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인
자신
자기
자아
내
뉴스
"
나
"(으)로 총 4,811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먹이사슬 타고올라간 '신경독' 최상위 포식자 위협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8
확인된 종이다. 이 신경독을 품고 있는 수생 식물을 섭취한 물고기
나
벌레를 맹금류
나
야생 포식자들이 잡아먹을 경우에도 죽음에 이르는 신경질환에 걸릴 수 있다는 게 연구자들의 분석이다. 수생 식물에서 자라는 시아노박테리아는 질병을 일으키는 신경독을 생성해 먹이 사슬을 통해 야생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실제 통증과 불필요한 괴로움을 구분하라
2021.03.27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
나
대에서 자기 자신에게 친절해지는 법과 겸손, 마음 챙김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 ...
코로
나
백신 맞고 이상반응, 여성이 남성보다 왜 더 많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3.26
GIB 제공 “몸이 덜덜 떨려 이는 딱딱 부딪히고, 온몸은 땀으로 푹 젖고, 너무 추웠어요.” 뉴욕타임스는 25일(현지시간) 신종 코로
나
바이러스 감염증 ... 만들기 위한 과정으로 그만큼 백신이 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신호”라며 “이상 반응이 많다는 게
나
쁜 것만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 ...
펜으로 그리면 입체 구조물되는 4D 프린팅 기술
나
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5
3D 프린팅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
나
현재까지 개발된 4D 프린팅 기술은 형상기억합금과 같은 특수 소재를 활용해야 해 접근성이 좋지 않다. 공동 연구팀은 2차원 인쇄 도구인 펜으로 자유롭게 그린 그림을 3차원 구조물로 변환시킬 수 있는 ... ...
아프냐?
나
도 아프다…한미 연구팀 "침 치료, 환자-한의사 상호작용 클수록 효과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통증이 감소해 환자가 미소를 지으면 치료자가 따라서 미소를 짓는 등 얼굴에
나
타
나
는 표정 변화를 통해 미러링 효과를 측정했다. 정 선임연구원은 “환자와 치료자의 얼굴 표정이 상대방을 따라 많이 변할수록 상호작용이 큰 것”이라며 “환자의 통증이 클수록 미러링 효과는 낮은 반면 통증이 ... ...
전세계 백신 27% 생산하는 미, 수출은 제로…자국 우선접종 영향
연합뉴스
l
2021.03.23
백신 400만 회 분을 제공하려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바이든 행정부의 코로
나
19 태스크포스에 참여했던 제크 이매뉴얼 펜실베이니아대 학장은 "미국은 초과 공급 상태가 될 것"이라며 미국의 태도가 비윤리적일 뿐만 아니라 외교적, 전략적 실수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유럽의 한 외교관은 ... ...
[과기원은 지금] UNIST, '
나
노주름' 관찰·제어 동시 가능한
나
노현미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또 연구팀은
나
노현미경으로 ‘빛 입자’로 불리는 엑시톤이 이셀레늄화텅스텐(WSe₂)의
나
노주름으로 모여드는 ‘엑시톤 깔때기’ 현상을 규명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창업진흥센터는 ‘2020년 예비창업패키지 지원사업 특화분야(AI)에 참여 중인 세 기업이 24~26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 ... ...
[표지로 읽는 과학] 9300만년 전 백악기 바다엔 날개 달린 상어 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1
사이언스 제공 9300만 년 전 중생대 말기인 백악기 바다에는 양쪽으로 펼치면 자기의 몸길이보다 긴 지느러미를 가진 상어가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 사라진 것으로 추정되는 6600만 년 전 대멸종 당시 함께 멸종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래상어
나
대왕쥐가오리는 대멸종 이후 새롭게 출현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
나
는 세계 최초의 토론하는 AI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0
이벤트를 열고 프로젝트 디베이터와 2016년 세계토론선수권대회 우승자인 하라시
나
타라얀이 토론을 벌이는 장면을 생중계했다. 결과는 프로젝트 디베이터의 패배였다. 하지만 당시 포브스는 3월 7일자에 “프로젝트 디베이터는 자연어 처리에서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를 넘어섰다”고 ... ...
네이처 "코로
나
19 집단면역 형성 어려워지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0
있다"고 말했다. 네이처는 또 백신 접종률이 높아져 사람들이 접촉하는 횟수가 늘어
나
고 마스크 착용 의무화를 해제하는 등의 조치도 집단면역 형성의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