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hysics
물리학학문
물리
화학물리학
화학
자연 과학
물리과
d라이브러리
"
물리학
"(으)로 총 2,059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역학의 해석
과학동아
l
200010
양자역학은
물리학
이론 중에서 가장 악명높은 이론 중 하나이다. 수학적인 정식화는 약간의 노력을 들이면 이해할 수 있지만, 그 개념적인 토대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그리 녹녹한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1935년 아인슈타인과 포돌스키와 로젠은 ‘양자역학적 기술이 완전하다 할 수 있는가?’라는 ... ...
④ 미시세계에서 우주까지 설명하는 만물박사
과학동아
l
200010
양자론에 어긋나는 단 한가지 실험도 존재하지 않는다.그렇다면 한계는 없는가. 이론
물리학
자들은 양자론에도 분명히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그 이유는 비록 인간이 접근할 수는 없지만 크기가 매우 작은 극미의 세계는 분명히 존재하는데 현재의 양자론은 이런 엄청나게 작은 ... ...
휠체어의 천재
물리학
자 스티븐 호킹
과학동아
l
200010
1명이 필수적으로 동행해야 한다. 이번 방한도 예외는 아니었다. 조수인 닐 쉐러(23) 씨는
물리학
석사 출신. 6개월 전부터 호킹 교수의 일을 돕고 있다. 강연이 있는 날이면 호킹 교수의 설명에 맞춰 컴퓨터에 저장해 놓은 슬라이드를 강연장 스크린에 보여주는 역할을 하는 등 호킹 교수와 관련된 ... ...
① 20세기 새로운 세계관의 출발 양자가설
과학동아
l
200010
새롭게 할 일이 없는 것 같은 답답한 상황이 바로 혁명이 시작되는 시점이었다.20세기초
물리학
내의 혁명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 성실하게 일했던 대기만성형의 평범한 과학자에 의해서 시작됐던 것이다 ... ...
Ⅰ. 지평선의 보름달이 커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09
때문이다.멀리 있다고 생각해 커보인다금년 초 미국 심리학자 로이드 카우프만과
물리학
자인 아들 제임스 카우프만이 거리착시에 관해 재미있는 실험을 수행했다. 그들은 특수장치를 통해 입체적인 달 이미지를 구현했다. 즉, 특수장치에서 나온 달 이미지가 마치 실제하늘에 떠있는 것처럼 ... ...
짧은 파장을 얻으려는 시도에서 출발한 레이저
과학동아
l
200009
성공했다. 그 공로로 타운스와 바소프, 그리고 프로호로프는 공동으로 1964년 노벨
물리학
상을 수상했다. 그 후 1960년 휴즈항공사의 마인만(1927-)이 최초의 레이저 발진장치를 만들어냈다. 이것이 바로 최초의 루비레이저다.초기의 레이저는 양끝을 거울처럼 매끈하게 만든 루비막대에 소용돌이 모양의 ... ...
스티븐 호킹 교수, 8월말 내한
과학동아
l
200009
떠날 예정이다.호킹이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것은 무엇보다 그의 과학적 업적이 현대
물리학
의 흐름을 바꾸어 놓았기 때문이다.그동안 그는 특이점 정리, 블랙홀의 증말, 양자증력론 등 혁명적인 이론을 내놓았다 ... ...
저절로 박자 맞추는 박수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09
유명한 음악회가 끝났을 때 감동에 겨워 박수를 친다.그런데 이따금씩 청중들의 박수가 박자를 맞추는 일이 생긴다.의식적이지 않은 이 행동은 같은 방을 쓰는 ... 느끼기 위해 한목소리로 노래하는 것은 아닐까.자연의 리듬에 귀기울이기 시작한
물리학
자들의 명쾌한 해답을 기다려본다 ... ...
무선통신의 창시자 마르코니
과학동아
l
200009
인정받아 1909년에 무선기기의 성능 개량에 큰 공을 세운 페르디난트 브라운과 함께 노벨
물리학
상을 받게 된다.그 뒤 마르코니는 기술개발과 사업활동 뿐만 아니라 국가와 사회를 위해 봉사활동을 벌이다 1937년 로마에서 세상을 떠난다.마르코니의 죽음이 전해지자 세계의 모든 라디오 방송은 2분 ... ...
만약 양성자가 중성자보다 무거워진다면?
과학동아
l
200008
핵력에 대한 연구가 활발했다. 불확정성 원리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하이젠베르크는 핵
물리학
분야에서 많은 업적을 쌓았다. 그 중 하나는 핵자들 사이에 작용하는 핵력은 그 핵자들이 양성자이든 중성자이든 그 크기가 같다는 것이다. 즉 양성자와 양성자 사이의 핵력, 양성자와 중성자 사이의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