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긍
승인
인정
찬성
시인
승낙
동의
뉴스
"
긍정
"(으)로 총 1,434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극과 미술에 '풍덩' 뛰어든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2.24
소재로 한 연극이나 예술 작품 등이 최근 늘고 있다. 과학 대중화와 과학문화 확산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극단 '이미지헌터빌리지' 윤푸빗 대표 - 전준범 기자 제공 극단 ‘이미지헌터빌리지’가 만든 어린이극단 '햇살'은 지난달 서울 역삼동 역삼1문화센터에서 어린이 ... ...
“권위 없앤 수평적 문화가 과학기술 바탕 이스라엘 창조경제 견인”
동아사이언스
l
2014.02.21
대해 끈질기다”며 “여기에 사교적 성향과 격식 없이 토론을 즐기는 문화까지 더해져
긍정
적 경쟁 환경이 사회 전반에 퍼지게 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OECD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의 모든 분야에서 1, 2위를 기록하는 한국과 달리 이스라엘은 거의 꼴등 수준”이라며 “이는 문제 푸는 ... ...
[글로벌 마켓 뷰]亞신흥국 대기오염 번질수록… 클린에너지 사업도 무럭무럭
동아일보
l
2014.02.20
중장기적으로 아시아에서도 클린에너지 관련 수요는 계속 커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긍정
적인 부분은 기술이 발달하면서 클린에너지 원가가 과거보다 크게 낮아졌다는 점이다. 아시아 성장 스토리가 지속된다고 보면 중장기적으로 클린에너지 관련 비즈니스 및 투자가 유망할 것으로 보인다. ... ...
스마트폰·태블릿 뜨고 카메라·MP3 진다
동아일보
l
2014.02.17
증가에도 불구하고 생산 증가율은 내년부터 1.5%~3%로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은
긍정
적인 전망은 올해 제조업체들이 여러 종류의 인터넷 연결기기 생산 계획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IHS의 IT 담당 수석 애널리스트 저그디쉬 레벨로(Jagdish Rebello) 박사는 “사람들은 한시도 인터넷과 단절되지 ... ...
악몽과 개꿈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2.04
있다는 것. 그럼에도 악몽 자체가 병은 아니라고 한다. 조사결과에도 있듯이 악몽이
긍정
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경우도 4.5%나 됐다. 반복되는 꿈을 통해 나쁜 기억이 점차 소멸돼가는 과정이 개꿈의 격렬한 형태인 악몽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는 말이다. 다만 개인에 따라서 잠드는 게 두려울 ... ...
KAIST도 세종시에 가나?
동아사이언스
l
2014.02.04
입주 시도에 대해 찬반 양론이 여전히 팽팽하다. ‘과학중심 대학인 KAIST의 도전을
긍정
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입장과 ‘이미 서울과 대전에 3개의 캠퍼스를 운영 중인 KAIST에 또 다시 분원 설립을 허용하는 건 타 대학과의 형평성 원칙에서 어긋난다’는 지적이 바로 그것. KAIST 관계자는 “대전 ... ...
블랙박스, 프라이버시의 새로운 논란거리로 떠오를까?
동아일보
l
2014.01.20
파악해 긴급 상황에서 운전자를 구하거나 위험한 범죄 용의자들을 추적하게 해주는 등의
긍정
적인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그들의 운전 패턴, 속도위반 여부가 자동차 회사에 노출되거나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사생활 침해의 대상이 되는 것을 꺼린다. 맬러리는 “경계와 ... ...
과학의 역사는 천재가 아닌 대중이 만드는 것!
동아사이언스
l
2014.01.19
말은 위풍당당하고 경제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풍요로운 사람을 상징하는
긍정
적인 단어였다. 그러나 이제 ‘뚱뚱하다’는 말은 말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에게 ‘혐오’와 ‘모멸’의 느낌을 주는 부정적 단어가 됐다. 이유가 뭘까. 이 책은 비만에 대한 현대인의 인식 변화를 비롯해, ... ...
[에디터칼럼] 방사능보다 무서운 붕어빵 반죽
동아사이언스
l
2014.01.14
심리학 용어 중 ‘부정성 효과(negativity effet)’라는 것이 있다. 사람들은 대개
긍정
적인 것보다 부정적인 것에 더 영향을 많이 받고 오래 기억한다는 것이다. 남녀관계에서 ‘열 번 잘해봐야, 한 번 잘못하면 끝’이라는 말과 다르지 않다. 신뢰에 대한 대중의 심리도 다르지 않다. 특히 ... ...
역사를 바꾼 철도의 자기 고백
동아사이언스
l
2014.01.12
공국 인구가 크게 늘어난 것도 철도가 1870년 몬테카를로까지 이어진 덕분이다. 물론
긍정
적인 기억만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은 아우슈비츠 철도를 통해 수백만 명을 폴란드의 집단 처형장으로 운송했다. 이 중에는 독일의 강제 통치에 반발해 집단 파업을 벌였던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