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학"(으)로 총 8,405건 검색되었습니다.
- [주니어 폴리매스] 폴리매스 어셈블!수학동아 l2022년 06호
- 어셈블은 여러분을 위해 문제 풀이에 달려들고 싶게 만드는 ‘창의 수학’ 문제를 내고 수학 공부법과 진로 등에 대한 상담도 해 주고 있어요. 지금 바로 폴리매스 홈페이지에 접속 해 [주니어 폴리매스 문제]-[폴리매스 어셈블] 에서 문제를 풀어 보세요 ... ...
- [폴리매스 수학자를 만나다] 수학 영재들과 함께 문제 풀면 수학 자신감이 쑥! 송용진 인하대 수학과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6호
- 송 교수님을 직접 만나 고민 상담을 받을 기회가 있습니다. 바로 다음 쪽에 나오는 ‘대한수학회 65번 문제’를 해결하는 것! 문제 풀고 송 교수님께 멘토링 받으러 가요~ ... ...
- [특집] 게임도 과학입니다만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정말 과학인가요? 또 요네는 정말 수학인가요?우리팀이 하면 무조건 진다는 뜻에서 과학, 수학이라 불리곤 하죠? 그런데 두 챔피언 모두 승률이 낮진 않았습니다. 최근 패치인 12.8을 기준으로 야스오와 요네는 중간 정도의 승률을 보입니다. 심지어 야스오는 미드 라인에서 중간 이상의 승률을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로봇 군단의 탄생을 막아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6호
- +놀이북 10쪽과 함께 보세요! 지난 줄거리프로보는 점검을 받기 위해 딱지와 함께 자신의 고향 마누팩토 행성에 간다. 딱지는 프로보가 점검받는 동안 마누팩토 행성을 견학한다. 그러던 중 프로보와 똑같이 생긴 로봇들이 이상한 행동을 보이기 시작하는데.... 딱지는 빨리 프로보를 찾아야겠다 ... ...
- [찐 독자를 만나다!] 과학고 진학한 성동일 배우님 아들, 성준수학동아 l2022년 06호
- 많은데, 두 가지 모두 활용해서 훌륭한 보안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을 것 같거든요! 수학이 좋아서 컴퓨터 프로그래머란 직업에 더 끌렸다는 성준 학생. 10년 뒤, 무엇이든 막아 내는 강력한 보안 프로그램을 만들고 있을 것 같은데요. 그 모습이 기대됩니다 ... ...
- [수학으로 발사! 누리호] 누리호 카운트다운! 발사장은 어디에?수학동아 l2022년 06호
- 누리호의 2차 발사일이 코앞으로 다가왔어요. 누리호는 6월 15일 전남 고흥군에 있는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될 예정입니다. 그런데 지도에서 발사장이 있는 고흥을 찾아보면 우리나라 남쪽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수많은 장소 중 고흥을 발사장으로 선택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고 ... ...
- [수학체험실] 직사각형으로 나누기, 테트라스퀘어수학동아 l2022년 06호
- 세상을 직사각형으로 나눌 수 있을까? 네덜란드 화가 피에트 몬드리안은 수직선, 수평선, 삼원색만으로 이뤄진 사각형으로 세상의 질서와 균형을 나타냈다.퍼즐 테트라스퀘어를 풀어 몬드리안의 그림처럼 직사각형으로만 이뤄진 책갈피를 만들어 보자. 테트라스퀘어란 ‘테트라스퀘어 ... ...
- [인터뷰] “빅데이터에서 사회문제 해결 실마리 찾아요”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이유다.차미영 KAIST 전산학부 교수(기초과학연구원(IBS) 수리 및 계산과학 연구단 CI)는 수학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알고리즘과 인공지능(AI)으로 사회과학 문제를 푸는 데이터과학자다. 그는 미국 페이스북,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등에서 일했다.“일상 속에서 접할 수 있는 뉴스 랭킹, 일정 관리 등의 ... ...
- [이달의 책] 미스터리한 글귀를 과학지식으로 풀다 외과학동아 l2022년 06호
- 기반으로 한다. ‘과학특성화중학교’는 앞서 성공을 거둔 과학추리 판타지 소설 ‘수학특성화중학교’의 후속작이다. 저자는 네이버웹툰 ‘닥터 앤 닥터 육아일기’로 유명한 서울대 에너지시스템공학 박사 출신의 이대양(닥터베르) 작가다. 프랑스 작가 시몽 위로는 어느날 150평 정원이 딸린 ... ...
- [수학자 가상인터뷰] 특별한 가설로 세계를 들썩이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5호
-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수학 문제를 만드셨지요? 제가 1859년 발표한 논문에 쓴 ‘리만 가설’ 얘기로군요. 리만 가설은 ‘소수’의 배열에 일 ... 과정을 종이에 빼곡하게 적으며 수없이 검토하고 수정했거든요. 피나는 노력이 없었다면 수학의 역사에 남을 업적을 세우지 못했을 거예요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