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아"(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식문화는 대륙마다, 나라마다 다르다. 예로부터 빵은 주로 서양에서 주식으로 먹었다. 하지만 지금은 세계가 글로벌화되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밥 대신 빵을 먹는다. 인류는 언제부터 빵을 먹기 시작했을까. 빵은 언제, 어디서, 어떻게 탄생했을까. 어디로부터 어디로 전 ... ...
- Part 3. 사이버그야,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꼬물꼬물 움직이는 애벌레 로봇애벌레는 보통 몸을 ‘Ω’ 모양으로 크게 웅크렸다가 ‘一’자로 쭉 피며 앞으로 나아가요. 그런데 사실 애벌레마다 특징이 있답니다.애벌레의 움직임이 바닥의 마찰력과 연관이 있을 거라고 생각한 일본 도쿄대학교 타쿠야 우메다치 박사팀은 애벌레 로봇을 직접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내가 바이오로깅으로 측정한 다양한 어류의 유영 속도를 해석한 결과 이것은 말도 안 되는 오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순항시 평균 시속은, 놀라지 마시라. 어느 어류도 8km를 넘지 못했다.”(94쪽)부끄럽지만, 기자도 몰랐다. 다랑어가 시속 70km로 헤엄친다는 이야기를 의심치 않았다. 만약 ‘바 ... ...
- [과학뉴스] 베일에 싸였던 ‘나선형 천체’ 비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나선형 껍질을 가진 천체의 비밀이 밝혀졌다. 대만중앙연구원 천문천체물리연구소 김효선 연구원팀은 주위에 나선형 패턴이 나타나는 독특한 천체인 페가수스자리 LL의 3차원 구조와 그 원인을 ‘네이처 천문학’ 3월호 표지논문으로 발표했다.2006년 처음 세상에 알려진 이 나선형 패턴의 천체는 ...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1전차 안에는 운전사와 미나를 빼고도 아직 다섯 명의 승객들이 남아있었다. 시골에서 처음 올라왔는지 창에 얼굴을 박고 신기한 듯 주변의 콘크리트 건물들을 올려다보고 있는 전통의상 차림의 남자 노인 두 명, 태블릿으로 지루해보이는 서류들을 건성으로 체크하고 있는 회색 공무원 제복 차림 ... ...
- [과학뉴스] 고양이 발바닥과 랍스터가 반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고양이 발바닥과 랍스터가 반짝!지난 달 1일, 유럽남방천문대(ESO)는 공식 홈페이지에 사진 한 장을 공개했어요. 사진 속에는 ‘고양이 발바닥 성운(NGC 6334, 오른쪽 위)’과 ‘랍스터 성운(NGC 6357, 왼쪽 아래)’의 모습이 담겨 있지요. 원래 이 성운들은 1837년 영국의 천문학자 존 허셜이 처음으로 발견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밝혀지는 음모수학동아 l2017년 05호
- 하림은 그 자리에 풀썩 주저앉았다. 자신이 알고 있던 세상이 무너져내리는 기분이었다. 도대체 이 말을 믿어야 할지 갈피를 잡을 수 없었다.“그런데 왜 마고는 아빠가 영웅이라고 한 거죠…?”“사람들은 영웅 이야기를 좋아해. 게다가 뱃속의 아이까지 있잖아? 눈물 나는 얘기지. 그렇게 영웅 이 ... ...
- Intro. 남쪽의 작은 고장 ‘순창’, 장수로 흥하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활짝 핀 순창의 꽃보다 아름다운 할머니장수로 향하는 길은 험난했다. 햇빛이 채 창문을 뚫기도 전인 새벽 6시, 서울 용산을 떠나 전북 순창군으로 향했다. 3시간 30분만에 도착한 순창은 정말이지 고요했다. ‘제대로 도착한 게 맞나’ 싶을 때쯤 순창읍사무소가 눈에 들어왔다.전북은 전국에서 제 ... ...
- [공룡은 왜?] 크기는 작아도 부화 기간은 길다?! 공룡의 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아기 공룡이 알에서 태어나려면 며칠이 걸릴까요? 이 궁금증은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은 공룡의 수수께끼 중 하나였어요. 그런데 최근 공룡 알의 부화기간에 대한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어요. 지금부터 그 비밀을 들려 줄게요.이빨로 본 공룡의 부화 기간올해 1월,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교가 이끄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쌍곡선은 ‘평면 위의 두 정점에서의 거리의 차가 일정한 점들의 모임’을 말해요. 모양을 보면 세로로 서 있는 두개의 선이 안쪽으로 굽은 상태로,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지요. 이 선들이 ‘쌍곡선’으로 불리는 이유는 한자어를 보면 알 수 있어요.‘쌍(雙)’은 새를 뜻하는 ‘새 추(隹)’ 두 개와 ...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