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실
진정
사실
순정
순수
본인
참
d라이브러리
"
진짜
"(으)로 총 1,387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큰 날짐승
과학동아
l
198709
만들어졌다.그러나 이 일은 엄청나게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프테로사우루스가
진짜
날개를 퍼덕이는 날짐승으로 보려는 경향이 짙어졌다. 날짐승이라면 큰 에너지가 필요하므로 보다 많은 과학자들이 프테로사우루스는 털로 뒤덮힌 더운피 동물이었음이 틀림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 ...
컴퓨터 수입개방의 파장 선진화를 위한 도약대가 될것인가
과학동아
l
198707
이제도 늦지 않았다. 어떻게하면 쉽게 제품을 생산할 것이가만 고민하지말고
진짜
우리 것이라고 부를 수 있는 PC개발에 투자해야한다. 컴퓨터 수입자유화는 상당히 어려운 시련을 가져오겠지만 정부 기업 국민이 모든 지혜를 동원해 이 시련을 극복한다면 더 큰 발전의 계기가 될 것이다 ... ...
토리노의 수의(壽衣) 정말 예수의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05
Troyes) 조차도 1389년에 예수의 수의를 대중들이 모두 볼 수 있게 전시되었을 때 그것이
진짜
라고 말하질 않고 단지 똑같이 그린 그림에 불과하다고 말했던 것도 당시 상황으로 보아서 놀랄만한 일은 아니다. 그후 그 수의의 소유는 처음 기록에 의한 소유자‘샤르니’의 손녀딸에게로 넘어갔고, 1453년 ... ...
AIDS 왜 동성연애자에 많은가
과학동아
l
198703
백신을 만들기는 쉽다. 죽거나 약화된 바이러스를 몸에 주입하면 면역체계가 생겨
진짜
바이러스가 나타났을 때 이를 공격하도록 항체를 생산하는 B세포 상비군을 만들어낸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죽거나 약화된 AIDS 바이러스를 포함한 백신은 너무 위험하다. 생산과정에서 몇개라도 소생하면 ... ...
거짓말탐지기에서 DNA식별법까지 현대의 과학수사
과학동아
l
198703
피가 주위의 물체에 부착, 응고된 것을 말한다. 범행현장에서 혈흔을 채취한 후 우선
진짜
피자국인지를 구별하고 사람의 혈흔인가, 동물의 혈흔인가를 가려낸 다음 A·B·O·AB형으로 분류한다.혈액형이 판정되면 이것이 피해자의 것인지 용의자의 것인지를 알아낸다. 이때 혈액형이 같다는 ... ...
인류기원의 혁명적 반론 이브는 흑인이었다!?
과학동아
l
198702
자취를 감춰버린 노이세이의 가지에 놓였다. 한편 '리키'가 발견한 그 까마득히 오랜
진짜
두개골은 미국의 학자들에 의해 논란거리가 되고 유럽인들의 눈총과 멸시를 받았다. '루시'라 이름붙여진 작은 여인-2년뒤 '뼈다귀 소동'(bone rush)이 일어나 다들 다투어 유골을 수집하게 되었다. 유럽과 북미, ... ...
동의보감 편찬한 의성(醫聖) 허준(許浚)
과학동아
l
198611
써있다. 임금은 “옛날부터 전해오는 처방 가운데 번잡하고 실용성 적은 것은 버리고
진짜
보물됨직한 처방만 골라 의학의 경전을 정리해 내라”고 당부했고 이에 따라 허준은 이 책의 편찬에 착수했던 것이다.선조는 이를 위해 궁중에 보관돼 있던 의학서적을 모두 내주어 참고케 했다. 모두 ... ...
PART 2 기억구조를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8610
열심히 하고 빨리 배우므로 미로찾는 것이 뚜렷이 진전되지만, 루펩틴을 주사한 쥐는
진짜
바보였다. 따라서 우리는 이 사실로부터 칼페인과 칼페인이 초래하는 뉴런 변화가 선언적 지식을 획득하는 데 중요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그러면 처리적 지식은 어떠한가? 처리기억이 형성 될 때는 ... ...
전기 인형으로 호랑이 퇴치
과학동아
l
198609
최근 조사해보니 인형중 8개가 공격을 받았으며 호랑이들이 전기 충격을 받았음인지
진짜
사람을 공격하는 회수도 줄었다는 것. 인도정부는 이같은 결과를 놓고 호랑이 보존에도 성공했고(1백에서 2백60여마리로 늘어난 것으로 추정)사람 희생도 줄이는데 성공했다고 기뻐하고 있으나 세계의 ... ...
생산과 소비의 갈등을 해소한다
과학동아
l
198609
피난중에 드셨던 은어를 잊을 수가 없어 그것을 진상케 하였다. 은어를 맛본 왕은 "이게
진짜
은어냐? 왜 맛이 이리도 없는고!" 하면서 그것을 "도루 묵이라 해" 라고 했단다. 우리는 지금도 '도루묵'이란 생선을 볼 수가 있다. 그러나 왜 '묵'이 '은어'가 되었다가 다시 '도루묵'이 되었는가를 반추해볼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