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초고속 정보통신 사회 구현하는 광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않다. 1947년 반도체 소자인 트랜지스터가 발명되며 시작된 전자문명은 이미 그
한계
에 도달했다.‘컴퓨터의 두뇌’인 중앙처리장치(CPU) 속도를 더 높이려면 반도체 소자의 회로 선폭을 계속 줄여야만 한다. 인텔사는 나노기술 발전에 힘입어 현재 반도체 회로의 선폭을 100nm(나노미터, 1nm=10-9m) 이하로 ... ...
약수와 배수, 누가 만들었을까?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있으므로 어떤 수의 배수는 무수히 많다. 하지만 어떤 수를 똑같은 수로 가르는 경우는
한계
가 있어서 어떤 수의 약수가 몇 개나 나오는지 정도는 정확히 구할 수 있다.약수와 배수의 개념은 일상생활 속에서 생겨났지만 그 개념을 발전시킨 것은 수학자다. 수학자는 자연수의 약수를 구하는 일에 ... ...
붉은 단풍은 노란 단풍이‘똑똑하게’진화한 것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만들도록 진화했다.반면 유럽은 산줄기가 동서로 뻗어 있어 동식물이 이동하는 데
한계
가 있었다. 결국 진딧물을 비롯한 수많은 동식물이 수가 줄거나 멸종했다. 나무가 굳이 잎을 붉게 만들면서까지 진딧물을 쫓을 필요가 없었던 셈이다.연구팀은 최근 유럽에서도 스칸디나비아에 있는 관목들은 ... ...
휴대전화 떨어뜨리면 가장 먼저 망가지는 부분은?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시뮬레이션 연구가 가능해졌다.기존의 실험이 얽매여 있던 시간과 공간, 비용이라는
한계
를 극복하고, 고속열차에서부터 TV포장에까지 약방의 감초로 활약하고 있는 가상시뮬레이션. 언젠간 인간을 주제로 한 가상 충격시뮬레이션도 개발되지 않을까. 뼈와 살, 장기 같은 재료(?) 특성을 프로그램에 ... ...
공학에서 찾는 경영의 지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나왔어요. 1990년대에는 시장의 주체인 소비자가 산업을 이끌었는데 이들은 기술적인
한계
때문에 현재 수준을 돌파할 아이디어는 나올 수 없어요. 다음은 어디일까요?(웃음) 우리는 다음 산업을 이끌어갈 주체가 되기 위해 여러 가지 시도를 하고 있는 중입니다 ... ...
입맛과 에너지 잡는 견인차 '분자육종'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거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작물 자체가 가진 유전자만으로는 품질을 개량하는 데
한계
가 있을 테니 말이다. 분자육종의 발달에 따라 GM 기술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사회적 합의를 서둘러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주장에도 더욱 힘이 실릴 전망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인류 농업사 이끈 ... ...
멀티모델앙상블로 날씨 변덕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재의 슈퍼컴퓨터는 격자 간격을 좁혀 계산하는 데
한계
가 있는 만큼 더 빠른 슈퍼컴퓨터도 필요하다.한 달 뒤 날씨 예측하는 비결한 마리 나비의 날개짓이 한 달 뒤 어떤 결과를 불러올까. 나비효과에 따르면 시간이 지날수록 기상예보의 오차는 커진다. 2주일 뒤 또는 한 달 ... ...
빛과 전자가 만나 광정보통신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신호처리속도를 끌어 올려야 한다. 그런데현재 금속선에 의한 전기 신호처리방법은
한계
에 이르고 있다. 반도체에 더 많은 트랜지스터를 집적시키거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선폭을 줄이면 그만큼 저항도 커져 신호처리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이다.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은 ... ...
LED, 21세기 밝힐 경제적 친환경 빛 뜬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이끌고 있는 박성주 교수(뒷줄 왼쪽에서 네 번째)와 학생들. 생산량엔
한계
가 있다. 광주과학기술원 LED연구센터를 이끄는 박성주 교수는 LED를 그 해결책으로 제시했다.플라즈몬과 엑시톤이 만날 때LED는 형광등이나 백열등보다 빛을 내는 효율이 높고 친환경적이다. 그 예로 전국의 교통 신호등에 ... ...
자동차 진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에코 드라이빙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발전해온 과정에 역행한다. 대림대 자동차공학과 김필수 교수는 그 이유를 내연기관의
한계
에서 찾는다. 그는 “더 이상 내연기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없고, 수소연료전지 같은 차세대 동력원으로 바꾸려면 시간이 필요하다. 현재의 자동차산업은 다소 편이성이 떨어지더라도 경제적인 효율을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