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칼리지
대학
전문대
대학교
유니버시티
단과대학
d라이브러리
"
전문대학
"(으)로 총 2,462건 검색되었습니다.
2000년을 넘나드는 별지기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오늘밤 머리를 들어 북쪽하늘을 바라보자. 가운데에 북극성이 있고 그 옆에 W 모양으로 생긴 별자리가 있을 것이다. 유명한 ‘카시오페이아’ 별자리다. 그리스·로마 신화에 따르면 자신의 미모를 뽐내는 바람에 벌을 받았다고 한다. 그런데 조선 사람들은 그 별자리를 뭐라고 불렀을까. 바로 ‘닻 ... ...
광야에서 외치는 고독한 예언자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대학에서 학생운동을 하면서 이공계 학생이 사회를 위해 뭘 할 수 있을까 고민했어요. 전 환경에서 길을 찾았습니다.”최근 ‘생명과 환경의 수수께끼’라는 책을 펴낸 한겨레의 조홍섭(48) 기자를 만났다. 20년 동안 환경 분야를 취재한 내공도 그렇거니와 황소개구리, 매향리 미군 사격장 등 굵 ... ...
56년의 난제 다시 미궁에 빠지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과학 한국의 수준을 다시 한 번 입증한 큰 업적일까 아니면 과욕이 빚어낸 촌극일까. 8월31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을 찾았을 때 연구원 홍보 관계자들은 내내 끓어오르는 희열과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과학사에 길이 남을 기념비적인 연구성과를 일궈냈다는 자신감에 한층 고무돼 있었다. 같은 ... ...
3. '몸치' 탈출 특급 작전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서울 강남에서 유명 댄스학원을 운영하는 김영우씨(27)는 경력 10년차의 전문 춤꾼이다. 고교시절 우연히 시작한 춤이 이제는 자기 만족을 넘어 남들 앞에 당당히 나서길 갈망하는 몸치들의 구세주로서 손색이 없을 정도가 됐다. 나이트댄스가 전공인 그는 라틴댄스에서 재즈댄스까지, 그리고 최근 ... ...
뇌의 미로에서 출구를 찾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뇌는 우리 몸을 멋대로 조종하고 있습니다.” 젓가락질을 멈추고 뇌 ‘음모론’을 꺼낸다. “맛있는 음식은 왜 계속 먹게 되죠? 손이 움직이니까? 혀가 원하기 때문에?” 잠깐 뜸을 들이며 반찬을 집었다. “뇌 자신의 쾌락을 위해서죠. 아닌가요?”생쥐를 사랑한 뇌 박사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
5. 춤을 위한 테크노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한 대학 강의실의 휴식시간. 요즘 유행하는 레게머리를 한 여학생이 두 손에 뜨거운 테이크아웃 커피컵을 들고 나타난다. 미국의 랩가수 MC 해머의 `‘U Can`t Touch This`’에 맞춰 문워커 춤과 힙합 댄스 스타일로 몸을 흔든다. 이 때 걸려오는 전화 한 통. 주인공은 귀를 가볍게 어깨에 부딪혀 전화를 받 ... ...
이공계를 선택하면 행복해집니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자연계로 갈까, 인문계로 갈까. 자연계로 간다면 어느 학과를 선택해야 될까.진로 선택에 고민이 많은 청소년들에게 이공계에 대한 궁금증을 속 시원히 풀어주는 책이 나왔다. 과학동아에서 직접 펴낸 ‘이공계를 느끼고 싶나요’다.몇 년전 ‘이공계 기피 현상’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됐을 때 정 ... ...
나노 바코드 레이블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미세 바코드에 예술품, 보석이나 무기명 채권 등고가품에 대한 기록을 암호로 저장하면 도난당했을 때 원래의 주인이 쉽게 찾을 수 있다. 기온 습도 태양복사 등 여러 기상요소를 조합하여 상쾌·불쾌의 정도를 수치로 표시한 것 불쾌지수는 다음 식으로 얻어진다 즉 072×(기온+습구온도)+406 공 ... ...
산업의 쌀을 빻는 방앗간 지기 - (주)주성엔지니어링 대표이사 황.철.주.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물레방아 도는 내력’을 아십니까? ‘벼슬도 싫다마는 명예도 싫어’로 시작하는 가수 박재홍의 노래 ‘물레방아 도는 내력’은 고향으로 돌아가 ‘낮이면 밭에 나가 길삼을 매고 밤이면 사랑방에 새끼꼬면서’ 사는 한가로운 시골 생활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한다. 이처럼 대부분의 사람에게 물 ... ...
01. 다시 태어나도 이공계 가겠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한국의 평균 과학자고등학교 때 흠이와 호기심을 쫓아 이공계 진학을 결정했으며, 자신의 전공과 직업에 대해 만족하고 있다. 이공계 진학 당시 교사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 좋은 연구성과를 거둘 때 큰 보람을 느끼며, 대학에서 일하고 싶어한다.한국의 과학기술인 10명 중 7명은 다시 태어나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