환경 유해성 등을 종합적으로 ... ...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원자핵이 분열될 때 에너지를 방출시킨다. 그 에너지로 물을 데워서 발전기를 돌리고, 전기를 만드는 게 핵발전이다.이 세 가지 힘을 표현하는 표준모형은 상대성이론을 나타내는 ‘질량-에너지 등가원리(E=mc2)’나 ‘뉴턴의 운동방정식(F=ma)’처럼 수식 형태로 기술할 수 있다(하지만 여기 쓰기에는 ... ...
- Part5. “‘최종 이론’ 찾을 때까지 탐구 멈추지 않을 것”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오랫동안 발견되지 않았다.“이론은 성공적이었지만 불완전한 요소가 있었습니다. 전기적으로 중성인 입자(힉스)가 있으며,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도 모두 설명할 수 있었지만 그 질량이 얼마인지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알 수 없었거든요. 그래서 실험으로 이 입자를 만들어내기가 얼마나 어려울지 ... ...
- [News & Issue]3.35m 점프하는 메뚜기 로봇 개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매우 빠른 속도로 방출시키는 것이 핵심이다.연구팀은 3D 프린터로 만든 로봇의 몸체에 전기 모터를 실은 뒤, 몸체와 다리를 와이어로 연결했다. 모터가 회전해 줄이 감기면 로봇 다리가 몸 쪽으로 당겨지고, 와이어가 모두 감기면 특수한 잠금 장치에 다리가 잠시 고정되도록 설계했다. 이런 ...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최근에는 아예 광케이블을 없앤 ‘무선마우스’가 등장했다. 정재웅 미국 콜로라도대 전기컴퓨터공학과 교수는 지난 7월15일 초소형 LED를 탑재한 새로운 광유전학 장비를 ‘셀’에 발표했다. 반도체 공정을 통해 개발한 이 장치는 외부에서 따로 전원이나 빛을 공급하지 않아도 자체적으로 빛을 쏴 ...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