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취
부식
감화
소량 가미
옮겨 붓기
주사
포화
뉴스
"
주입
"(으)로 총 1,481건 검색되었습니다.
원하는 빛만 흡수하는 광소자 개발
2015.03.22
합성 조건에 따라 껍질의 두께와 주기를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 가스
주입
량이 많아지면 나노선 껍질의 주기가 짧아지고, 온도를 높이면 껍질의 주기가 길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박 교수는 “나노선 합성이라는 새로운 연구분야를 개척했다”면서 “특정한 빛만 민감하게 ... ...
신생아 ‘조절 T세포’ 효과 첫 입증
2015.03.20
손상 정도가 급격히 줄어드는 현상을 확인했다. 반면 성체 쥐에서 얻은 조절 T세포를
주입
했을 때에는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다. 동일한 조절 T세포라고 해도 성인보다는 신생아의 조절 T세포가 면역 조절 기능이 더 뛰어나다는 사실이 처음 밝혀진 것이다. 양 박사는 “자가면역질환을 효과적으로 ... ...
‘도핑’은 나쁘기만 한 걸까요
2015.03.10
‘p형 도핑 기술’을 찾아냈다고 10일 밝혔다. 기존 도핑 방식은 물리적인 힘으로 이온을
주입
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2차원 반도체가 깨질 수 있고, 도핑의 농도를 섬세하게 조절할 수 없어 지나치게 고농도로 도핑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도핑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반도체의 특성이 금속과 ... ...
정신분열증에도 ‘사랑 호르몬’이 藥
2015.03.04
장기적인 유대관계를 유지하는 일부일처제 습성이 있다. 그 결과 멜라노코르틴이
주입
된 들쥐는 짝짓기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다른 성별의 들쥐와 마치 부부가 된 것처럼 유대관계를 유지했다. 멜라노코르틴이 옥시토신이 분비되도록 뇌를 자극해 들쥐가 짝짓기 없이도 부부가 된 것처럼 행동한 ... ...
“누구나 ‘가슴’ 하면 그녀를 떠올릴 수밖에”
2015.02.27
핵을 집어넣는 건데요. 일명 ‘핵치환’ 기법입니다. 비어있는 난자에 체세포의 핵을
주입
하는 핵치환 기법 - 영국 네이처 제공 그런 다음 전기(電氣)를 가해 핵과 난자를 융합하는데요. 이렇게 얻은 수정란은 마치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한 것처럼 세포분열이 일어납니다. 이 수정란을 다시 ... ...
진로탐색 위해 도입한 ‘자유학기제’ 시행해보니… 스마트폰 중독 억제하고, 사고력 높아져
동아일보
l
2015.02.12
결과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서울지역에서 자유학기제를 적용하는 학교는 한 학년을
주입
식 수업 대신 토론을 늘리고 학교 밖 체험 기회를 늘리기 위해 현장 체험 진로 교육을 자주 실시한다. 김 교수팀은 “자연스럽게 학생들이 수업의 중심이 되면서 스스로 문제를 풀어 내려는 의지와 흥미를 ...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이젠 진짜 상용화
2015.02.10
가능할 만큼 넓게 펼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금형 판 사이로 물질 용액을
주입
해 용액 물질을 기판 위에 일정한 두께로 코팅하는 ‘슬롯다이코팅 공정’과, 휘어지는 플라스틱·금속 박막 형태의 롤에서 전자소자를 만드는 ‘롤투롤 공정’을 이용해 기존 연구용보다 400배 큰 40㎠의 ... ...
난치병 ‘중풍’ 치료제 개발 가능성 열었다
2015.01.28
발견했다. 이 원리를 이용해 실험용 쥐의 핀1 단백질의 발현을 막는 ‘저해제(Juglone)’를
주입
하자 신경조직의 손상이 3분의 1이하로 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임상시험을 거치면 뇌졸중 환자의 뇌신경 보호를 위한 약물개발이 가능해진 것이다. 조 교수는 “이번 연구로 허혈성 뇌졸중에서 ... ...
타는 목마름으로…갈증 조절하는 뇌세포 발견
2015.01.27
VGAT 세포군이다. - 컬럼비아대 제공 우선 쥐의 뇌활밑기관에 빛에 민감한 단백질을
주입
하고 혈압과 전해질 균형을 유지할 만한 충분한 물을 공급했다. 그런 뒤 푸른색 레이저를 이용해서 뇌활밑기관에 있는 특정 세포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진이 ‘CAMK11’라고 부르는 ... ...
“세계는 줄기세포 전쟁중… 미국에만도 연구팀이 1000개 이상”
동아일보
l
2015.01.26
제거하고 그 자리에 유전적 질환을 가진 아이 1명과 태아들에게서 채취한 피부세포를
주입
해 모두 6개의 복제배아를 만들어냈다. 그는 이 연구 결과를 2013년 과학전문지 ‘셀(Cell)’에 발표하면서 일약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올라섰다. 과학 잡지 네이처가 ‘2013년을 빛낸 과학계 인물 10명’ 안에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