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퀀텀닷 완전정복] 카드뮴 없앤 친환경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5호
- 화합물을 찾는 건 마치 백사장에서 바늘 찾기나 다름없다. 모두가 찾기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하던 2014년 말, 삼성은 3-5족 퀀텀닷인 인화인듐(InP)을 사용한 TV를 개발했다고 전 세계에 발표했다. 이는 최초의 친환경 퀀텀닷 TV의 탄생이었다. 배 교수는 “3-5족 퀀텀닷의 표면을 조절하는 것은 현재도 ... ...
- [방구석 과학] 끓일수록 깊은 맛이? 가마솥 감바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무게가 전체 무게의 3분의 1이나 차지합니다. 노봉수 서울여대 식품응용시스템학부 명예교수는 “전통 가마솥은 뚜껑을 들어 올리지 못하고 비스듬하게 밀어서 열어야 할 정도로 무겁다”며 “무거운 솥뚜껑이 내는 가마솥 밥맛을 재현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바로 압력밥솥”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
- [미국유학일기] 모두가 악동이 되는 날, 디치 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기숙사마다 전통과 문화가 달라 디치 데이 외에 기숙사별로 유지되는 전통도 있다. 예를 들어 한 기숙사는 저녁 시간에 기숙사 식당에서 서로에게 음식을 던지며 노는 행사를 진행한다. 학생 웨이터가 있는 기숙사에서는 웨이터에게 “오즈의 마법사 한 잔 주세요”라는 식으로 아무렇게나 음료를 ... ...
- [인공지능수학] 인공지능 정복을 위한 필수템, 수학과 코딩수학동아 l2020년 05호
- 관련 수학자 이야기, 그리고 인공지능에 필요한 수학 개념과 코딩 명령어를 소개할 예정입니다. 글을 읽고 수학 개념이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에 쓰이는지 이해한 뒤 수학 개념과 관련 코딩 명령어를 익혀보세요. 글 마지막에 있는 실전 문제를 친구들과 댓글로 상의하며 해결하고, 코딩 명령어로 풀 ... ...
- [보드게임] 개발자의 서류함 본격 게임 전 몸풀기수학동아 l2020년 05호
- 개발의 기본요소보드게임은 구성물을 가지고 함께 모여서 즐길 수 있는 게임 종류다. 예를 들어 술래잡기는 구성물이 없으므로 보드게임이 아니다.따라서 보드게임을 개발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은 ❶ 메커니즘, ❷ 구성물, ❸ 목표를 만드는 것이다.여기에 테마, 스토리, 디자인 작업이 더해지면 ... ...
- [팩트체크] 새로운 7의 배수 판정법, 기존 방법과 똑같다?!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수에 몫을 곱하고 나머지를 더했을 때 나오는 수가 나누기 전 수인지 확인하면 되죠. 예를 들면 5를 7로 나눴을 때의 검산식은 7×0+5=5입니다. 이를 음수에 적용하면 -2는 7×(-1)+5이므로 나머지가 5입니다. 따라서 -2와 5는 7을 법으로 하는 합동입니다. 의혹3 그럼 상은 왜 받은 것일까?실제로 치카의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증명을 가지려는 자, 그 무게를 견뎌라수학동아 l2020년 05호
- 남기기 위한 싸움이 수학 발전에 저해가 될 정도로 선을 넘을 때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아이작 뉴턴과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의 미분법을 둘러싼 논쟁이에요. 두 수학자 사이의 논쟁을 넘어 영국 수학계와 유럽 수학계의 자존심 싸움으로 번졌죠. 훗날 영국 수학계가 다른 유럽 국가와 ... ...
- [과학동아 키즈] 아나운서에게 과학이란 "세상은 과학과 연결돼 있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읽은 과학지식이 도움이 많이 된다. 알아듣는 만큼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예를 들어 환절기나 여름 장마철에는 기상 전문가와 전화 인터뷰나 대담을 한다. 가령 전문가가 ‘바람이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이동한다’는 식의 전문적인 표현을 쓰면 ‘뜨거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는 성질을 ... ...
- [이달의 책] 틀림의 두려움 떨쳐낸 과학적 상상력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육상에서 여자 실외 장대높이뛰기 세계기록은 5.06m로 신장 174cm인 러시아의 옐레나 이신바예바가 보유하고 있고, 남자 실외 장대높이뛰기 세계기록은 6.14m로 신장 183cm인 우크라이나의 세르게이 부브카가 보유하고 있다. 이런 식이면 결괏값이 틀릴 게 뻔하다. 그런데 수치상 오차가 있다는 점만 ... ...
- [과학뉴스] 회색물범이 박수를 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내 유전자는 우월해”하고 말이에요. 수컷 고릴라들이 가슴을 치는 것과 마찬가지예요. 벤 연구원은 “바닷속은 포유류들이 내는 다양한 소리로 가득한 시끄러운 장소인 만큼, 큰 소리를 내려는 회색물범의 박수 행동은 이들의 생존과 번식에 매우 중요한 행동이다”라고 말했답니다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