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개요
요약
적요
개괄
귀결
추정
d라이브러리
"
결론
"(으)로 총 2,137건 검색되었습니다.
뇌파는 신호일까 잡음일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물리학 저널에 발표했다. 유럽 의사들의 재반격이 시작된 것이다. 아직도 이 문제는
결론
을 내리지 못하고 있지만 유럽 의사들은 뇌파를 분석하고 모델링하는 일에 몰두하고 있다.한편 좀더 실제적이면서 구체적인 방식으로 ‘가제트 프로젝트’를 연구하는 공학자들도 있다. 독일 튀빙겐 대학의 ... ...
③ 추론 : 주인 취향 맞춰 비서 노릇 척척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지식을 표현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들 지식을 사용해 주어진 상황에 적절한
결론
을 도출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예를 들어 사람은 커피를 마시며 신문을 보고 음악을 듣는 일을 자연스럽게 행할 수 있다. 이때 머리 속에서 동시적으로 여러 가지 생각이 맴돌기도 한다. 그날의 주가를 ... ...
산불 그 후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황폐지를 조기에 회복시킬 수 있다는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
적으로 영동지방의 산불피해지 복구 방안은 자연복원을 주장하는 생태전문가의 의견과 인공복원을 주장하는 산림전문가의 의견을 종합해 수립해야 할 것이다.아카시아 꽃피면 발뻗고 잔다해마다 날씨에 ... ...
3. 우리은하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대해 약 2백-3백km/초의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우리은하의 모양이 원반처럼 생겼다고
결론
을 내렸다.한편 1930년대부터 은하수로부터 오는 전파를 감지하고 이것이 중성수소에서 발생한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은하연구에 전파천문학적 방법이 도입됐다. 1958년 오르트와 그 동료들은 전파망원경을 ... ...
Ⅱ. 신나는 과학수업의 현장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말이다.최원호 교사는 문제를 인식하고 가설을 설정하고 탐구과정을 설계하고
결론
에 이르는 과정을 보고서에 잘 쓰는 것이 당장 과학 점수를 올린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탐구과정은 학생들에게 고기를 잡아주기보다는 고기를 잡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라고 여긴다. 또 과학을 ... ...
1. 비눗방울 표면에 붙어있는 은하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감마선 버스트(폭발)의 분포를 보아도, 그 분포가 매우 균일하고 등방적으로 보인다.
결론
적으로 말하면, 작은 규모에서는 우주가 매우 불균일하고 비등방적이지만, 큰 규모에서 보면 우주는 균일하고 등방적이라고 할 수 있다.넓은 지역에 걸쳐 멀리 있는 은하들을 관측해 그 분포를 살펴보면 이런 ... ...
자신감으로 똘똘 뭉친 터프 가이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관한 경험을 쌓았다. 그곳에서 이 정도면 얼마든지 국내로 들어가서도 자신있다는
결론
을 내렸다. 현재 개발한 선플라는 그가 미국에서 국내로 귀국할 때 가져온 20개의 계획 중 한가지를 성공시켰을 뿐이다.늘 자신감에 차있던 김소장이었지만 실패의 그림자는 그를 피해가지 않았다. 사실 선플라 ... ...
추진력과 성실성 갖춘 로봇축구의 대부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탄생시키기 위한 연습이란 것을 그 누가 알았을까.최선을 다하면 기회는 온다축구로
결론
이 나자 해결해야 할 일은 화산이 폭발하듯 쏟아졌다. 시스템 개발, 경기규칙 만들기, 경기장과 공의 재질 문제 등 해결해야 할 일이 한둘이 아니었다. 지금 보면 별 것 아닌 것 같아도 이 모든 문제를 혼자 ... ...
2001 우주 오디세이(2001 A Space Odyssey)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하도록 명령받았는데, 할은 이 모순적인 상황에서 혼자 고민하다가 나름대로 논리적인
결론
을 내리고는 독자적인 조치를 취한 것이었다. 즉 모순의 원인을 아예 제거해버리려 했던 것이다.디스커버리호가 제이페투스를 선회하는 공전 궤도에 들어선 뒤, 보먼은 제이페투스 표면에 있는 거대한 ... ...
만약 빛의 속도가 아주 느려진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관측자에게는 적어도 길이가 다를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복잡한 수식을 쓰지 않고
결론
만 말하면 물체에 대해 움직이는 관찰자에게 그 물체의 길이는 정지한 관찰자보다 짧아진다.이러한 현상은 빛의 속도가 아주 작아진다면 쉽게 눈에 뛸 것이다.만약 빛의 속도가 시속 1백km라면 시속 50km로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