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계
천하
천지
세태
사회
지구
인류
d라이브러리
"
세상
"(으)로 총 4,863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시아 월드컵의 또 다른 스타 텔스타 18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비난을 받고 2년 만에 퇴출당했습니다. 보통 4년은 쓰는데 말이지요. 자블라니 제작팀은
세상
에서 가장 둥글고 공격에 도움이 되는 축구공을 만들려고 노력했습니다. 슛이 강하고 빠르게 들어가 골키퍼가 막기 힘들게 만들면 득점이 많이 날 거라는 판단 아래 탄성력이 좋은 공을 만든 것이지요 ... ...
Intro. 반증으로 추측을 부숴라! 스트리트 매스파이터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계속 보시려면? Intro. 반증으로 추측을 부숴라! 스트리트 매스파이터Part 1.
세상
에서 가장 섬뜩한 분해 작업 ‘소인수분해’Part 2. 2의 저주? 2문장에 함락된 오일러Part 3. 힐베르트 뼈 때리는 '불완전성 원리'Part 4. 연륜 NO인정? 뿔난 노인장의 ... ...
Part 2. 2의 저주? 2문장에 함락된 오일러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계속 보시려면? Intro. 반증으로 추측을 부숴라! 스트리트 매스파이터Part 1.
세상
에서 가장 섬뜩한 분해 작업 ‘소인수분해’Part 2. 2의 저주? 2문장에 함락된 오일러Part 3. 힐베르트 뼈 때리는 '불완전성 원리'Part 4. 연륜 NO인정? 뿔난 노인장의 ...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빙하기 이후 춥고 건조한 환경 때문에 인간이 숲을 벗어나 들판에 거주하면서 곡식이
세상
에 나온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발간된 ‘김홍표의 크리스퍼 혁명’에서도 이런 진화적인 관점이 잘 드러난다. 4세대 유전자 가위로 주목받고 있는 크리스퍼를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진화적인 ... ...
[Future] 줄었다 늘었다 자유자재, 이런 컵 슬리브는 처음이야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기계에서 하얀 플라스틱이 스파게티 면발처럼 뽑혀 나온다. 바닥에 켜켜이 쌓이더니 신발의 형태가 된다. 아디다스가 5월 선보인 운동화 ‘ ... 필요한 분야”라며 “기발한 아이디어와 스마트한 소재가 어우러질 때 4D 프린팅은
세상
을 놀라게 할 다양한 발명품을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첨단 가상현실 체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친구들은 가상현실
세상
에서 어떤 일을 해 보고 싶은가요? SF 영화에서 보던
세상
이 실제로 펼쳐진다면 정말 신나겠죠? 앞으로 다가올 신기한 가상현실 기술들을 함께 기대해 봐요~ ... ...
수학동아 단독 특별전시회, 수학으로 피운 꽃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작품은 우리가 알던 익숙한 꽃과는 다른 독특한 느낌을 줍니다. 꽃이면서 꽃이 아닌,
세상
에 없는 ‘무기 식물’이 된 겁니다. “어느 날 식물을 자세히 들여다봤는데 제가 생각했던 모습과 달랐어요. 가까이서 보니 꽃 속에 기계의 부속품 같은 부분이 숨어있더군요. 생물이라고만 생각했던 꽃에서 ... ...
Part 4. 연륜 NO인정? 뿔난 노인장의 역습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계속 보시려면? Intro. 반증으로 추측을 부숴라! 스트리트 매스파이터Part 1.
세상
에서 가장 섬뜩한 분해 작업 ‘소인수분해’Part 2. 2의 저주? 2문장에 함락된 오일러Part 3. 힐베르트 뼈 때리는 '불완전성 원리'Part 4. 연륜 NO인정? 뿔난 노인장의 ... ...
[국립과학관 공동특별전] 수학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뫼비우스 띠처럼 사실 우리가 사는
세상
이 수학나라고, 수학나라가 곧 우리가 사는
세상
이랍니다. 어서 수학나라에 방문해 보세요. 수학 기호가 빨려 들어가는 굴이 수학나라로 가는 입구랍니다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했는데, 생물 부분이 무척 어려웠다”고 말했다. 또 화학 수업을 들을 때는 학문마다
세상
을 이해하는 관점이 다르다는 걸 느꼈는데, 물리학적인 관점이 자신에게 더 잘 맞는다는 사실을 깨달았다.강 씨가 조선해양공학으로 진로를 정한 결정적인 계기는 2학년 때 참여한 서울대 공대의 ‘청소년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