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d라이브러리
"
신호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잠꾸러기 원인은 유전자 고장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사실도 추가로 알아냈다. 앨리다 교수는 “뇌에서 생체시계 단백질이 일어나라는
신호
를 보내면 생물은 잠에서 깰 준비를 한다”며 “사람에게 초파리의 per 유전자와 비슷한 일을 하는 유전자를 찾아낸다면 수면장애와 시차적응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부위를 이용한다. 별교세포(➋)는 이 시냅스를 만들고 더 단단하게 붙인다. 또 뉴런의
신호
를 강화한다.] [뇌는 뇌혈관장벽으로 둘러쌓여 있어 다른 물질이 뇌 속으로 들어오지 못한다. 면역세포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뇌에서 활동하도록 분화한 면역세포가 바로 미세교세포(갈색)다. ... ...
개그맨 이윤석의 '웃음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사라진 뒤 안심하는 마음의 표시다. 그리고 사람은 이 웃음을 안전한 상태를 알리는 ‘
신호
’로 사용했다. 오랜 시간이 지나며 남의 행동을 따라하는 거울뉴런의 작용으로 웃음은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도록 진화했다.“웃으면 건강해진다는 말도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웃음은 NK세포와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네 가지로 나누고 있다. 가장 쉽고 단순한 ‘버스형’은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들어온
신호
를 여러 대의 컴퓨터와 서버가 차례로 나눠 쓰는 구조다. 고속도로 주위에 차례로 나들목이 있어서 차량이 들어오고 나가는 모습과 비슷하다. 구성이 간단하고 작은 네트워크에 유용하며 관리가 쉽다는 ... ...
수학 논문으로 꿈을 이룬다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2011학년도 과학고 이색 합격자로 한 차례 이름을 날린 이성계 군이다. 건널목에 서서
신호
체계에 담긴 수학 원리를 골똘히 생각하고 있었다고 했다. 빨간 불과 초록 불의 시간 간격을 수학으로 표현할 수 있지 않을까 하고 말이다. 역시 범상치 않다.곧 인천과학고 학생이 되는 그의 특별한 이력은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무섭다”고 설명했다.스텔스기는 페인트칠해서 만든다?스텔스 기술의 핵심은 ‘전자적
신호
감소 기술’이다. 레이더에서 발사된 전파가 비행기의 몸체에 부딪친 후 되돌아가는 비율을 최소로 줄이는 것이다. 이 비율을 ‘레이더 반사 단면적(RCS)’이라고 부르는데, 배나 비행기 등 움직이는 ... ...
새들이 군무를 추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때문이다. 혼자 있을 때보다 여럿이 무리를 이룰 때 적에 대한 정보나 환경에 대한
신호
를 훨씬 더 많이 얻을 수 있다. ‘영리한 무리’라는 뜻의 ‘스마트 스웜’을 쓴 피터 밀러 박사는 “동물이 큰 집단을 이루면 개체가 저지르는 사소한 실수는 평균화된다”며 “집단 전체가 나쁜 정보에 ... ...
한국 우주 전파 관측망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구축하는 데 참여하도록 KVN이 디딤돌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전파망원경이 수신한
신호
를 전문적으로 처리하도록 만들어진 장치를 ‘상관기’라고 부른다. 발달한 IT기술 덕에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큰 용량을 처리하는 상관기를 보유할 수 있게 됐다. ... ...
퇴행성 관절염의 스위치를 찾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조직이 없어져 퇴행성 관절염이 생긴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퇴행성 관절염은 세포
신호
전달체계에 이상이 생겼을 때 생기는 질환입니다.”연구팀은 우선 컴퓨터를 이용해 사람의 전체 유전자에서 연골 세포의 사멸과 관련된 유전자를 모두 찾았다.수천 개의 유전자 중 후보를 골라 쥐, 토끼 등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느끼는 힘 센서나 촉각 센서도 붙여 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나면 센서에서 들어오는
신호
를 손가락의 움직임과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동작 패턴을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마루Z의 손을 만든 오용환 KIST 책임연구원은 “로봇팔 하나를 만드는 것보다 손가락 하나를 제대로 만드는 게 더 어렵다”면서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