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분"(으)로 총 3,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4 분자, 거울에 비춰보다!수학동아 l2010년 12호
- 이 중 L-리모넨은 오렌지 향을, D-리모넨은 레몬 향을 낸다. 두 리모넨 분자는 화학적 성분은 같지만, 다른 성질이 있어 코나 혀에서 다르게 반응 한다. 그래서 맛과 향이 다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대칭으로 풀어낸 분자 나라의 신비1 보이지 않는 세계를 대칭으로 생각하다 2 대칭으로 ... ...
- 800년 만에 돌아온 고려 시대 보물선과학동아 l2010년 12호
- 휩쓸리면서 분해된다. 또 바다나무좀 같은 해양천공충류와 미생물들이 셀룰로오스 성분을 갉아 먹어 유물 표면에 구멍을 송송 낸다. 결국 마도 선박의 유물들은 진흙에 묻힌 덕분에 바닷물과 산소, 바다생물로부터 지켜질 수 있었다는 얘기다.해가 뉘엿뉘엿 넘어갈 때 쯤, 해저에서 작업하던 ... ...
- 테라포밍, 지구의 조건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수소는 탄소와 연결해 유기물을 만들고 산소는 대기 중으로 방출해 대기의 구성 성분을 조금씩 변화시켰다. 두 가지 원인에 의해 산소의 농도가 증가하면서 생명체도 커졌다. 산소는 전기음성도가 커 산화력이 크다. 산소가 화학반응에 참여하면 더 많은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래서 산소를 ... ...
- 말보다 정직한 ‘몸의 언어’과학동아 l2010년 12호
- 때문이다. 안동대 지구환경과학과 정기영 교수는 어뢰 추진체에서 발견된 물질의 성분을 분석한 뒤 100℃ 이하의 온도에서 만들어지는 ‘비결정성 알루미늄황산염수화물’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이 물질이 고온고압의 폭발로 만들어진 ‘비결정성 알루미늄산화물’이라는 합조단의 주장을 뒤집는 ... ...
- ‘빛 좋은 개살구’가 보약이네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저희 아버지가 저것을 핑계로 포도주를 많이 드시거든요. 휴우~.김 박사 네, 이런 성분들은 포도에 많이 들어 있어요. 특히 과육보다는 껍질에 많이 들어 있답니다. 만약 껍질이 얇아 과육과 분리되지 않고, 씨가 없다면 포도 알을 통째로 먹어 레스베라트롤을 최대로 얻을 수 있을 거예요. 이미 200 ... ...
- 소행성 충돌 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과학자들이 우주 소행성의 충돌사건에 대한 증거를 처음으로 밝혀 냈다. 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과 혜성 탐사 위성인 로제타의 카메라로 소행 ... 게라시멘코(67P/Churyumov-Gerasimenko) 혜성에 착륙해 혜성 핵의 성질과 혜성을 이루는 물질의 성분을 조사할 예정이다 ... ...
- “세계 비소 오염 우리가 책임집니다”과학동아 l2010년 11호
- 흡수해도 인체에 위험하다. 비소는 고대부터 독약으로 사용됐으며 임금이 내렸던 사약의 성분이기도 하다. 급성 및 만성 중독에 의해 간, 신장, 피부에 암을 일으킨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환경공학부 토양환경연구실의 김경웅 교수는 토양 및 지하수의 비소 오염을 조사하고 환경을 복원하는 ... ...
- [지구과학] 지자기 탐사의 원리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달하고, 700km 깊이에서는 약 2000℃이다. 그리고 맨틀과 외핵의 경계부에서는 외핵의 주성분인 철의 용융점보다 높고, 맨들의 용융점보다 낮은 약 3500℃로 추정되며, 지구의 중심에서는 약 4500℃이다. 1. 다음은 지구 내부의 층상 구조, 지구 내부의 온도 변화와 구성 물질의 녹는점 변화, 자기의 영년 ... ...
- 빛그림 만드는 광화학의 신비과학동아 l2010년 11호
- HFC(수소화플루오르화탄소)가 개발됐다. 그러나 HCFC는 대류권에서 분해되기 쉬우나 염소 성분을 갖고 있어 CFC보단 덜하지만 역시 오존층을 파괴한다. 그래서 1992년 제6회 몬트리올 의정서에서 규제물질로 포함됐다. HFC는 오존층을 파괴하지는 않지만 이산화탄소에 비해 수백 내지는 수만 배의 ...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좋다면야…’라고 생각하며 마실 것이다.나머지 짠맛과 신맛은 생리활성을 조절하는 성분에 대한 맛으로 나트륨 이온(짠맛)과 수소 이온(신맛)을 감지한다. 몸에 나트륨 이온이 부족해지면 짠 음식을 찾게 되고 짠 게 더 맛있게 느껴진다.주커 교수팀과 리바 박사팀은 1999년 혀의 미뢰(맛봉오리)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