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래"(으)로 총 4,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쏙쏙 밀어 넣는 포켓 당구수학동아 l201103
-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두 공은 대체 어떤 원리로 움직이는 걸까? 이번에는 수구의 아래위 방향으로 겨냥하는 점을 다르게 했을 때 수구와 적구 두 공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살펴보자 (그림 2).수구의 윗부분을 치면 적구를 만나 둘 다 앞으로 굴러간다(❶). 만약 구멍(포켓) 가까이에 적구가 ... ...
- 서울동북초등학교 MIE 수업 탐방 스케치수학동아 l201103
- 여러분도 수학동아로 특별한 수학수업을 함께하고 싶다면, 지금도 늦지 않았어요! 아래의 e메일로 학교, 학년, 반, 이름, 연락처를 간단한 사연과 함께 보내주세요. 한 달에 한 학급을 선정해 수학동아가 전국 어디든 찾아갑니다. 수학동아 기자들과 함께하는 MIE수업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 ...
- Part 2. 기막힌 운이 승리를 가져다준 쌍륙수학동아 l201102
- 모은 다음, 안육의 一(일) 밖(종착지)으로 내보내면 이긴다. 건너편 말은 상대의 바깥육(아래쪽)으로 옮겼다가 자신의 바깥육을 거쳐, 다시 자신의 안육으로 옮긴다.규칙 ⑤ 가려는 자리에 상대방 말이 1개 있으면 잡고 들어가지만 2개 이상 있으면 이동할 수 없다. 단,주사위 2개가 같은 수가 나올 ... ...
- 기호를 알면 도서관 책이 보인다.수학동아 l201102
- 오른쪽 방향으로 책을 꽂기 때문이다. 또한 맨 위층에 있는 책일수록 분류기호가 낮고 아래로 갈수록 커진다.분류기호가 비슷한 책 사이에서는 숫자의 크기를 비교하자. 410.9가 있다면 그 오른쪽에 410.911이 있고, 410.912는 그 오른쪽에 있다. 모든 숫자가 같다면 도서기호의 문자를 확인하자. ...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과학동아 l201102
- 속에 총 16개의 관절이 들어 있다. 사과 같은 둥근 물건도 손끝만으로 잡을 수 있다(아래).]만들기 어려운 손가락 형그렇다면 로봇은 정말로 인간과 똑같은 손을 가질 수 없는 걸까요. 아직은 어렵지만 가능하다고 보는 사람들은 있습니다. ‘사람과 똑같은 로봇손’만 전문으로 연구하는 사람들도 ... ...
- 달라붙는 속옷이 몸에 좋은 이유과학동아 l201102
- 분만이나 유산 등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켰다. 심지어 가느다란 허리를 만들기 위해 맨 아래 늑골을 제거하는 수술까지 성행했고 아르누보 시대의 악명 높은 S자형 코르셋(복부를 최대한 조여 꼬리뼈를 뒤쪽으로 미는 코르셋)으로까지 발전했다.여성이 코르셋의 공포로부터 해방된 것은 20세기 ... ...
- Intro. 한반도 바이러스 대공습!과학동아 l201102
- 살처분한 비율이다. 현재 경기가 최악이고 강원, 충남북, 경북도 심각하다. 그래프 아래 숫자는 사육하는 소와 돼지의 마릿수고 괄호 안 숫자는 살처분한 마릿수다.]구제역 확산 현황지난해 11월 28일 경북 안동에서 첫 신고된 구제역이 50여 일 동안 파죽지세로 퍼지면서 가축 220만여 마리가 ... ...
- Part 2. 숙주 특이성과학동아 l201102
- VP1, VP2, VP3, VP4 네 가지가 각각 60개씩 있는데 VP4는 표면에 노출되지 않는다. 아래는 결정구조로 왼쪽이 구제역바이러스, 오른쪽이 리노바이러스(감기바이러스)로 매우 닮았다.][인플루엔자바이러스-지름이 100nm 정도이고 캡시드단백질을 지질막이 감싸고 있는 구조다. RNA게놈은 8개의 조각으로 나눠져 ... ...
- 3차원 영상으로 암모나이트의 식성 밝혀과학동아 l201102
- 단단한 성분으로 된 주둥이를 가졌다. 또 아래턱이 위턱보다 크고 뭉툭하며 아래턱 부분에 가느다란 수염 모양의 이빨이 여러 겹으로 나 있다. 현존하는 두족류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이다. 연구팀은 이런 턱으로 먹이를 자르지 못하기 때문에 물속에 떠다니는 플랑크톤 같은 작은 생물을 먹고 ...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과학동아 l201102
- 왔던 우주 탄생의 비밀을 밝힐 수 있을지 주목해 봐야 할 때다. 남극점 바로 옆 얼음 아래 깊숙한 곳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중성미자망원경이 묻혀 있다. 지난해 12월 완성된 중성미자망원경 ‘아이스큐브’는 부피가 대략 1km3인 얼음속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광센서 5160개로 이뤄져 있다.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