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어"(으)로 총 1,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기쉬운 미적분이야기과학동아 l1994년 11호
- 마련된 후다.함수는 간단히 f(x)=y로 쓰여지는데, 이것은 'x의 함수는 y'라는 뜻이다. 영어로는 'function of x'(x의 함수)라고 하며 따라서 f(x)라고 줄여서 쓰는 것이다. 만일 한국인이 미적분을 발명했다면 (x)f=y라고 했을 것이다. 미분이란 x가 적게 변하면 넓이 y도 적게 변하는 것인데, 그런 변화의 비율을 ... ...
- 인터네트 필수상식 25과학동아 l1994년 10호
- 수천명의 사람들이 수백개의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영어를 사용하지만, 대화방에 따라서는 한국어 일본어 독일어 등 다른 언어로 토론하는 일도 많다.IRC 역시 irc라는 자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있는 편이 공개 클라이언트를 이용하는 것보다 편하다(없는 ... ...
- 한글 왜 과학적인가과학동아 l1994년 10호
- 우리 나라 사람들이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도 함께 제공된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면 영어를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노력을 들이지 않아도 되므로 간단하고 손쉽게 일이 끝난다.그러나 PC에서 한글을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면 하드웨어나 프로그램 개발 언어에서 한글 사용을 위한 환경이 거의, ... ...
- 영남대(기계·소재 분야)과학동아 l1994년 10호
- 위해 기계공학과 금속공학과 무기재료공학과 등에 통합교과과정을 운용할 계획이다. 또 영어 제2외국어 및 컴퓨터 교육을 강화하고 경영개념을 갖춘 엔지니어를 배출하는 데 주력할 참이다.데크노파크(연구단지 )와의 연계체제 확립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대구 경북지역 산학협력 연구단지의 ... ...
- PART2 효율적 사용의 열쇠과학동아 l1994년 08호
- 제품중 하나도 만족할 만한 것을 발견하지는 못했다.이와 반대로, 어떤 레이저프린터는 영어문화권의 레이저프린터가 프린터 자체에 다양한 폰트를 설치하는 것을 흉내내 상당히 많은 수의 한글폰트를 내장한 것도 있다. 하지만 영문과 달리 한글폰트는 대단히 많은 양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기 ... ...
- 컴퓨터 첨단 영상기법과학동아 l1994년 08호
- 아침저녁 무심코 스쳐지나가는 TV화면, 엊그제 관람했던 영화의 한 장면까지.처음에는 영어 철자나 기호 등을 이용해 점자화 같은 양상을 띠며 선보였던 컴퓨터 그래픽이 지금은 우리 머리 속에서 꿈꿔왔던 모든 것을 표현하는 완벽한 예술의 도구로 자리잡아가고 있다.컴퓨터그래픽이 그렇게 ... ...
- 한국 IBM, 멀티미디어 홈 PC 선봬과학동아 l1994년 07호
- 멀티미디어 PC가 가정에 보급되면서 가전제품과 컴퓨터의 구분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 IBM에서 멀티미디어 홈 PC를 선보였다.그린 ... 486DX 33에 2백13MB의 하드디스크를 갖춘 PC로 사운드 블래스터 프로를 장착하고 오성식 생활영어 CD-ROM 타이틀을 번들로 제공한다. 가격은 2백45만원 ... ...
- 확률은 도박에서 왔다과학동아 l1994년 07호
-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서양에서는 로마시대 이후 적극적으로 통계적 방법을 사용했다. 영어로는 나라를 state라고 하는데 state에 또한 상태라는 의미도 있다. 그래서 통계학을 나라의 상태를 조사하는 것이라는 의미에서 statistic이라고 했다. 주로 정치 행정의 필요상 인구 종교 산업정책의 숫자적인 ... ...
- PART.1 동화상 재생 편집, 멀티미디어 만끽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캡션기능을 내장하고 있어 영화를 보면서 영어 공부를 할 수도 있다.TV 보면서 문서작성두인 전자의 '윈도우비젼'을 예로 들어 설치와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자. 영상보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286 이상의 시스템에 윈도즈가 설치돼 있어야 한다. 물론 도스 ... ...
- 숫자 0이 인류문명 바꿨다과학동아 l1994년 06호
- 다음과 같은 글이 있다. "옛 성인은 새끼를 꼬아 만든 매듭으로서 수를 나타냈다." 매듭은 영어로 카프(quipu)이다. 옛날에는 인구나 가축의 수 등을 매듭으로 표시했다. 남미의 잉카에서도 15세기에서 16세기까지, 매듭으로 수를 표시하는 방법이 통용되었다(그림1). 매듭은 숫자 사용의 시작이었을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