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자
구성원
알맹이
극소량
티끌
미립자
브이
d라이브러리
"
입자
"(으)로 총 2,112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10
뮤온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고에너지 뮤온이 물질과 반응을 할 때 가끔가다 다른
입자
들을 만들어내는데, 이 중에는 감마선도 있고 중성자도 있다.이들 감마선과 중성자는 윔프 탐색에 있어 치명적이다. 따라서 뮤온으로부터 도망을 가야 한다. 이를 위해 과학자들은 땅속 깊이 들어가는 ... ...
'황금의 손'가진 미생물 발견
과학동아
l
200109
단순한 과정을 통해 이뤄진다는 것. 배출된 금은 고체
입자
로 매우 작지만, 만약 이들
입자
가 서로 달라붙을 경우 육안으로도 볼 수 있다.그러나 러블리 교수는“이같은 과정이 보석 제조업자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할 만큼 효율적이진 않다”고 말했다. 그 까닭은 1g의 견고한 금을 만들어내는데 ... ...
물리학자는 왜 대칭성에 주목할까
과학동아
l
200109
찾아내는 것이다.KEK와 SLAC의 가속기들은 전자와 양전자의 에너지를 다르게 해 생성된
입자
들을 한쪽으로 추진(부스트)시켜 좀더 멀리 날아가도록 해 이런 측정이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한편 이들 가속기에서 B중간자와 반B중간자가 쌍으로 생기기 때문에 한쪽이 B나 반B인지 알 수 있는 다른 ... ...
태양계 7대 비경 관광가이드
과학동아
l
200108
프로메테우스와 판도라 위성이 양치기 위성의 역할을 합니다. 이들 위성의 중력이 고리
입자
들이 퍼지지 못하도록 좁은 리본 형태로 유지시키기 때문입니다.”기내에는 안전벨트를 단단히 매라는 안내방송이 흐른다. F고리를 가까이에서 관측하려고 시도하기 위해서다. 우주선이 판도라 위성 표면 ... ...
이혁모 컴퓨터로 첨단합금 설계하는 사이버 연금술사
과학동아
l
200108
새로운 물질을 탄생시키는데 일등공신 역할을 한다.예를 들어 금속재료에 아주 작은
입자
를 분포시켜 금속을 더 강하게 만들 수도 있는 것을 비롯해 미세조직을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성질을 갖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미세조직은 열역학적 평형상태와 반응속도에 영향을 받는다. 즉 새로 ... ...
중성미자 질량 존재 97% 확신
과학동아
l
200108
일본, 미국이 참여하는 K2K 실험이다. K2K 실험은 일본 츠쿠바시의 고에너지연구소(KEK)에서
입자
가속기로 ‘뮤온중성미자빔’을 만들어 이를 땅속으로 관통시켜 2백50km 떨어진 도쿄대 우주선연구소의 지하관측장치인 ‘슈퍼카미오칸데’를 향해 발사한 후 뮤온중성미자가 다른 종류로 바뀌는지 ... ...
2. 전기 통하는 플라스틱의 비밀 2010년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등장
과학동아
l
200108
도체까지 원하는 대로모든 물질은 물질을 이루는 원자 내에 전자라는 아주 작은
입자
를 가진다. 전기가 통한다는 말은 바로 전자가 자유롭게 움직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모든 물질의 원자와 전자에는 공유상태와 전도상태라는 두가지 에너지상태가 항상 있으며, 두 상태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 ...
1. 1백만달러 현상금 걸린 유체방정식
과학동아
l
200107
방정식, 전기장을 설명하는 맥스웰 방정식, 양자역학의 근본 방정식인 슈레딩거 방정식,
입자
의 운동을 결정짓는 볼츠만 방정식 등이다. 이들은 성공적으로 자연현상을 함축적인 수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를 가리켜 자연현상의 ‘지배방정식’이라고 한다. 과학자와 공학자는 자연현상에 대한 ... ...
뒤집어본 제주도 지질 상식
과학동아
l
200107
때 양쪽의 퇴적방향이 정반대가 된다. 또한 화구에서 멀어질수록 화산먼지나 화산재의
입자
밀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퇴적층의 두께가 가늘어진다. 수월봉의 경우에는 한라산쪽으로 두께가 가늘어진다(그림1). 이제 어떤 결론을 내릴 수 있을까. 수월봉과 차귀도는 같은 화산폭발로 형성됐다. 그리고 ... ...
왜 과학자들은 블랙홀에 빠질까
과학동아
l
200107
상대성이론은 무너지거나 커다란 수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 만일 빛보다 빠른
입자
가 있다면 어디에서 발견되겠는가. 당연히 우주에서, 그것도 블랙홀과 같은 천체 주위에서 발견될 것이다. 만일 상대성이론이 무너진다면? 다시 새로운 기초과학이 정립되고 E=mc2 못지 않은 공식이 나올 지도 모른다.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