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로
신작로
차도
찻길
진로
레일
경로
d라이브러리
"
궤도
"(으)로 총 1,649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은 왜 비스듬히 뜨고 지는가
과학동아
l
199203
천구의 연주운동이라 부른다.지구는 1년(약3백65일)동안 태양을 1바퀴(3백60°)공전하므로
궤도
상에서 약 1°를 움직이게 된다(그림10). 따라서 어젯밤 자정에 남중했던 별은 오늘밤 자정에 남중하지 않고(그림10)에서처럼 반드시 서쪽으로 약 1° 치우쳐 있게 된다.이는 물론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 ...
독성 동물에서 천연 항생제 얻는다
과학동아
l
199203
원하는 세포에 정확하게 독성물질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파충류생화학이 본
궤도
에 올라 뱀독의 본질이 좀더 자세히 밝혀진다면 제약회사들이 앞다퉈 뱀사냥에 나서게 될지도 모른다. 지금까지 주로 먹이나 적을 향해 발사됐던 뱀독이 방향을 바꿔 인간의 미생물을 향하게 될 날도 ... ...
디스커버리호 3개국 과학자 동승
과학동아
l
199203
어떤 영향을 주는가도 조사했다.사실 지구에서 1백 84마일(1마일은 약 1.6㎞) 떨어진
궤도
위를 비행하고 있는 디스커버리호에 가해지는 중력의 크기는 지구위에서 받는 중력의 1천분의 1 수준이다.이밖에도 바다새우의 양식실험, 냉장고에 콤프레서 대신 음파를 활용할 때의 효능실험, 무중력하에서 ... ...
별자리, 왜 계절에 따라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02
때문에 아무 문제없이 (그림5)와 같이 천구에 들어갈 수 있다는 사실이다. 지구의 공전
궤도
를 수평으로 놓고 대신 지구를 기울인 그림만 보아온 학생들은 (그림5)를 이해하는 일이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 낮에 보이는 태양은 우리 눈에 별들보다 더 가까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태양이나 ... ...
하나가 천이 되는 씨앗
과학동아
l
199202
80%까지 줄여야 한다. 이러한 일이 과연 전지구적으로 가능할까?지구라는 우주선이
궤도
수정을 하기 위해서는 탑승객 51억명의 도움이 필요하다. 탑승객 전원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완전히 살아가는 방법을 바꾸어야만 하는 것이다. 특히 과학문명의 혜택을 많이 받는 문명국에 사는 사람일수록 ... ...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소)설립
과학동아
l
199201
대학으로 간 경우도 있었는데···.설립 5년째 되면서 연구계약고가 1천만달러를 넘어 본
궤도
에 올라섰다. 70년대는 2천만달러가 되어 정부에서 돈한푼 안줘도 먹고 살 수 있을 정도가 됐다. 계약연구제는 이렇게 자리를 잡아나갔다 ... ...
밤하늘은 천체교육의 산 교실
과학동아
l
199201
때문이다.예를 들어 내행성의 최대이각 문제를 살펴보기로 하자. 수성과 금성의 공전
궤도
는 상대적으로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두 행성은 언제나 태양근처에서 발견된다. 따라서 수성과 금성은 태양으로부터 어떤 각거리 이상 멀어질 수 없는데, 바로 이 한계가 되는 각거리를 우리는 ... ...
왜 소행성들을 관찰하는가?
과학동아
l
199201
그 모양이 매우 불규칙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모든 소행성들이 화성과 목성의
궤도
사이에 자리잡고 있는 것은 아니다. 어떤 것들은 목성밖에서 헤매고 어떤 것들은 화성보다 더 가까운 곳에서 움직이기도 한다. 이중 후자에 속한 것들이 더욱 흥미로운데 이는 가까운 소행성들이 가끔씩 ... ...
태양계 10번째 행성은 없다
과학동아
l
199201
모임에서 자신의 계산방식을 바꾸어 이 변화된 사실에 맞추려고 했다. 그는 행성X의 공전
궤도
가 타원형이며 주기는 1천년, 3백년전에 태양에 가장 가까이 다가갔다고 주장했다. 또 이 행성은 명왕성보다 50퍼센트정도 더 먼곳에 있었으며 태양계 면에 30도정도 기울어져 있다고 덧붙였다.이 계산결과 ... ...
멋진 별밤을 약속하는 용감한 사냥꾼
과학동아
l
199201
태양계와 비교하면, 중심에 태양이 있을 때 최대크기 시의 베텔기우스 표면은 목성
궤도
를 넘어설 것이다.베텔기우스가 변광성이란 사실이 최초로 알려진 것은 1836년 존 허셀(John Herschel)에 의해서다. 1849년에 그는 이 별의 밝기 변화가 1836년에서 1840년까지 특히 주목할만한 변화를 보였다고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