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초고속 정보통신 사회 구현하는 광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않다. 1947년 반도체 소자인 트랜지스터가 발명되며 시작된 전자문명은 이미 그
한계
에 도달했다.‘컴퓨터의 두뇌’인 중앙처리장치(CPU) 속도를 더 높이려면 반도체 소자의 회로 선폭을 계속 줄여야만 한다. 인텔사는 나노기술 발전에 힘입어 현재 반도체 회로의 선폭을 100nm(나노미터, 1nm=10-9m) 이하로 ... ...
얼굴 없는 범인 잡는 심리수사기법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치료할 수 있다.실제 범죄수사에서도 최면수사기법을 사용한다. 인간이 기억할 수 있는
한계
를 극복하기 위해서다. 분명히 보거나 들었지만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경우, 너무 짧은 순간에 벌어진 사건일 경우, 크게 충격을 받았거나 혹은 시간이 너무 많이 지나 기억하지 못할 경우에 최면수사기법을 ... ...
공학에서 찾는 경영의 지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나왔어요. 1990년대에는 시장의 주체인 소비자가 산업을 이끌었는데 이들은 기술적인
한계
때문에 현재 수준을 돌파할 아이디어는 나올 수 없어요. 다음은 어디일까요?(웃음) 우리는 다음 산업을 이끌어갈 주체가 되기 위해 여러 가지 시도를 하고 있는 중입니다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크기와 곡률로 계산한 것보다 훨씬 짧아진다. 그렇다면 나노렌즈의 초굴절 현상과 회절
한계
극복 사이에는 어떤 관련이 있을까.논문의 공동 제1저자인 포스텍 화학과 박사과정 이주영 씨는 “초굴절 현상을 통해 렌즈 표면과 가까운 근접장 영역에서 초점이 형성돼 확대된 영상을 얻을 수 있다”며 ... ...
약수와 배수, 누가 만들었을까?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있으므로 어떤 수의 배수는 무수히 많다. 하지만 어떤 수를 똑같은 수로 가르는 경우는
한계
가 있어서 어떤 수의 약수가 몇 개나 나오는지 정도는 정확히 구할 수 있다.약수와 배수의 개념은 일상생활 속에서 생겨났지만 그 개념을 발전시킨 것은 수학자다. 수학자는 자연수의 약수를 구하는 일에 ... ...
입맛과 에너지 잡는 견인차 '분자육종'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거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작물 자체가 가진 유전자만으로는 품질을 개량하는 데
한계
가 있을 테니 말이다. 분자육종의 발달에 따라 GM 기술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사회적 합의를 서둘러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주장에도 더욱 힘이 실릴 전망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인류 농업사 이끈 ... ...
멀티모델앙상블로 날씨 변덕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재의 슈퍼컴퓨터는 격자 간격을 좁혀 계산하는 데
한계
가 있는 만큼 더 빠른 슈퍼컴퓨터도 필요하다.한 달 뒤 날씨 예측하는 비결한 마리 나비의 날개짓이 한 달 뒤 어떤 결과를 불러올까. 나비효과에 따르면 시간이 지날수록 기상예보의 오차는 커진다. 2주일 뒤 또는 한 달 ... ...
빛과 전자가 만나 광정보통신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신호처리속도를 끌어 올려야 한다. 그런데현재 금속선에 의한 전기 신호처리방법은
한계
에 이르고 있다. 반도체에 더 많은 트랜지스터를 집적시키거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선폭을 줄이면 그만큼 저항도 커져 신호처리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이다.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은 ... ...
디지털 원전의 시간을 돌려라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실제 원전과 크기만 다를 뿐 다른 조건은 모두 같게 만든 3차원 영상은 공간과 시간의
한계
가 없다. 비용이 크게 줄어드는 것은 물론이다.시설물을 만들고 나면 서 교수의 마법은 본격적으로 펼쳐진다. 그는 3차원 컴퓨터그래픽으로 만든 건물의 시간을 10년, 20년 또는 원전의 일반적인 수명인 60년 ... ...
자동차 진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에코 드라이빙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발전해온 과정에 역행한다. 대림대 자동차공학과 김필수 교수는 그 이유를 내연기관의
한계
에서 찾는다. 그는 “더 이상 내연기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없고, 수소연료전지 같은 차세대 동력원으로 바꾸려면 시간이 필요하다. 현재의 자동차산업은 다소 편이성이 떨어지더라도 경제적인 효율을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