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본"(으)로 총 4,88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015년 완료를 목표로 업그레이드 중이라 현재는 지오600만 유일하게 가동하고 있다.이들은 기본 원리가 똑같지만 조금씩 차이가 있다. 터널의 길이는 미국의 라이고가 4km로 가장 길다. 버고는 3km고, 지오600은 600m다.터널이 길면 감도가 좋다. 버고와 지오600은 거울의 진동차폐기가 뛰어나다. 지오600은 ... ...
- [체험] 발사 성공! 나로호 설계의 주역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3년 03호
- 그리고 미분, 적분과 같은 계산이 필요해요. 물론 계산은 컴퓨터가 하지만, 과학자도 기본적인 수학 지식은 있어야 조건에 맞게 수식을 입력하고 계산을 검토할 수 있답니다."나로과학위성은 1월 31일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에 위치한 국내 지상국과 첫 교신에 성공하며 본격적인 활동을 ... ...
- ➌ 박형동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석유·석탄 같은 ‘전통에너지’입니다. 에너지자원공학과에서는 전통에너지를 기본으로 신재생에너지 전반에 대해 가르칩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는 굉장히 거대합니다. 각 분야마다 담당하는 학과가 다르죠. 그래서 신재생 에너지 중, 어떤 분야를 하고 싶은지 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 ...
- PART 3 백두산이 폭발하면 초소형 무인기가 뜬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일반 항공기 날개 형태의 ‘고정익’, 회전날개로 양력을 얻는 ‘회전익(로터)’은 기본이다. 회전익을 여러 개 장착한 ‘멀티로터’와 새나 곤충의 날갯짓을 본뜬 ‘플래핑’ 날개는 일반 항공기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특이한 형태다. 고정익이나 회전익, 플래핑을 합친 새로운 형태도 ... ...
- 개코보다 더 개코 같은 돼지코의 비밀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부위인 후각신경구(후구)다. 포유동물은 머리 형태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나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후각상피세포층은 지지세포, 기저세포 및 후각신경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후각신경세포가 화학물질을 인식하면 활성화돼 뇌의 후각신경구로 전기자극을 전달한다 ... ...
- 해외 식물 자원 대전에 다 모였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오는 식물을 표본으로 만들어 보존한다. 만들어진 표본에는 채집자, 채집일시, 장소 등 기본 정보가 담긴 표를 붙인 채 보존되며, 표에 담지 못한 정보는 일련번호와 함께 디지털화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표본관을 지나 들어간 종자은행은 우리나라와 식물자원 관련 협력관계에 있는 국가에서 ... ...
- PART 2 무인기와 유인기가 맞짱을 뜬다면?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압도적인 성능으로 아예 유인전투기가 공중에 뜨지도 못할 수 있다. 무인전투기의 기본 용도는 몰래 침투해 목표물을 치고 빠져나오는 것이다. 적의 방공망을 선제공격해서 무력화시키는 작전(SEAD)이 가장 대표적인 임무다.이를 위해서는 우선 적의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는 스텔스 기능을 갖춰야 ... ...
- 부러진 뼈도 쉽게 붙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잘 붙게 하려면 이 혈관도 함께 치료해야 해요. DJ-1 단백질은 뼈, 지방, 연골 같은 기관의 기본인 ‘중간엽 줄기세포’ 뿐 아니라 혈관의 막을 구성하는 ‘혈관내피세포’에도 함께 작용해 뼈의 회복 속도를 높인답니다. 과학자들은 DJ-1 단백질로 뼈 질병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의약품을 개발할 수 ... ...
- [수학뉴스] 새로운 물질을 만드는 수학적인 레시피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실험을 했다. 그랬더니 입자들이 액정 안에서 마치 레고 블록처럼 다양한 구조를 만드는 기본도형 역할을 했다. 또한 이 입자들이 수학자 가우스와 보네, 그리고 푸앵카레가 만든 위상수학 이론에서 예측하는 대로 정확하게 움직이는 것도 확인됐다. 즉, 이 방법을 이용해서 새로운 합성물질을 만들 ... ...
- 빙하 붕괴부터 세포분열까지! 별걸 다 예측하는 수학수학동아 l2013년 02호
- 현상을 직관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수학의 영역을 넓힌 것이다.카타스트로피 이론의 기본 가정을 살펴보자. 일단, 이 이론은 원인과 결과의 공간을 구분한다. ‘원인 공간’ 속의 변수가 변화함에 따라 ‘결과 공간’에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 엉뚱한 결과를 가져온다. 예를 들어 x, y가 원인이라고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