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적
제명
배제
예외
특례
배타
배척
d라이브러리
"
제외
"(으)로 총 2,508건 검색되었습니다.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학생은 넓은 영역이 약하게 활성화됐다.흥미로운 사실은 영어가 국어처럼 익숙한 학생을
제외
한 대부분은 영어를 들을 때 뇌 뒤통수 부분이 활성화됐다는 사실이다. 이곳은 뇌로 들어가는 모든 지식이 거치는 영역이다.“영어를 들을 때 알고 있는 모든 지식을 총동원해 어떻게든 관련시켜 ... ...
남북극점 지나 세계일주 도전하는 거스 매클라우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기지에 착륙했다.다시 이룩하려면 연료를 버려야 했다. 남극점을 왕복하려고 조종석을
제외
한 세 좌석을 모두 뜯어내고 연료탱크를 채운 탓에 반디는 꽤 무거웠다. 최대 이륙중량이 1200kg정도인데, 연료를 채운 반디는 이미 이 무게를 넘었다. 활주로가 길어지고 고도를 높이기도 힘들다.연료를 ... ...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단연 가장 긴 세포라 할 수 있다. 이렇게 긴 세포가 한번 태어나면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
하고는 세포분열을 하지 않고 평생을 살아간다. 신경세포가 손상되지 않도록 미리 잘 보살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신경전달은 축색돌기의 신경말단에서 분비된 신경전달물질이 시냅스 맞은편에 ... ...
한국 숲은 이산화탄소 청소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한국은 개발도상국으로 분류돼 아직은 온실가스 축소 대상에서
제외
돼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2000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세계 9위라는 것을 감안하면 앞으로 CO₂를 줄이라는 압력을 피하기는 어렵다.최근 벌어진 CO₂ 전쟁의 한 예. 기아자동차와 쌍용자동차는 2월말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바뀔 수 있는데 그 결과 다섯가지의 수용체 분자가 만들어진다. 특이하게도 아프리카를
제외
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쓴맛에 가장 민감한 PAV 타입과 가장 둔감한 AVI 타입만 존재한다. 아시아인의 경우 PAV 유전자가 58%, AVI 유전자가 42%다. 김 교수는 “AVI 타입인 사람은 쓴맛에 대해 100∼1000배나 덜 ... ...
과학으로 승부한다, 아디다스 원 넘버 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매달리기를 4년. 극비로 제작됐기 때문에 디자이너와 엔지니어 등 개발팀의 7명을
제외
하고는 운동화가 어떻게 생겼는지 구경조차 할 수 없었다. 디베네데토 박사팀의 올슨 연구원이 운동화를 신고 복도와 인근 숲을 뛰어다니며 테스트까지 직접 했다. 드디어 2만가지의 상황을 포착하는 센서와 ... ...
04 식물에서 연료 뽑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풍부한 브라질에서는 70%가량의 자동차가 바이오에탄올을 넣고 달린다. 하지만 브라질을
제외
한 다른 나라에서는 사탕수수의 생산단가가 비싸 아직 석유보다 경쟁력이 없다. 특히 설탕 등 식품 소비용 사탕수수와 경작지를 놓고 다퉈야 하는 문제도 있다. 어떻게 하면 사탕수수 외에 모든 ... ...
황금 주파수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많다는 얘기. 이 때문에 이들 주파수 영역을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나라수도 선진국을
제외
하곤 극히 제한돼 왔다. 주파수 고속도로를 뚫어라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런 기술개발 노력에도 불구하고 향후 주파수 부족현상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이 때문에 다른 목적으로 쓰이고 있는 기존 전파 ... ...
가상공간에 세운 디자이너의 작업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셈이다. 남 교수는 “미국 애플이나 인텔 등 외국 기업과 달리 아직까지 일부 대기업을
제외
하고 디자인 원칙을 갖고 있는 국내 기업은 매우 적은 편”이라고 말한다. 심지어 같은 회사 제품끼리도 서로 호환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표준화와 규격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그만큼 제품의 ... ...
해가 바뀌면 자리를 옮기는 목성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그래서 오래 전부터 인류에게 친숙한 별이었다.목성은 -2등급의 밝기로 태양, 달, 금성을
제외
한다면 하늘에서 가장 밝다. 비록 목성보다 금성이 더 밝긴 하지만 금성은 초저녁이나 새벽 무렵에만 보이기 때문에 일반 별들처럼 오랜 기간을 계속해서 관측하기 어렵다. 반면, 목성은 다른 별들처럼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