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용 닮은 탈라루루스 공룡의 머리, 완벽 복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지역에 살던 탈라루루스(Talarurus) 공룡에 대해 들어봤나요?탈라루루스는 머리, 등, 꼬리가 작은 뼛조각으로 싸여있어 갑옷을 입은 듯 보이는 ‘갑옷공룡’ 중 하나예요. 1952년, 몽골 바얀시레층*에서 처음 발견된 초식공룡이지요. 처음 발굴한 탈라루루스 머리뼈는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그동안 ... ...
- [통합과학교과서] 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있어 지반이 약한 탓에 온돌을 전체적으로 설치하기가 어려우며,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작은 공간이기 때문에 가장자리만 따뜻해도 충분하다고 여겼을 것”이라고 추측했어요. 또 다른 재밌는 추측도 있어요.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김태영 사무관은 “향원정 안에서 창문만 연 채로 주변 경관을 ... ...
- ‘아재’들의 미래였던 2020년, 실제 발명된 SF 아이템 Top5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순간에 그를 숨겨주며 더욱 큰 쾌감을 주는 마법 물품이다. 특히 1학년인 해리가 작은 오두막에서 친구인 론, 헤르미온느와 오밀조밀 모여 투명망토 속에 숨는 장면은 주인공들의 앙증맞음을 배가시켰다. 투명망토는 해리 포터 시리즈 외에도 다수의 동화와 SF소설에서 언급됐는데, 웨일스의 ... ...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2000년 일본의 자동차 회사 혼다가 공개한 아시모는 인간처럼 두 다리로 걸을 수 있고, 작은 물체를 집어 올리고, 계단도 오를 수 있었다. 20년 간 비밀리에 진행된 프로젝트 결과가 공개되자 전 세계 로봇 공학자들은 ‘멘붕’에 빠졌다. 선진국들은 앞다퉈 휴머노이드 연구에 착수했다. 국내에도 오 ... ...
- [동아리탐방] 수학으로 메이크 잇! 대전대신고 FINDER수학동아 l2020년 01호
-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주최하는 ‘사이언스 페스티벌’에서는 구슬을 굴릴 수 있는 작은 롤러코스터를 직접 만들어 선보였다. 이외에도 메이커 문화 확산을 목적으로 국립중앙과학관을 대관해 ‘메이커 페스티벌’을 주최하고 대전 시민을 대상으로 교내 3D 프린터 체험 강좌를 열었다.이렇게 기른 ... ...
- [실전!반려동물] 뽀삐야 점프는 조심조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작게 개량되면서 이 홈의 크기도 작아졌어요. 그 결과 홈 안에서만 움직여야 할 슬개골이 작은 충격에도 홈 밖으로 벗어나는 거예요. 슬개골이 정상적인 자리에서 벗어나 몸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빠지는 질병을 ‘슬개골 탈구’라 해요. 말티즈, 치와와, 푸들 등 소형견은 대형견보다 10배 이상 ... ...
- [핫이슈] 미래의 과학자를 꿈꾼다, 메이커 페어 타이베이 체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빛을 내는 물질로, TV나 휴대전화 등의 화면을 만드는 데 주로 사용돼요. OLED 장치는 작은 먼지로도 결함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친구들은 연구소에 들어가기 전, 방진복을 입고 바람으로 몸에 붙은 먼지를 깨끗하게 씻어냈어요. 친구들은 연구원의 안내에 따라 OLED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직접 ... ...
- [지구사랑탐사대] 이 조그만 벌레가 생물계의 슈퍼스타? 선충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여기, 화면 아래에 한 마리 보이네요!”손가락으로 가리킨 곳에는 구더기보다 훨씬 작은 벌레가 몸을 흔들며 헤엄치고 있었어요. 길쭉하고 미끈한 몸체가 투명하게 빛나고 있었죠. 여기저기서 대원들의 탄성이 이어졌어요. 현미경을 비추니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선충들이 많이 보였기 때문이죠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무엇이든 만들어요! 밴드 블록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육각형의 조각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걸 볼 수 있지요.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물질로 입체 모형을 만드는 경우도 있어요. ‘탄소나노튜브’라는 물질은 육각형 모양으로 엮인 탄소 원자들이 긴 파이프 형태를 이루고 있답니다. 탄소나노튜브는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세기 때문에 ... ...
- [통합과학교과서] 해님 달님, 늑대의 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그래서 진동수가 큰 빛을 쏘았을 때 전자가 금세 튀어나왔던 거지요. 반면 진동수가 작은 빛을 쏘면 광자의 운동에너지가 작아 수백 개 광자가 날아들어도 전자는 금속판을 벗어날 수 없어요. 이처럼 높은 진동수의 빛이 금속의 전자를 튕겨내는 현상을 ‘광전효과’라고 해요. 광전효과 이론은 ...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