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스페셜
"
동물
"(으)로 총 1,465건 검색되었습니다.
[채널A] “진짜 인간 같다”…인공지능 판정 첫 통과
채널A
l
2014.06.10
마실 수 없다는 대답이 돌아옵니다. 이번에는 엄마에 대해 물었습니다. 자신의 애완
동물
을 싫어한다는 평소 불만을 털어놓습니다. 러시아 연구진이 개발한 인공지능 ‘유진 구스트먼’. 햄버거를 좋아하는 13살 소년으로 설정해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 판정 시험인 ‘튜링 테스트’를 거뜬히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브롬을 보충해주면 다시 정상으로 돌아온다고. 사실 브롬이
동물
의 생존에 필요한 것 같다는 정황증거는 있었지만 ‘유독물질’이라는 선입관 때문에 이를 깊이 파고든 연구자가 없었던 것. 브롬 분자(Br2)는 상온에서 적갈색 액체이지만 끓는점이 낮아 쉽게 휘발한다. ... ...
배에 실려 온 외래생물종의 습격!
KISTI
l
2014.06.05
같은 외래 생물종이 18종이나 정착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중해 담치는 양식
동물
의 부착과 성장을 방해하고 토종 홍합의 서식지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유령멍게는 죽으면 물밑에 가라앉아 바닷물을 오염시킨다. 북태평양산인 아무르불가사리는 조개류를 무차별적으로 포식한다. 인천, ... ...
[기술이 바꾼 미래] 윌리엄 헨리 퍼킨 : 합성 염료 시대를 열다
KOITA
l
2014.05.27
생산이 바로 그것이다. 현대 화학이 발달하기 전까지는 의약품도 염료와 마찬가지로
동물
이나 식물과 같은 천연 자원을 원료로 사용했다. 그러나 염료 합성에서 얻은 화학적 지식을 이용해 값싼 합성 의약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길이 열린 것이다. 염료는 인류 역사를 바꿔 놓았다. 수천 년 동안 ... ...
습관의 뇌과학
2014.05.26
교수. - Ann Graybiel 제공 물론 여기서 끝나면 그런 복잡한 연구를 한 보람이 없다.
동물
실험 결과 놀랍게도 변연계아래피질에 있는 뉴런을 비활성화하자 습관화된 행동을 더 이상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습관화된 행동은 우리가 의식하지는 못하지만 변연계아래피질의 통제 아래 진행되는 ... ...
[생활속의 기술] 무중력 자세로 운전한다
KOITA
l
2014.05.16
몰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자동차를 만들기로 했다. 치타나 말처럼 잘 달리는
동물
의 다리와 엉덩이 근육의 선을 모방했다. 자동차의 스피드와 힘을 나타내는 데 적격이었다. 이렇게 탄생한 동그란 눈처럼 생긴 전조등과 차체의 부드러운 곡선은 이제는 BMW만의 정체성이 됐다. 정의승 교수가 ... ...
[만화] 멸종 비상 바나나, 해답은 유전자 다양성!
KISTI
l
2014.05.14
그런데 넌, 정말 너무 먹잖아! 고기를 먹어야만 살찌는 게 아니야. 세상에서 가장 큰
동물
인 코끼리도 풀만 먹는다고!!” “정말요? 저는 바나나를 먹을수록 살이 빠지는 줄 알았잖아요. 좋아하는 바나나도 엄청 먹고 살도 빼고 일석이조라고 생각했는데, 힝~ 완전 망했어요. 어쩐지 점점 코끼리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했더라면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을 진행하지 않았을 거라는 말이다. 생쥐가 실험
동물
로 쓰이기 시작한 건 16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영국인 생리학자 윌리엄 하비가 혈액순환론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생쥐가 큰 역할을 했다. 그 뒤 20세기 들어 생쥐는 생명과학과 의학 발전에 결정적인 ... ...
희망멘토, 여성과학기술인 [제8편]
동아사이언스
l
2014.04.28
바이오벤처 여왕 되다’ 김정미 - 베트올 대표이사 현재는 세계 최고의 반려
동물
질병진단회사를 만드는 것이 꿈인 벤처기업의 CEO 김정미 씨지만 그녀의 첫 직업은 공무원이었다. 하지만 젊고 가장 의욕이 넘치는 시기에 그녀에게 공무원 생활은 맞지 않았다. 주의의 만류에도 굴하지 않고 ... ...
재난현장에서 나타나는 행동유형과 그 이유
KISTI
l
2014.04.25
자리에 서서 아무 행동도 하지 않는 사람이 적지 않았다. 심리학적으로 고소 공포증이나
동물
공포증 환자와 비슷하다. 겁에 질린 나머지 그대로 굳어버린 것. 긴장형의 행동은 진화의 산물이기도 하다. 쥐나 토끼는 솔개가 자신을 향해 다가오는 모습을 보고도 가만히 있다가 잡아먹힌다. 언뜻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