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아무도 모르는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우주에 물질이 어떻게 퍼져 있는지 알 수 있다. 이를 이론으로 계산한 우주의 임계 밀도(Ω0)와 비교하면 우주가 어떤 모양인지 추측할 수 있다. 임계 밀도는 우주의 형태를 결정짓는 값으로 1보다 크면 구, 1보다 작으면 말안장, 1이면 편평한 모양이다. 우주배경복사 관측을 통해 얻은 값은 1과 거의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다울링-윌슨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수학 학술지 ‘악타 매스매티카’에 실릴 예정입니다. 1974년 만들어진 추측이 무려 40여 년 만에 해결된 겁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대수기하학자도 까다로워서 잘 쓰지 않는다는 도구를 사용했습니다. 세계 수학계가 주목하는 허준이 박사허 박사는 2014년 박사학위를 받은 새내기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페그 솔리테어의 필승 전략 클라인 4원군!수학동아 l2017년 09호
- 하며, 오른쪽 위 방향으로 대각선을 그었을 때 같은 문자여야 해요. 그러면 x, y, z와 숫자 0은 다음과 같은 덧셈 연산을 만족한답니다. ㅜ대수학에서는 이를 ‘클라인 4원군’이라고 불러요. 이제 페그 32개를 가운데 구멍을 뺀 모든 구멍에 올려놓고 페그가 놓인 구멍의 문자를 모두 더해봐요. ... ...
- [Issue] 승용차 강판이 ‘쿠킹호일’입니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벌어지면 자동으로 고객센터에 알리고, 고객센터가 스피커폰으로 긴급통화를 겁니다. 30초 안에 대답이 없으면 구조기관에 연락을 취하죠. 결국 차가 실험을 사고로 인식해 벌어진 해프닝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
- Part 1. DNA는 의외로 수다스럽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이 정도는 껌이지’라고 말하는 것 같았지만, 그 과정은 절대 껌이 아니었다. 오전 10시에 시작한 실험은 오후 5시가 되도록 끝나지 않았다. 기자의 지문이 묻은 지폐에 닌하이드린(Ninhydrin) 용액을 뿌리자 지문의 모양이 선명하게 드러났다. 증거물이 천이라면 혈액이 묻은 부분을 동그랗게 잘라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퍼즐, 수학이 되다!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이 조건만 만족해도 (n, q, 2) 디자인이 있다는 것을 보였습니다. r>2일 때는 그 후로 30년이 훌쩍 지난 2014년 피터 키바쉬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교수가 해결했습니다. 그런데 2017년 6월 6일 키바쉬 교수의 결과를 포함한 더 일반적인 연구 결과가 등장했습니다. 영국 버밍엄대학교의 박사 과정생인 ... ...
- 본 色(색)을 드러내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DCI-P3(이하 P3)라는 색공간이 주목받고 있어요. 이 색공간은 월트 디즈니, 소니 픽처스, 20세기 폭스 같은 영화사가 디지털 영화 상영을 위해 만든 색공간이에요. 지금까지 가장 대중적으로 쓰고 있던 색공간과 비교해 25% 더 넓어요. 그동안은 영화관에서만 쓰이다가 최근에 와서 최신 디스플레이에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연립방정식으로 푸는 게임, 나야 나! 라이트 아웃수학동아 l2017년 08호
- b+c=1…❶이 됩니다. a와 d에 모두 불이 켜져 있어 a+b+d=0…❷이 되지요. 같은 방식으로 a+c+d=0…❸, b+c+d=1…❹이 됩니다. 이제 식을 풀어 볼게요.라이트 아웃 게임의 모양이 꼭 정사각형일 필요는 없답니다. 다양한 도형 위에 불이 들어오는 버튼을 그려 게임을 즐길 수 있어요. 이참에 나만의 라이트 아웃 ... ...
- [Future] ‘작은 것’들의 반란 나노카 레이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재료나노구조공학국제센터(MANA)의 님스마나 팀이다. 나노모바일클럽 팀의 나노카는 300개의 원자로 만든 아주 복잡한 모양을 하고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경기를 시작하자마자 경기장에서 튀어나가 전혀 달릴 수가 없었다. 대신 ‘가장 아름다운 나노카’ 상을 수상했다. 님스마나 팀의 나노카는 ... ...
- [Future] 고리1호기 가동 중단 ‘방사성 때’ 어떻게 벗길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방식으로 저준위 폐기물을 처분한다. 하지만 국내 경주에 있는 방폐장에서는 지하 100~300m 깊이의 암반 내 또는 지하 동굴에 자연방벽과 인공방벽을 이용해 폐기물을 처분한다(동굴처분 방식). 사실 동굴처분 방식과 표층처분 방식을 모두 지을 수 있었지만, 현재단계에서는 저준위 폐기물이라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