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이
특별
유별
독특
스페셜
고유
특유
뉴스
"
특수
"(으)로 총 1,534건 검색되었습니다.
메이드인 코리아 ‘사이보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4.11.10
책임연구원은 생체모방기술을 활용해 나노 소자로 사람의 부동섬모(달팽이관 안에 있는
특수
섬모)와 동일한 센서를 개발하고 이 센서로 인공 와우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이렇게 개발한 인공 와우를 고양이에게 이식해 성능 확인 시험을 마친 뒤 현재 임상 시험 중이다. 또 달팽이관의 ... ...
종이처럼 접히는 마이크로 로봇 나왔다
2014.11.06
- 한국연구재단 제공 연구팀은 이 로봇을 만들기 위해 ‘하이드로젤 스마트 시트’라는
특수
물질을 먼저 개발했다. 이 시트는 30~32도에서는 평면이지만 온도가 25도로 떨어지면 주위 수분을 흡수해 팽창하며 로봇으로 변한다. 온도를 다시 올리면 평면으로 돌아간다. 게다가 하이드로젤 스마트 ... ...
팔뚝에
특수
밴드 찼더니 아바타가 똭!
2014.10.24
KIST) 선임연구원은 ‘아바타 프로젝트’를 선보였다. 한 연구원이 팔꿈치 바로 아래에
특수
밴드를 차고 팔을 움직이자 화면에 떠 있던 캐릭터가 아바타처럼 그의 동작을 따라했다. 이 밴드에는 움직임을 인식하는 센서가 달려 있어 근육에서 나오는 전기신호를 읽는다. 김 연구원은 “원격 회의나 ... ...
태양전지에 레드 양자점 붙였더니…
2014.10.23
태양전지의 효율을 그만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 태양전지는 소재에 따라
특수
한 파장만 흡수할 수 있다. 손 연구원 팀은 카드뮴 셀레나이드(CdSe)을 이용해 붉은 색 파장을 흡수하는 레드양자점을 3색 양자점 중 가장 먼저 개발해 유기태양전지에 붙였다. 레드양자점은 빛을 흡수할 뿐 ... ...
[2014 국정감사] 정부 출연연, 에볼라에 사실상 무방비
2014.10.16
에볼라 바이러스 같은 고위험성 바이러스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생물안전도 4등급(BL4)의
특수
연구시설이 필요한 데 반해 국내에는 이런 연구시설이 전무한 실정이다. 단기적인 성과와 돈 되는 연구만 강요하는 연구 환경도 지적됐다. 이런 연구 환경에서는 성과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는 ... ...
인공신경망 화상인식 시스템 세계 최초 개발
2014.10.15
활용해 뇌처럼 작동하는 하드웨어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소자는 메모리 기능을 하는
특수
한 저항으로 시냅스처럼 신호의 세기를 조절해서 기억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번에 개발한 화상인식 시스템은 디지털 카메라의 센서로 정보를 받아들인 뒤 멤리스터로 신호의 세기를 ... ...
전자회로 끊어지면 레이저 포인터로 딱 2분만!
2014.10.15
이 교수는 “자기회복 전기회로기술은 기존에도 연구되고 있었지만 높은 열이 필요해
특수
장비가 필요하고 해로운 화학약품 등을 써야 했다”며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레이저를 이용한 전기회로를 개발한 것은 이번이 세계적으로도 처음”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재료 분야 학술지인 ... ...
영화 ‘메이즈 러너’처럼 기억 지울 수 있을까
2014.10.10
기억이 지워진 셈이다. 멜로니 교수는 “제논 가스는 뇌 신경세포 안에 있는 NMDA라는
특수
한 단백질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다”면서 “NMDA는 공포 기억을 형성하고 재현하는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도네가와 스스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팀은 뇌를 조작해 감정도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을 ... ...
3년 만의 개기월식…서울시, 천체 망원경 20대 동원 ‘관측행사’
동아닷컴
l
2014.10.08
행사를 연다. 행사에는 천체망원경 20대와 전국에 한 대뿐인 천체망원경 두대를 탑재한
특수
차량 스타카(이동 천문대)도 동원할 예정이다. 한편 다음 한국에서 관측이 가능한 개기월식은 2015년 4월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3년 만에 개기월식 소식을 들은 누리꾼들은 “3년 만에 개기월식, 오늘 ... ...
헉! 전자기파 쪼이니 체세포가 줄기세포 되네
2014.10.06
이 전자기파는 우리의 DNA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일까. 연구팀은 지구 자기장을 상쇄한
특수
한 환경에 세포를 두면 환경변화에 의한 세포 속 유전자의 변화가 지체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전자기파가 세포 속 유전자의 변화와 깊은 관계가 있다는 뜻이다. 김 교수는 “오보카타 주임의 연구부정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