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징"(으)로 총 4,5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나는 지사탐 활동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말했답니다.청개구리는 뺍뺍, 수원청개구리는 챙챙!발대식에서는 앞으로 탐사할 생물의 특징과 탐사방법을 배우는 시간이 마련됐어요. ‘수원청개구리 래퍼’가 활약하는 애니메이션을 통해 청개구리는 땅 위에서, 수원청개구리는 논의 모를 잡고 노래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지요. ‘뺍뺍’ ...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굴려서 소똥구리가 아니라, 소똥에 모여서 소똥구리다. 똥을 굴리는 신비로운 생태적 특징이 강조되다보니, 직접 똥을 굴리지 못하는 소똥구리는 관심을 받지 못했다. 사람들은 소똥구리라고 하면 똥을 굴리는 재주를 갖고 있는 곤충이라고 착각하게 되고 말았다.배설물에는 다양한 풍뎅이류의 ... ...
- [Life & Tech] 세상이 궁금한 수원청개구리의 외출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일반적인 청개구리보다 몸집이 작고 벼에 매달리기 좋아하며 노랫소리가 앙칼진 게 특징이다. 논에만 머무르지 않고, 논둑의 잡초 속에 드나들며 쉬거나 먹이 사냥을 하는 것도 독특하다.수원청개구리는 수원에서 처음 발견됐지만 정작 최근에는 수원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고 있다. 급속한 ... ...
- [수학뉴스] 3차원 모형으로 밝힌 돌연변이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설명할 수 있는 수학 모형을 ‘네이처’ 8월 26일자에 발표했습니다.종양 구조와 유전적 특징을 동시에 나타내는 모형은 처음입니다. 종양의 입체구조를 나타내는 모형은 유전자의 변화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고, 반대로 유전자로 인한 원인을 설명하는 모형으로는 종양의 입체구조를 해석하기 ...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우리 곤충 전체를 기록한다국내에도 곤충을 기록한 책은 꽤 있다. 특히 곤충을 분류해 특징별로 설명한 도감과 특정 곤충분류군의 생태를 소개한 책이 많다. 허나 우리 땅에 사는 곤충전체를 이야기하는 책은 아직까지 없었다. 시간도 많이 걸리고 곤충 전반에 대한 해박한 지식이 있어야 가능한 ... ...
- 강아지와의 친밀감은 옥시토신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순종끼리만 교배시켰어요. 그렇게 되면 유전자 다양성이 떨어져서 특정 질병에 취약한 특징이 대대로 이어질 수밖에 없죠. 가장 대표적인 예가 골든 리트리버예요. 순종 교배만 하다 암이 잘 걸리는 친구들만 남았죠.사람들이 우릴 사랑하는 만큼 앞으로는 우리의 유전자 다양성에도 신경을 좀 써 ... ...
- [Knowledge] 생일 축하해, 티라노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포식자인가 따뜻한 로맨티스트인가?무시무시한 포식자인 티라노사우루스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큰 이빨이다. 이빨 끝에서 뿌리까지의 길이는 약 30cm에 이른다. 그 어떤 육식공룡의 이빨보다도 거대하다. 더 놀라운 것은 이빨뿌리가 전체 길이의 3분의 2를 차지한다는 사실이다(위 사진➋). 보통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신체도 작은 인류다. 뼈 화석 역시 현대인보다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등, 보다 본원적인 특징이 많다는 게 고인류학자들의 연구 결과다. 그렇다면 이 종 역시 초기에 아프리카를 벗어났던 왜소한 종의 후손일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이런 연구 결과는 어디까지나 가설이자 소수의견이었다. 그런데 ... ...
- [수학뉴스] 먹이 사슬을 한눈에 보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관계를 설명할수 있습니다.또한, 연구팀은 이 모형으로 먹이 사슬마다 제각기 다른 특징이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습니다. 예를 들어 사자는 얼룩말 사냥에 실패하더라도 다른 동물을 잡아먹고 살 수 있지만, 숙주에 붙어 있는 기생충은 숙주를 감염시키지 못하면 결국 죽고 맙니다.연구에 참여한 미국 ...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안의 따뜻한 열이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잡아 주는 단열재로 쓰이기도 했지요. 이런 특징은 단점이 되기도 했어요. TV나 컴퓨터 같은 전자제품을 작동시키면 열이 발생하는데, 제품을 감싸고 있는 플라스틱이 열을 밖으로 내보내지 못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고 제품이 지나치게 뜨거워졌거든요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