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둘"(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사람을 대상으로 확인한 결과 유산균의 일종인 락토바실러스 균의 경우 사균과 생균이 둘 다 설사 방지에 효과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제는 그냥 김치를 믿고 즐기기만 하면 된다.김치 소비는 갈수록 줄고 있다.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김치 하루 소비량은 1998년엔 1인당 84g이었지만 2009년에는 80g, ...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아무 말도 해줄 수가 없었다. 시계는 분명히 움직였다. 이 시계의 바늘은 두 개이고, 둘 중 어느 하나가 부러진다면 시계는 작동하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하나의 바늘은 오래 전 어떤 사고 때문에 돌아가기 시작했고, 다른 바늘은 조금 전 투표결과가 확정되면서 움직였다. 따라서 시계는 움직였고, ... ...
- [체험] 만화영화 감독에 도전하다! 애니메이션 기구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수학자 사이몬 본 스탬퍼와, 벨기에의 물리학자 조셉 플래토가 1832년에 발명했다. 둘은 서로 교류한 적이 없이 각자 연구를 했지만, 같은 시기에 같은 장치를 만들었다. 스탬퍼가 개발한 페나키스티스코프는 실험2에서 살펴본 것처럼, 여러 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진 원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을 ... ...
- 보석 감정 현장 탐방 진짜 다이아몬드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여기 천연 다이아몬드와, 다이아몬드처럼 보이지만 성분이 다른 유사석이 있습니다. 이 둘을 뒤집어서 종이의 검은 선(혹은 점) 위에 올려놓아 볼게요. 천연 다이아몬드는 검은 선이 비치지 않아요. 반면에 유사석은 뒤쪽의 검은 선이 번진 것처럼 보입니다.왜 그런 것일까요? 바로 천연 ... ...
- 11화 점차 밝혀지는 10개 방의 비밀수학동아 l2013년 11호
- 2시간 먼저 이곳을 떠났어. 나한테서 동전도 하나 훔쳐갔지. 그를 막으려면 어서 서둘러라. 이쪽으로 가거라.”동전맨이 알려준 방향으로 가자 바로 다음 방이 나왔다.“드디어 여섯 번째 방이군.”폴리스가 문을 열기 전 친구들을 돌아봤다. 하루와 피타가 폴을 부축하고 있었다. 폴리스는 걱정스런 ... ...
- 70억 인류 정말 한가족일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현생인류의 몸안에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둘을 다른 종으로 구분하는 게 과연 옳을까요.인류는 정말 아프리카에서 홀로 기원했을까스트링거 박사와 월포프 교수의 논쟁은 끝났지만, 그 뿌리는 아직 완전히 끝난 것은 아닙니다. 단순히 누구를 인류에서 ... ...
- 꿈꾸는 삶이 아름다운 삶이다 (정형민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있어야 한다는 것이 정 교수의 지론이다.또 다양한 학문 분야에 대해 머리와 마음을 열어둘 수 있는 개방성과 네트워킹이 현대 연구자들에게는 무엇보다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유리화 난자 동결법도 사실 전자공학 연구자들과 대화를 하면서 도움을 받았던 것. 자신이 ... ...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아버지가 공무원 생활을 했는데, 한 집에서 대학생 둘을 키우기 힘든 형편이었다. 둘째 형이 대학에 입학하니, 대학에 다니던 큰형이 군대에 갔다고 한다. 그래서 그는 학비가 전혀 들지 않는 KAIST에 진학했다. 진로도 자연스럽게 의학계에서 이공계로 바꿨다. 하지만 KAIST에 진학한 뒤 고민에 빠졌다. ... ...
- [hot science] 지구의 중력에 감사하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적어도 초속 7km를 넘습니다. 여기에 인공위성이 빠른 속도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둘이 부딪히면 충격량은 두 배 이상이 됩니다. 대략 소형 자동차가 시속 50km 이상으로 부딪치는 것과 비슷합니다. 이런 파편 여러 개를 동시에 맞는다면 제아무리 우주왕복선이라도 버틸 수가 없겠지요.다행히도 ... ...
- 다시 별의 낭만을 꿈꾸며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그런 사람이라면 한 때 세상을 바꾸려고 했던 사람이거나, 낭만적인 사람이거나, 혹은 둘 다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다. 당신은 어느 쪽인가.루카치는 헝가리의 미학자이자 맑스주의자였다. 그의 이름이나 이력에 대해서 들어본 적이 없는 사람도, 이런 문장은 한번쯤접해봤을 것이다.“별이 빛나는 ...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