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제주 보육교사 살인 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죽음을 배수로 안에서 수습한 정도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현철호전북대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은 뒤 현재 전북지방경찰청에서 검시사무관을 맡고 있는 법곤충학 전문가다. 유병언 세모그룹 회장 변사 사건 수사에 참여해 국내 최초로 곤충을 통해 사후 경과시간을 추정했다. 순천향대, 충남대 ...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이론은 1977년 암흑물질의 존재가 물리학자들 사이에 막 알려지기 시작하던 때, 이휘소 박사와 스티븐 와인버그 교수의 초기 우주론 논문에서 나왔다.지하실험연구단을 이끄는 김영덕 단장(ICHEP2018 공동조직위원장)은 2003년부터 강원 양양군 양수발전소 지하 700m에 검출기를 설치하고 실험을 해왔다. ... ...
- [Future] 줄었다 늘었다 자유자재, 이런 컵 슬리브는 처음이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동공이 미세하게 떨렸다. 이초희 KIST 인턴연구원, 오제훈 서울대 재료공학과 연구원(석.박사통합과정)과 ‘과학동아-KIST 4D 프린팅 프로젝트’가 시작되던 순간이다. 아디다스도 4D 프린팅으로 운동화를 만들었는데, 우리도 한번 해보자. 문제는 7월호 마감까지 3주라는 빠듯한 시간이었다. ... ...
- [시사과학 뉴스] 스티븐 호킹, 우주의 별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호킹 박사의 연구는 우주에 대한 인류의 생각을 바꾸어 놓았어요. 이에 대해 호킹 박사는 “내가 우주에 대한 우리의 지식에 뭔가를 보탰다면 그것만으로도 행복하다”고 말했답니다 ... ...
- Part 4. 별별 행성사냥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단단한 지각을 가진 행성이라서 더욱 주목받고 있답니다. 연구를 이끈 NASA 폴 허츠 박사는 “인공지능은 케플러가 보내 준 수많은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 아주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어요. 외계행성 연구에는 시민들의 도움이 꼭 필요해요! ◀ 제시 크리스티안센(미국항공우주국 ... ...
- [Origin] 성체줄기세포의 세포 ‘리필’ 능력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최영은미국 바드대에서 생물을 전공하고 하버드대에서 발생학 및 재생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외우는 과학이 아닌 질문하는 과학의 즐거움을 나누고 싶어 과학교육에 발을 담그게 됐다. 현재 미국 조지타운대 생물학부에서 유전학, 발생학 등을 가르치며 새로운 대학 과학교육 시스템을 ... ...
- Part 3. 긴급! 현장으로 출동하라, 재난&군사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있어! 지도 만드는 바퀴벌레 로봇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교 에드가르 로바튼 박사가 지난 2013년에 개발한 ‘바퀴벌레 로봇’은 건물 붕괴 현장과 같은 곳에서 지도를 만들 수 있는 군집로봇이에요. 보통의 지도는 GPS를 이용해 만들 수 있지만, 지하나 건물이 붕괴된 곳은 GPS 신호가 뚫고 ... ...
- Part 2. 세상에서 가장 뜨거운 방귀, 폭탄먼지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1초당 1000번씩 뜨거운 방귀를 뿜뿜!폭탄먼지벌레는 위협을 느낀 순간, 꽁무니에서 유독물질인 벤조퀴논과 뜨거운 수증기를 뿜어내요. 그 순간 수증기의 온도가 100℃ 이상 올라가기 때문에 한번 이 뜨거운 맛을 본 포식자는 다신 폭탄먼지벌레를 건드리지 않는다고 해요. 폭탄먼지벌레의 이런 행 ... ...
- [Culture] 굳이 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3, ‘쥬라기 월드’가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2015년에는 잭 호너(호너는 난독증으로 박사학위를 마치지 못했고, 몬태나주립대에서 명예박사학위를 받았다)와 미국 하버드대 진화생물학과 연구팀이 각각 달걀에서 일부 유전자를 없애는 실험을 진행한 결과 공룡처럼 긴 꼬리를 가지거나 doi:10.1186/2041-9139-5-25, 부리대신 긴 주둥이를 가진 배아가 ... ...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반드시 필요하다. 김광희_kwanghee@pusan.ac.kr미국 멤피스대에서 지질학/지구물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대만 중앙대 연구원과 대만 중앙과학원 지구과학연구소 연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을 거쳐 2014년부터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육지과 바다에서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