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뉴스
"
지지
"(으)로 총 3,892건 검색되었습니다.
감염 초 코로나 6시간마다 2배로…감기 바이러스가 이거 막는다
연합뉴스
l
2021.06.17
리노바이러스에 먼저 노출된 기도 조직에선 신종 코로나가 감염해도 전혀 복제가 이뤄
지지
않았다. 리노바이러스를 제거해도 동일한 방어력이 작용했고, 신종 코로나의 감염 속도도 늦춰졌다. 하지만 감염에 필요한 바이러스 입자의 양(量), 즉 '감염량(infectious dose)'이 낮을 때만 이런 방어력이 ... ...
NIH “미국 코로나19 바이러스 2019년 12월에 이미 확산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6
것으로 분석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에서 유행 초기 진단키트나 테스트가 신속히 이뤄
지지
않은 상황에서 공식 확인된 확진자가 나오기 몇 주 전부터 이미 미국 본토에서 바이러스가 확산됐을 것이라는 추정을 뒷받침하고 있다. 연구 프로그램을 주도한 조쉬 데니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 ...
30대 민방위 2년차 얀센 백신 맞아보니..."하루 지나고 가벼운 몸살기만"
동아사이언스
l
2021.06.15
다시 상기시켜줘 도움이 됐다. 다만 구삐는 3일차 안내에 대한 업데이트는 아직 이뤄
지지
않은 듯했다. 접종 3일째인 15일 오전 8시 구삐는 몸 상태를 물어보는 것과 동시에 “2차 접종도 꼭 받으세요”라는 메시지를 보냈다. 얀센 백신은 1회 접종으로 완료되는데 혼선을 일으킬 수 있는 메시지를 준 ...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이상반응에 추가된 모세혈관 누출 증후군이란
동아사이언스
l
2021.06.14
등을 보고하지만 이러한 선행 병증을 겪지 않는 환자도 있다.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
지지
않았다. 유럽의약품청(EMA) 안전성위원회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자 7800만 건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6건의 모세혈관 누출 증후군 사례를 확인했다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부작용에 이를 추가한다고 ... ...
G7, 중국에 코로나19 기원 조사 협력 촉구…전문가들 "유출설 아직 근거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1.06.14
자료 접근권을 제한해 충분히 조사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나오면서 WHO 조사가 제대로 이뤄
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일었다. WHO도 두 번째 조사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중국 기원설은 최근 다시 미국 언론을 중심으로 중국 우한바이러스 연구소 연구원들이 코로나19가 공식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누군가 내 분노의 버튼을 누른다면
2021.06.12
있다는 소외감이다. 미국의 경우 많은 총기 난사들이 세상이나 사람들로부터 받아들여
지지
않았다는 소외감과 관련되어 있다는 보고들이 있다. ⑤ 상호성 부재 리어리 교수는 사람들의 분노의 버튼을 누르는 사건들 중 다수가 사회적 동물로서 함께 조화롭게 살아가려면 지켜야 하는 규칙들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휘어지는 빛
2021.06.11
주었다. 1차 대전은 1918년 11월에 끝났다. 만약 에딩턴의 양심적 병역거부 신청이 받아들여
지지
않았거나 다른 형태의 대체복무를 하게 되었다면 에딩턴은 1919년의 일식을 탐사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랬다면 에딩턴의 시도도 프로인틀리히의 에피소드처럼 전쟁이 어떻게 과학연구를 ... ...
국내 백신 접종자 7월부터 '트래블 버블'로 싱가포르·태국·괌 여행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9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 가이드가 방역전담관리사 역할을 병행할 지 별도로 둘 지는 정해
지지
않았다. 또 여행사는 여행객들의 백신 접종 증명서 진위 여부를 확인할 의무를 가진다. 정부와 여행사가 교차 검증을 할 수 있도록 했다는 설명이다. 단체 여행객들은 정해진 동선 외에 이동이 불가하다. ... ...
"코로나19 생활방역 시행하자 가와사키병 40% 줄었다"
연합뉴스
l
2021.06.09
않을 경우 약 20%에서 관상 동맥에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아직 뚜렷한 원인은 밝혀
지지
않았지만, 유전학적 요인이 있는 소아가 병원체에 감염됐을 때 비정상적인 면역학적 반응이 나타나면서 발병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코로나19 발생 후 시행된 마스크 착용과 손위생, 사회적 ... ...
미 FDA 18년만에 치매 진행 늦추는 신약 정식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1.06.08
일어난다. 하지만 아직까지 단백질 침전물들이 왜 특정 뇌 영역에 나타나는지 밝혀
지지
않았다. 아두카누맙은 이 단백질 침전물에 결합하는 항체 단백질로 만들었다. 침전물에 결합한 항체 단백질들은 침전물을 제거해 뇌 세포가 파괴되는 것을 막는 원리다. 바이오젠은 지난해 10월 3482명을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