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094건 검색되었습니다.
‘비만 잡는 청경채’ 스마트팜에서 재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4.11
노출 시간과 수분 공급 기간을 여러 방식으로 조합해 6주간 실험한 결과 하루 20시간 동안
빛
을 쪼이고 4시간 동안 어두운 상태를 유지할 때 가장 잘 자랐다. 이때 생산량은 최대 2배 이상 늘었다. 반면 일주일에 12시간씩 수분 공급을 줄이자 청경채의 발육은 더뎠다.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수상한 감마선 폭발의 정체를 쫓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1
추정되는 위치가 기존에 관측했던 감마선 폭발 장소보다 가까웠고 감마선 폭발로 방출된
빛
의 세기가 훨씬 크고 마이크로초(1마이크로초는 100만 분의 1초) 단위로 변했다. 케빈 헐리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 버클리) 우주과학연구소 연구원과 드미트리 스빈킨 러시아 이오페연구소 연구원을 ... ...
구리를 360가지 색으로 알록달록하게 만드는 법
과학동아
l
2021.04.09
만드는 데 성공했다. 구리의 산화층 두께에 따라 구리와 산화층 경계에서 반사되는
빛
이 각기 다른 파장을 가지면서 나타난 현상이었다. 산화 방향을 제어하는 과정에는 산화-식각(oxide-lithography) 기술이 사용됐다. 산화-식각은 레이저로 특정 영역을 선택적으로 산화시키는 기술이다. 이때 레이저 ... ...
달에 인터넷 구축 추진하는 미국, 한국 달 궤도선 우주인터넷 기술에 '눈독'
동아사이언스
l
2021.04.09
먼 거리를 이동하며 중간에 끊길 위험이 있는 것도 문제다. 화성에서 지구로 전파를
빛
의 속도로 전송하는 데 최소 5분 이상 걸리는데 현재 우주 통신체계에서는 중간에 데이터 전송이 끊기면 처음부터 다시 전송해야 한다. 우주인터넷은 여러 대 탐사선과 위성 등을 지구의 중계기처럼 쓴다. 우주 ... ...
이광형 KAIST 총장 “전공 10% 덜 공부하더라도 책 한 권 더 읽는 환경 만들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8
빛
나면 봐주는 사람이 없다”며 “KAIST가 100주년이 됐을 때는 독특한 고유의
빛
깔로
빛
을 내는 존재가 돼 있을 것”이라며 “이를 위해 임기 중에는 구성원의 의식 전환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이 총장의 임기는 4년이다 ... ...
햇
빛
차단해 온난화 막는 세계 첫 ‘기후조작’ 시험 제동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증가를 초래해 해양 산성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연구진은 또 “햇
빛
을 인위적으로 조정하는 지구공학 기술이 기후변화를 해결할 특효약은 아니다”라며 “이 연구가 기후학자와 생태학자 사이의 협력과 논의의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미국 ... ...
실리콘 태양전지 대체할 ‘페로브스카이트’, 상용화 또 한 걸음 '성큼'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만들 수 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이
빛
을 흡수해
빛
을 전자(음전하)와 정공(양전하)으로 나뉘어 이들이 이동할 때 전기가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상용화된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소재가 값싸고 저온 공정을 통해 손쉽게 제조할 수 있어 실리콘 태양전지를 ... ...
청색 LED 최초 개발해 노벨상 받은 아카사키 이사무 교수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21.04.04
개발됐지만 청색 LED는 그 뒤로 오랫동안 개발되지 않았다. 질화갈륨을 이용하면 청색
빛
이 나온다는 사실이 알려졌지만 실용화할 정도로는 효율이 나오지 않았다. 아카사키 교수는 나고야대 교수로 일하던 중 당시 대학원생이던 아마노 히로시 나고야대 교수와 값싸게 만드는 고품질 질화갈륨을 ... ...
[인터뷰] "무관심하되 항상 보라" 식물을 잘 키우는 비결
과학동아
l
2021.04.03
가드너가 직접 이 작업을 해 주는데, 깜깜한 연못에 들어가 4살된 딸이 비춰주는 랜턴
빛
에 의지하며 딱정벌레처럼 꽃가루를 옮겨주던 그 한밤의 정적을 지금도 잊을 수 없어요.” 박 실장은 운영과 연구, 정원 연출 등을 체계적으로 배우고자 30대 후반의 적지 않은 나이에 세계적인 미국 ... ...
[과기원은 지금] UNIST, 메타물질 변형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4.02
수 있는 원천기술을 확보했다고 1일 밝혔다. 메타물질은 음의 굴절률을 가진 소재로
빛
을 일반적인 굴절 방향과 다른 쪽으로 휘게 만들어 ‘투명망토’ 기술로 불린다. 김 교수팀은 메타물질의 미세구조에 얇은 틈을 만들어 압력을 이용해 미세구조를 선형, 사각형, 링 구조 등으로 다양하게 바꾸는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