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으)로 총 20,712건 검색되었습니다.
- 냠냠! 어수잼 ③ 비요의 스케치북 덕에...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8호
- 비요의 스케치북 덕에, 나무 위에 집이 생기고 숲속 마을의 동물 누구나 올라올 수 있는 사다리까지 뚝딱 완성됐어요. “이제 지붕과 창문, 대문만 그리면 집이 완성돼. 어떤 모양으로 만들어줄까? 여기에 그려진 사각형 중에서 골라 봐!” 네몽은 비요가 스케치북에 그린 사각형 모양을 한참 동 ... ...
- [출동! 슈퍼M] 정육면체가 아닌 주사위는 없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8호
- 정육면체 주사위에는 1부터 6까지의 수가 표시되어 있지만, 주령구에는 숫자 대신 글자가 적혀 있거든요. ‘노래 없이 춤추기’, ‘얼굴을 간지럽히며 놀려도 참기’, ‘시 한 수 읊기’ 등의 내용이지요. 주령구를 굴려서 나온 내용을 벌칙으로 삼으며 놀이를 즐겼던 거예요. 신라 시대의 귀족들도 ... ...
- [전지적독자위원회] “과학 덕분에 오심이 밝혀진다니 흥미로워”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방학과 휴가가 있는 8월, 과학동아 편집부도 설레는 마음으로 여름에 어울리는 주제를 준비해 봤습니다. 김미래 기자는 억울한 피해자에게 힘이 되는 법정의 과학을, 김소연 기자는 멀리 떠나지 않아도 앉은 자리가 휴가지가 되는 확장현실 기술을, 책을 좋아하는 이창욱 기자는 과학책 번역가와 함 ... ...
- [과학뉴스] 천산갑 닮은 로봇 몸 속 탐험한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무선으로 조종하거나 가열할 수 있다. 먼저, 로봇에 저주파 자기장을 가하면 로봇이 둥글게 말리며 앞뒤로 움직인다. 이 움직임으로 위나 소장 등 접근하기 어려운 깊숙한 장기까지 쉽게 이동해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로봇에 고주파 자기장을 가하면 로봇의 금속 부품을 70캜 이상으로 ... ...
- [과학뉴스] 땅콩이 맥주 속에서 ‘춤추는’ 이유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아르헨티나 사람들은 종종 마시던 맥주에 볶은 땅콩을 넣는다. 맥주보다 밀도 높은 땅콩은 맥주잔 밑으로 가라앉다가 이내 위로 올라오며 왔다갔다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아르헨티나 사람들은 이를 ‘땅콩 춤’이라고 부른다. 왜 땅콩은 맥주 속에서 춤을 출까. 루이스 페레이라 독일 뮌헨대 지 ... ...
- 억울한 사람이 없도록 과학으로 밝힌 오심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사건사고가 발생하면 사람들이 가장 주목하는 부분은 범인 검거다. 하지만 과학수사 전문가들은 한 목소리로, 과학수사의 진짜 목표는 억울한 사람이 없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과학수사가 구해 낸 무고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함께 살펴보자. 2018년 5월 31일 늦은 밤, 강원도의 한 4차선 도로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오펜하이머’ 원자폭탄보다 두려운 수소폭탄이 한국에 떨어진다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인셉션’, ‘인터스텔라’ 등 걸출한 SF영화들로 국내에서만 3315만 관객을 동원한 거장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이 돌아왔습니다. 8월 15일에 개봉하는 영화 ‘오펜하이머’는 원자폭탄 개발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천재 과학자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전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 편집자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별의 쏟아지는 은하의 중심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중심 별들의 궤도 공명이 흐트러지고 가늘고 긴 뚜렷한 막대 구조가 통통하고 둥글게 변해 약해진다. 블랙홀이 최대가 되면 막대 구조는 거의 사라진다. 이 발견을 다양한 은하에 적용하면 재밌는 추론이 가능하다. 어떤 두 은하의 중심에서 길이가 정확히 같은 막대 구조가 발견됐다고 생각해보자. ... ...
- 여름 번역가와 떠나자! 과학책 북캉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관련된 기사를 보려면?Part1. "적어도 과학책은 문장 때문에 고민하지 않도록"Part2. "지루하던 과학 과학책을 만나면서 재밌어졌죠"Part3. "덕후가 쓴 책을 번역할 때 가장 신이 나요" ...
- "지루하던 과학 과학책을 만나면서 재밌어졌죠"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몇년 동안 번역돼 나오기만을 오매불망 기다리던 책이 있었다. 미국 신문 뉴욕타임스의 과학 칼럼니스트인 칼 짐머가 쓴 ‘웃음이 닮았다’이다. 멘델의 완두콩부터 최신 유전자 편집 기술인 크리스퍼까지 다룬 방대한 유전의 서사시를 읽으며 이런 두꺼운 책은 어떤 사람이 번역했을지 궁금해 ...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