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보"(으)로 총 3,3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하실에서도 햇빛 볼 수 있다과학동아 l1994년 06호
- '북측의 방, 창이 없는 방, 지하실에도 건강한 자연의 태양광이 가득하다.' '스텐레스 튜브가 빛을 나른다.'이상은 일본 태양광조명장치 업체들의 구호다. 이는 자연환경에 대한 인간의 신뢰를 자극해 구매욕을 일으키기 위한 상투적인 어구로 들릴 수 있다. 그러나 연구결과 이것이 허구가 아님이 ... ...
- 소행성에도 위성 있다과학동아 l1994년 06호
- 목성 탐사선 갈릴레오는 작년 8월 소행성 이다에 2천4백km까지 접근해 1백50장의 사진을 찍은 바 있다. 미국 제트추진연구소에서는 이 사진을 컴퓨터로 합성한 결과를 최근에 발표했는데, 이에 따르면 이다의 주위에 아주 작은 위성이 돌고 있음이 밝혀졌다.이다는 목성과 화성 궤도 사이에 떼지어 돌 ... ...
- 혈액 DNA 감정 11년 전 범죄 밝혀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최근 일본에서는 11년전에 발생, 미궁에 빠져들었던 살인사건이 혈액의 DNA감정으로 해결됐다는 소식이다.근착 '쿼크'지에 따르면, 11년전 도쿄의 어느 식품회사 전무가 누군가에게 습격돼 살해당한 사건이 있었다. 지난해 12월 치바현의 어느 경찰서에 만취한 전 폭력단원이 보호되었는데, 그는 취한 ... ...
- 에이즈 바이러스 없는 에이즈 환자 발견?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에이즈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진 바이러스 HIV에 감염된 증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후천성면역결핍증을 일으켜 에이즈와 똑같은 증상을 보이는 환자가 있음이 알려졌다. 이는 전문가들 사이에서 적지 않은 충격을 주고 있다.이같은 증후군은 지난 3월25일 발매된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지에 오 ... ...
- 목성 대연구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지구를 비롯한 태양계 행성에 혜성이 충돌하면 어떻게 될까. 슈메이커-레비 혜성과 목성이 충돌하면 목성 내부에 관한 많은 정보가 새로이 밝혀질 것이다. 그동안 보이저 인공위성 등이 탐사했던 내용을 살펴보고 새로이 밝혀질 사실들을 예상해보자. ...
- 폐타이어 재활용 공정개발과학동아 l1994년 06호
- 무릇 모든 쓰레기와 폐기물이 그러하듯이 폐타이어 처리 문제도 환경 보전 차원에서 보통 골칫거리가 아니다. 더구나 자동차의 증가에 따라 이 문제는 갈수록 심각해질 양상을 보이고 있다. 미국에서만도 매년 2억3천만t 이상의 폐타이어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돼 있다. 그리고 이들 중 약80%에 달 ... ...
- 엘렉스 컴퓨터, 매킨토시 신기종 쿼드라 650 발매과학동아 l1994년 06호
- 매킨토시 기종을 판매하고 있는 엘렉스 컴퓨터는 성능과 경제성을 겸비한 전문가용 멀티미디어 컴퓨터 쿼드라 650을 발표했다. 33MHz 68040 프로세서와 68882 수치프로세서를 장착하고 기본 8MB의 풍부한 램과 2백30MB의 하드디스크를 가진 이 컴퓨터는 누버스(NuBus) 확장슬롯을 3개나 가지고 있어 다양한 ... ...
- 기초과학 특강과학동아 l1994년 06호
- 공부도 놀이처럼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공부를 '재미있게' 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공부할 것에 대해 호기심을 갖는 것이다. '왜 그럴까?' '이 다음은 어떻게 되지?'를 궁리하는 가운데 머리 속에는 공부의 내용이 차곡차곡 쌓이게 된다. 여름이다. 이번 여름은 공부를 '신나게', '재미있게' 하 ... ...
- 바다 온도 음파측정 돌연 중단과학동아 l1994년 05호
- 세계 대양의 수온을 재는 3천5백만 달러(약2백80억원) 상당의 새 프로젝트가 실시를 앞둔 지난 3월 말 돌연 연기됐다.근착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이는 고래와 바다 속 포유류에 해를 입힐 수 있다는 환경단체의 주장 때문이었다. 이를 둘러싼 논쟁은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운동단체'와 '위기에 처 ... ...
- 오존층 구멍, 양서류 멸종 위협의 주범과학동아 l1994년 05호
-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다른 종은 여전히 건강함을 유지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유독 일부종의 양서류는 점차 사라져 가는지에 대해 의문을 가져왔다. 그런데 최근 이 같은 의문에 해답을 안겨줄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오레곤 주립대학의 앤드류 블라우스트레인 교수팀이 새로운 연구를 통해 ...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