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d라이브러리
"
전문가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나라 먹여 살릴 벤처 키운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지원할 계획이다.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고 투자 제안을 발표하기까지 팀 당 한 명의
전문가
가 멘토링을 해준다. 최대 6개 팀까지 선발해 총 6000만 원을 지급한다.박영상 기술사업화센터 팀장은 “이제는 기업 운영만 잘하면 되는 게 아니라 사회에 공헌하는 ‘기업가 정신’을 갖추는 게 중요한 ... ...
[life & tech] 가족이 화병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마음과 함께 신체증상이 있는지 잘 살펴보세요. 진단기준이 있긴 하지만, 화병은 외부
전문가
에 의해서 객관적으로 판단되는 질병이라기보다는 환자나 환자 주변 사람들이 자각해서 판단하는 병이에요.화병의 독특한 점은 이뿐 아니에요. 화병은 우리나라의 사회환경과 가족문화 때문에 발생한다는 ... ...
[life & tech] 꽉 막힌 배수구, 비켜!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누구나 한 번쯤 휴지조각이나 담배꽁초, 씹던 껌 같은 작은 쓰레기를 길가 빗물받이에 버려봤을 것이다. 빗물받이는 빗물이 도로에 고이지 않고 하수관으로 흘러가 ... 추진하면 시행착오 과정이 늘어나 실패할 위험이 커지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전문가
와 의논하는 게 큰 도움이 됩니다 ... ...
비정상 회담 한국어 유창한 G11 비정상인가요?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한국어로 수를 세는 데에 필요한 단어는 10개에 불과하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하지만
전문가
들은 이견이 분분하다. 서울대 언어학과 권재일 교수는 “한국어의 수 표현은 십칠, 열일곱 등 한자식 표현과 순 우리말 표현이 다채로워 수를 세는 데에 필요한 단어가 적다고 볼 수 없다”며 “연구팀이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세계 최대의 공룡알 집단산란지다. 키요시 씨는 고생물학
전문가
가 아니다. 하지만 과학에 관심이 많아 평소에는 지역 화석 연구회에서 고래에 대해 연구하고, 여름이면 고비사막에 와 화석을 발굴한다. 이곳에 온 것만 벌써 여섯 번째다. “정말 짜릿했어요. ... ...
풍선처럼 둥둥 떠서 전기 만드는 풍력발전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보낸답니다. 최근에는 배트를 약 300m 높이까지 띄워 전기를 만드는 데 성공했어요.
전문가
들은 "300~600m 높이에서는 땅에서보다 바람이 8배 이상 세게 불어 전기를 만드는 데 효율적”이라고 설명했어요 ... ...
진짜 동물과 똑 닮은 동물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나도 캥거루처럼 높고 멀리 점프할 수 있지요. 나를 만든 독일 로봇 기업 ‘페스토’
전문가
들은 캥거루의 뒷다리에 주목했어요. 그래서 내 뒷다리에는 스프링으로 만든 근육힘줄이 들어 있어요. 공기를 저장소에 고압으로 압축했다가 순간적으로 내뿜는 원리로 스프링을 늘이면서 점프를 하지요. ... ...
뇌과학으로 해결하자! 굿바이 학교폭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전두엽 발달시키는 ‘명상’지난 2012년에 열린 ‘브레인 엑스포’에서 뇌교육
전문가
인 이화영 박사는 명상을 통한 뇌교육으로 학교폭력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박사는 인천 도화기계공업고등학교에서 아이들에게 벌을 주는 대신 명상을 하게 했다. 머릿속의 잡생각을 없애고 편안한 ... ...
PART1.전염의 시작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국경이 모두 만나는 위치에 있는 인구 10만의 도시다. 게케두에 거주하는 보건의료
전문가
는 메리나도우 마을에 들렀다 에볼라에 걸렸다. 그는 마센타에서 치료를 받다가 의사에게 병을 옮겼고, 키씨도고에서 열린 의사의 장례식에서 그의 형제 두 명이 에볼라에 감염됐다. 형제는 올해 3월 7일과 ... ...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탈출했다.이처럼 에볼라가 퍼진 지역은 현재 사실상 무정부상태다. 취재를 위해 연락한
전문가
들은 한 목소리로 “에볼라가 금방 잡히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민들의 보건의식이 낮고 정부와 의료진에 대한 신뢰가 없기 때문이다. 높은 인구밀도도 잠재적 위험 요인이다. 최근 에볼라 환자가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