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딸랑딸랑~, 가까운 듯 멀리 떨어진 방울뱀 소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들리는 소리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을 거야. 이 현상을 오스트리아 칼-프란젠스 그라츠대학교 생물학과 보리스 차그나우드 교수팀이 연구했어. 그리고 8월 19일, 보리스 차그나우드 교수팀은 방울뱀이 실제보다 더 가까이 있는 것처럼 들리게 하는 전략을 사용한다고 발표했지. 어떤 전략이야 ... ...
- [기획] 황색망사먼지, 이렇게 똑똑하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않아 미로를 통과하는 가장 짧은 경로를 찾아냅니다. 이를 이용해 2010년 일본 홋카이도대학교 연구팀은 복잡한 교통망도 따라할 수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일본 수도권을 모사한 지도에 황색망사먼지를 두고 주요 위치에 먹이인 귀리를, 산과 강 등에는 황색망사먼지가 싫어하는 빛을 설치했죠. 2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나와 다른 사람의 권리 존중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방법이 없어 매번 저작자에게 직접 허락을 구해야 했어요. 그러던 2001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로렌스 레시그 교수는 저작권 소송 재판에 참여했다가 저작물을 더 쉽게 사용하도록 돕는 단체가 필요하다는 생각에 크리에이티브 커먼즈(CC)를 만들었어요. 또, 저작자가 저작물에 자유롭게 저작권을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여길 때가 많은데, 농사를 짓는 아메바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요. 2011년 미국 라이스대학교 연구팀은 일부 아메바가 먹이인 세균을 한꺼번에 다 잡아먹지 않고 일부를 남긴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이 아메바들은 남긴 세균이 증식해 숫자가 늘어나길 기다렸다가 잡아먹었답니다 ... ...
- [특집] 뜨겁다?구부러진다? 별난 얼음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요! 예! 와우! 흔들어! 전 세계의 수많은 얼음이 모여서 즐겁게 춤을 추고 있습니다.마치 아이스 락 페스티벌 같은 현장에서 디제잉을 하는 두 분,가만 살펴보니 디제이가 아니라 연구복을 입은 과학자네요? 이게 어떻게 된 일일까요? 지금부터 한 얼음씩, 인터뷰를 해보겠습니다! ▼이어지는 기 ... ...
- [특집] 꿀렁꿀렁~, 얼음이 국숫발처럼 구부러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유연성이 엄청 좋다고 하시던데 한 번 보여주세요!저는 지난 7월, 중국 항저우의 저장대학교 연구팀이 만든 얼음입니다. 머리카락처럼 길쭉한 실 모양이지요. 하지만 두께는 4.4μm(마이크로미터)●로 머리카락보다 20배 정도 가늘어요. 연구팀이 영하 150℃의 조건에서 얼음을 누르는 실험을 했더니, ... ...
- [이달의 과학사] 1849년 9월 26일 ‘파블로프의 개’실험의 파블로프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이전부터 뛰어난 생리학자였습니다. 1849년 9월 26일 러시아 랴잔에서 태어난 파블로프는 대학교에서 몸의 구조를 연구하는 생리학을 공부합니다. 특히 파블로프는 개를 이용해서 소화 기관의 원리를 알아보는 실험을 합니다. 신체 구조가 사람과 비슷하고, 키우는 데 큰 비용이 들지 않았거든요. ... ...
- [특집] 사람과 지구 모두를 멋있게! 친환경 패션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여러분, 환영합니다. 지구를 위한 패션 연구소장입니다. 우리 연구소에서는 지구를 지키는 패션에 관해 연구하고 있지요. 패션으로 어떻게 지구를 지키냐고요? 옷은 단순히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 아닙니다. 자신을 표현하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이죠. 어떻게 하면 사람과 지구 모 ... ...
- [특집] 버려진 물건에 새로운 생명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해결하면서, 뜻밖의 재료를 사용해 실험적인 패션 아이템을 만들어내고 있어요.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임은혁 교수는 “새활용 패션은 주어진 재료가 가진 한계 덕분에 오히려 창의적이고 과감한 디자인을 생각할 수 있도록 하는 원동력이 된다”고 분석했습니다.새활용 패션에 쓰일 수 있는 ... ...
- [특집] 색채연구소 지구를 위한 색깔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인터뷰 “미래에는 염색하지 않아도 색을 낼 수 있을 것입니다”안동진(건국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교수) Q미래에 염색의 오염 문제가 해결될까요?색깔은 꼭 염료를 사용해야만 낼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일부 나비의 날개나 공작 깃털은 색소 없이도 그 표면의 구조로 빛을 내는 ...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