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녁
나이트
야간
마롱
BAM
d라이브러리
"
밤
"(으)로 총 2,614건 검색되었습니다.
밤
하늘에 핀 장미한송이
과학동아
l
200401
이 두별이 바로 외뿔소의 머리를 이루는 별이다. 이 두별의 모습은 꽤 뚜렷하고 특이해
밤
하늘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그리 낯설지 않은 별이다. 이번에는 이 두별과 삼각형을 이루는 또하나의 별을 찾아보자. 이 별은 두별의 남동쪽에 위치해 있는 외뿔소자리 18번별인데 5등급으로 다소 어둡다. ...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과학동아
l
200401
나눠져 있다. 각 시의 전반부는 초, 후반부는 정으로 2등분했다. 예를 들어 자시는 지금의
밤
11시-새벽 1시에 해당하며 이를 다시 자초와 자정으로 나눈 것이다. 또한 하루를 1백각으로도 나눴다. 1각은 현재 시간으로 14-15분 정도다.그렇다면 조선시대의 시계가 과연 정확할까.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에 ... ...
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과학동아
l
200401
있다. 이 호르몬을 생산하는 특정 효소단백질의 활동 또한 생체시계의 조절을 받아
밤
에만 활성을 가지며 이 호르몬의 작용을 매개하는 수용체가 시계중추에서 발견되고 있다.우리 몸의 정상 세포는 분열주기가 24시간이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더이상의 분열을 중지하다가 세포사멸이라는 기작에 ... ...
말라리아 퇴치, 미꾸라지가 나선다
과학동아
l
200401
‘기상어’(氣象魚) 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두 종류의 식성은 모두 잡식성인데 주로
밤
에 먹이를 먹는다. 동물성을 선호해 동물성 플랑크톤이나 모기와 깔따구의 유충을 좋아한다. 특히 몸길이 10cm 정도인 1년생 이하의 치어가 20cm에 다르는 성어보다 포식 활동이 활발하다. 수명은 10년 이상으로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
과학동아
l
200401
얘기입니다.”인간의 유전적 다양성을 연구하고 있는 유전학자인 미국 유타의대 마이클
밤
샤드 교수의 말이다. 그에 따르면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인과 호주 원주민은 비슷하게 짙은 피부색을 띄지만 지구상의 어떤 인종보다도 서로 공유하는 유전자가 적다. 반면에 유럽의 백인과 아프리카 ... ...
갈릴레이, 목성 위성 발견해 명성 얻어
과학동아
l
200401
것은 아니었다. 시연이 있은 몇 달 후 갈릴레이는 20배율로 더 정교해진 자신의 망원경을
밤
하늘로 향하게 했다. 대학에서 천문학도 가르치면서, 코페르니쿠스 체계에 경도돼 있던 그가 천체 관측에 망원경을 이용한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우선 그의 망원경은 달로 향하였다. 망원경을 통해 본 달은 ... ...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
과학동아
l
200401
따라 자전속도 다르다수정시계가 등장하기 전에는 천체를 관측해 시간을 맞췄다. 매일
밤
망원경으로 별을 관찰할 때 그 별이 보이는 시간은 항상 일정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어떤 별이 관측되는 시간을 보고서 진자시계를 맞췄다. 그런데 수정시계가 나온 후 별이 보이는 시간이 수정시계에서는 ... ...
지자기 폭풍이 빚어낸 걸작 오로라
과학동아
l
200312
시작으로, 11월 4일까지 약 열흘 동안, X급 플레어만 해도 10차례 있었다. 10월 29일
밤
에는 관측 사상 최대인 X17급 플레어가 발생한데 이어, 11월 4일에는 이에 질세라 X28로 추정되는 초강력 플레어가 앞선 기록을 갱신했다. 현재 측정 가능한 플레어의 최대 강도가 X20 정도임을 감안하면 이번에 지구를 ... ...
비행기 1백년의 파노라마
과학동아
l
200312
비행기의 기본 운항장비로 자리잡게 됐다. 물체를 식별하는 전파 레이더를 통해 캄캄한
밤
중이나 눈·비가 오는 상황에서도 비행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전쟁이 진행되는 동안 좀더 성능이 우수한 비행기를 만들기 위해서 독일과 영국은 제트 엔진을 이용해 소리의 전달속도(음속)를 돌파한 초음속 ... ...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12
새삼 느낄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아름다움이 우리들의 마음을 풍요롭게 한다.이달의
밤
하늘에 어떤 일이? 12월 18일 새벽, 달이 별을 집어 삼킨다. 천구상에서 달이 움직이는 길을 백도라고 한다. 이 백도는 천의 적도나 태양이 지나가는 길인 황도처럼 고정돼 있지 않고 황도를 중심으로 다소의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