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백
정당함
타당성
정확
정밀도
d라이브러리
"
확실
"(으)로 총 1,987건 검색되었습니다.
2. 우리가 만들어야 할 홈웨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아직 없다. 왜 그럴까?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입장에서 가계부 프로그램은 상업성은
확실
하지 않으면서도 제대로 만들기는 상당히 까다로운 주제다. 우수한 가계부 프로그램은 만들기가 어렵기 때문에 전문가의 영역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미국의 경우에는 개인이 세금을 계산해 납부하는 제도 ... ...
1. 대도시에 지진이 일어난다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있었던 기록이 있으며 앞으로도 이런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진에 대비해
확실
한 준비를 갖추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지진 크기의 척도 규모와 진도지진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등급기준에는 규모(magnitude)와 진도(intensity)가 있다. '규모'는 전문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 ...
1. 홈웨어 없는 홈PC 속 빈 강정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포화상태에 이른 사무실을 떠나 머지 않아 가장 큰 소비자는 가정으로 바뀌게 될 것이
확실
하다.PC 제조업체들도 이런 사정을 잘 알기 때문에 그동안 가정용 컴퓨터(홈PC)를 판매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그 결과는 신통치 않았다. 왜 그랬을까? 컴퓨터 판매업자들이 홈PC의 장점을 ... ...
21세기 연금술, 인공원소 합성 112번까지 성공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한다.그러나 마지막 원소가 발견될 때까지 과학자들은 원소의 바다를 계속 항해할 것이
확실
하다. 인터넷에서 정보찾기GSI연구소http://www.gsi.de주기율표http://www.shet.ac.uk:80/~chem/web-elementshttp://www.cchem.berkeley.edu/Tablehttp://steele.isgs.uiuc. ...
아마추어천문 단계별 입문법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확실
하게 익힌다면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의 3분의 1을 알게 된다. 이 정도만
확실
히 알아도 별자리 여행의 초보 딱지를 뗄 수 있다.봄철저녁에 볼 수 있는 별자리는 겨울 별자리로 오리온자리 황소자리 마차부자리 큰개자리 등이 있다. 이 정도만 알아도 봄밤이 새롭게 느껴진다.Ⅲ. 성도 ... ...
신경세포간 대화부족 해결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개발 가능성이 보이자 릴리는 1백명의 연구원을 할당해 좀 더 나은 물질은 없는지. 더
확실
한 안전성과 효능에 대한 실험에 착수했다. 1973년 초의 일이다.1976년까지 수집한 자료에서는 이 물질이 적어도 동물에게는 이미프라민보다 독성이 적다는 것을 나타냈다. 이 과정에서 1973년말 특허가 ... ...
1. 검은 황금 찾는 한국심해자원 개발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다른 국가들과 광구가 겹치는 문제도 신경이 쓰이는 부분이었다. 그리고 개발에 대한 불
확실
성까지 영향을 미침으로써 심해저 탐사는 87년까지 '개점 후 휴업' 상태로 들어갔다.심해저 탐사가 다시 시작된 것은 1989년. 이때는 5만㎢를 탐사하는데 그쳤다. 1992년이 돼서야 본격적인 탐사가 이뤄졌는데 ... ...
2. 산성비에 대한 탐구학습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보아서 산성인지 알아보려는 것은 위험할 뿐 아니라 부정확한 방법이다.간단하면서 가장
확실
한 방법은 리트머스종이를 사용하는 것이다. 푸른 리트머스종이를 붉게 물들이는 물질이 산성이다. 위의 물질들은 모두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푸른 리트머스종이를 붉게 만드는 성질이 있다. 왜 그렇게 ... ...
1. 생물학적결정론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오랫동안의 문화적 환경과 경험 차이에 의해 유전자가 서로 다르게 변한 것이
확실
하다.결국 초기 뇌의 구조는 유전자로 결정되지만, 시냅스 수나 정보전달의 종류는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중요한 하드웨어는 유전자에 의해 만들어지지만 미세한 구조와 기능은 교육과 환경에 의해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때문이다. 유학이 해외 유명 대학으로의 막연한 동경을 불러일으켰다면 KAIST는 보다
확실
한 비전을 제시해주었다고 할 수 있다. KAIST 박사과정에 국비장학생으로 진학하게 되면 현역 군복무에서 면제되므로 안정적으로 학업에 열중할 수 있고, 학위과정시 졸업후 연구하게 될 분야를 어느 정도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