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용
이용
사용
활용
어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애프리케이션
뉴스
"
응용
"(으)로 총 2,870건 검색되었습니다.
스스로 빛내고 알아서 선명하게… 디스플레이가 살아 숨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3
만든 발광물질 안에서 전자와 전자가 빠진 입자(정공)가 만나면 빛을 내는 성질을
응용
한 소자다. 유기물 종류에 따라 색이 다르다. 화소 하나하나가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에 백라이트가 필요 없고 검은색을 표현할 땐 화소를 끄면 돼 어두운 색 표현에 유리하다. 매우 얇은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 ...
‘미세먼지 없애는 음악’ 음파 기술로 작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3
게 쉬워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필터 교체 공기청정기 한계 극복...
응용
분야 확대 가능 이효수 박사가 미세먼지 측정기가 달린 장비를 조절하고 있다. 동아사이언스DB 기존에 미세먼지를 잡는 기술은 대부분 필터에 공기를 통과시키는 방식이다. 하지만 필터를 매번 갈아줘야 ... ...
세계 최고 수준 인공 촉각세포 만든 김도환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에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소자 및 시스템 기술 개발에 뛰어들었다. 이를 통해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응용
연구부터 차세대 미래 지향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연구에 이르기까지 큰 줄기 기반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사람의 촉각을 모방한 초고감도 이온트로닉 전자피부를 개발해 주목을 받았다. 2017년 ... ...
태양 옆서 우리은하 최대 별 형성 가스 구조물 발견
연합뉴스
l
2020.01.08
위성이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천체통계학과 자료 시각화, 수치 시뮬레이션 기법 등을
응용
해 3D 지도를 만들었다. [ESA/ATG 미디어랩, ESO/S.브루니어 제공] 굿맨 교수는 "어떤 천문학자도 우리가 이처럼 거대한 파도 형태의 가스 구조물 바로 옆에 살고 있다거나 이런 거대 구조물이 우리은하의 ... ...
QLED vs. OLED vs. 마이크로LED…CES는 디스플레이 기술 각축장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받아 다른 파장의 빛으로 변화시키는 일종의 형광 방식을 PL이라고 부른다. 퀀텀닷을
응용
한 디스플레이는 빛을 내는 반도체의 크기가 작은 만큼 세밀한 표현이 가능하고, 표현하는 가시광선의 색을 결정하는 요소인 빛의 파장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OLED 못지않게 얇으면서도, 보다 싸고 ... ...
노도영 IBS 원장 기자간담회 일문일답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평가하기로 했다. 다만 연구단의 연구성과가 우수해도 종료될 수 있다. 기초과학보다는
응용
으로 넘어가야 하는 분야나 IBS 장기 비전에 맞지 않는 경우 등이다. 지속되는 연구단은 3년 단위로 평가해 지속될 수 있다.” Q. 과기정통부 감사나 특별점검 등에서 문제시됐던 연구단 상황은. “당면한 ... ...
'미니장기'로 항암제 부작용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오가노이드는 환자 개인별 약효를 시험하는 정밀의학과 미래 재생의학에 폭넓게
응용
할 수 있는 분야”라고 말했다. 인터파크 제공 2020년 쥐의 해를 맞아 '대표 실험동물’인 쥐가 주목받고 있다. 쥐는 인간과 생김새가 완전히 다르지만 유전자의 99%가 같아 인류의 질병을 극복하는 연구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수생 식충식물의 사냥비결은 끝이 말리게 진화한 주머니
동아사이언스
l
2020.01.05
더는 먹잇감을 사냥하는 덫의 기능을 하지 못했다. 데릭 몰턴 영국 옥스퍼드대 산업및
응용
수학센터 교수는 사이언스 3일자에 실은 기고문을 통해 “특정 유전자들이 각 부분에서 다르게 발현하는 덕분에 한 식물에서 편평한 잎과 주머니 모양 통발이 함께 자랄 수 있는 것”이라며 ... ...
[주말N수학]'위대한 적분가'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20.01.04
앤드루 버노프 미국 하비머드칼리지 수학과 교수가 1981년 처음 열었습니다. 당시 MIT
응용
수학과 3학년 학생이었던 버노프 교수는 ‘알파벳이 영어의 근본인 것처럼 수학의 근본은 적분’이라고 생각해 MIT 학생을 대상으로 적분 대회를 개최했습니다. 당시에는 각 단계 문제가 적힌 칠판에서 ... ...
홍창선 전 KAIST 총장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20.01.02
연세대와 동 대학원에서 기계공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고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에서
응용
역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1년 KAIST 항공우주공학과 부교수로 임용된 뒤 2001년 11대 총장에 임명돼 2004년까지 KAIST를 이끌었다. 한국항공우주학회장과 삼성 이건희장학재단의 초대 이사장을 역임하며 전공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