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fun] 다른 곳에는 없는 독특한 과학책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이 과장이 기자에게 제일 먼저 보여준 책도 ‘영화 속에 과학이 쏙쏙’이었다. 빛, 힘, 유전 같은 과학 개념을 영화를 통해 설명한 이 책은 처음 나온 2003년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독자의 관심을 받고 있는 스테디셀러다. 중국과 대만으로 수출까지 했다. 하지만 야심차게 준비한 후속 시리즈는 기대에 ...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돌아선 이유도 물어봤다. “의대 다니면서 암기가 정말 싫었어요. 그나마 당시 배운 유전학은 암기가 필요 없더라고요.” 그는 또 “의대에 간 것은 아버지의 권유였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병원 연구원이던 이 소장의 아버지는 늘 아들이 의사가 되기를 바랐다고 했다. “왜 있잖아, 한국 부모들 ... ...
- INTRO. Y의 몰락과학동아 l2014년 11호
- Y다. Y 염색체는 처음 생겨난 이래 지금까지 점점 줄어들어왔다. 게다가 갖고 있는 유전자 중 인간에게 뚜렷이 도움이 되는 것은 생식 능력 정도라고 알려져 있다. 비슷한 맥락으로 Y로 대표되는 남성성도 현대 사회에서 크게 의미가 사라지고 있다. 그래서 기자는 이 기사를 통해 감히 주장한다. ... ...
- PART 2.Y가 사라진 세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하나가 되는 것은 문제가 많다. 같은 유전자를 반복해서 복제하기 때문에 스스로의 유전자에 갇혀버린다. Y 염색체가 사라졌던 과정과 비슷하다. 인류가 이를 깨달았을 때엔 이미 남성과 여성은 사라지고 헤르마프로디토스만 남은 뒤였다. 지금처럼 성별이 하나로 합쳐진 것이 인류 역사에서 ...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자손을 덜 갖는다는 주장이다. 이 주장이 맞다면 후대로 갈수록 ‘머리 좋은’ 유전자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 계산을 통해 앞으로 얼마나 많은 인구가 ‘머리 나쁜’ 사람들로 채워질지도 예상할 수 있는데, 영국 울스터대 리처드 린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2050년에는 IQ가 약 1.3 정도 떨어질 가능성이 ...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을 발견해 상용화 단계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간암을 진단하기 위해 다양한 유전자와 단백질을 활용했지만 정확도가 떨어지고 간염, 간경화 등과도 구분이 안 됐다. 백 교수팀이 발견한 표지 단백질은 간암 환자에게만 발견된 것으로 초기 간암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세계 단백질 ...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결합된다. 부모의 DNA를 자손에 전달할 때, 이 결합이 끊어진다. 결국 생명의 핵심 원리인 유전은 바로 이들 원자 몇 개 수준, 즉 양자역학적 원리에 따라 제어되고 있는 것이다.하지만 놀랍게도 생물학자들은 양자역학을 잘 모른다. 왜 그럴까? 생명과 관련된 모든 물질은 원자로 되어 있고, 원자는 ...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찰스 다윈에게 전해졌다.다윈은 라트레유의 놀라운 발견에 서 '본능이 자연선택을 통해 유전된다'는 결론을 내린다. 노예 개미의 사례는 진화의 원리를 담은 명저 '종의 기원'에 당당히 실려 있다. 수많은 벌이 본능적으로 정교한 벌집을 만들고, 남 의 둥지에서 태어난 뻐꾸기 새끼가 다른 알을 둥지 ... ...
- 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젊은 여성일수록 머리카락이 더 길고 질도 좋다. 따라서 이런 여성을 선택하면 자신의 유전자를 후세에 전달하기 유리해진다.버스 교수는 얼굴의 전반적인 비율이 보여주는 ‘여성적인 매력’도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두툼한 입술, 큰 눈, 얇은 턱, 높은 광대뼈, 입과 턱 사이의 짧은 거리, 얼굴의 ... ...
- [과학뉴스] 오후 잠 쫓는 ‘카페인’ 비밀 풀리나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카페인 유전자는 초콜릿이나 홍차의 카페인 유전자와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이 유전자가 진화 과정에서 최소 두 번 각기 따로 나타났다는 뜻이다.커피는 1만1000종에 달하는 종이 포함된 ‘꼭두서니과’ 식물 중 하나다. 이 과에는 말라리아 약인 ‘키니네’를 생산하는 식물 등 유용한 종이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