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여
간섭
참견
가입
관계
개입
뉴스
"
관여
"(으)로 총 1,791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프리카 하드자 족에겐 있고, 도시인에겐 없는 것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8.27
장내미생물 구성에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도시 인구의 장에는 스트레스에
관여
하는 균인 ‘박테로이다세’가 장내 미생물의 21%를 차지하며 지배적이었지만, 하드자 족의 장내 미생 중에선 0.8%에 불과했다. 하드자 족이 가진 박테리아 중 2종은 도시 인구의 미생물 속에선 거의 발견되지 ... ...
‘과학기술혁신본부’가 뭐길래?…과기정책 컨트롤타워, 어떻게 흘러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8.12
차관급이지만 장관급 이상만 참석하는 국무회의에도 배석돼 중요한 국가 정책 결정에
관여
할 수 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가 상정한 안건에 대한 예비검토를 맡는 등 실무도 지원한다. 과기정통부 내에서뿐만 아니라 국가 전체를 놓고 봐도 매우 중요한 위치인 셈이다. ☞관련 기사: 미래부에 ... ...
혹성탈출 보기 전 알아두면 좋은 과학지식 셋
동아사이언스
l
2017.08.11
11일자에 발표했다. 기억력과 관련된 ‘후각주위피질’과 타인의 감정 이해에
관여
하는 ‘측두극’이 익숙한 얼굴을 바라볼 때 활성화됐다. 랜디 교수는 “익숙한 사물을 볼 땐 이 두 부위가 활성화되지 않는다. 동료를 구분해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둘. 침팬지의 힘은 사람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범주화하는 방식으로 한계가 있다”며 “종이 아니라 균주의 차원에서 생체이물 대사에
관여
하는 효소를 찾고 그 반응의 분자 메커니즘을 이해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장내미생물의 생체이물 대사가 우리 건강에 상당히 중요하다는 건 알겠는데 아직은 내 건강관리로 이어질 방법이 마땅치 ... ...
당신이 공포영화를 못보는 ‘겁보’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8.04
vimeo 제공 공포는 외부 자극에 대한 뇌의 방어 활동의 결과로 나타나는 감정이다. 공포에
관여
하는 대표 뇌 부위는 ‘편도체’다. 이 편도체가 얼마나 예민한지에 따라 용자와 겁보가 갈린다. 외부 자극에 편도체가 쉽게 반응하는 사람은 겁보, 무딘 사람은 용자가 되는 것이다. 이 예민함을 ... ...
도쿄대 와타나베 요시노리 교수 논문 조작 파문…아시아 3국은 논문 조작 중?
2017.08.03
사람에 대한 징계위원회를 열고 처분을 논의한다고 발표했지만, ‘교수가 직접 조작에
관여
했다기보다 박사과정생의 연구에 대한 관리, 감독이 미흡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발표해 빈축을 사기도 했다. 중국의 경우 나라 크기만큼 논문 조작도 스케일이 남다르다. 중국 과학기술부는 약 4개월 전 50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시작해 14일이 되자 완전히 사라졌다. 연구자들은 이 과정에서 ‘PlexA1’이라는 유전자가
관여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렇다면 이 유전자 스위치를 끄면 성장과정에서 회로가 유지돼 생쥐도 사람처럼 손가락을 움직일 수 있게 될까. 이 유전자의 스위치가 꺼진 변이 생쥐를 만들어 실험한 결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건 아니다. 한편 선충에서 열감각(온도) 정보를 전달하는 AFD 뉴런이 습도 해석에도
관여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AFD 뉴런에서 발현하는 tax-4라는 유전자를 고장 내면 선충은 습도를 제대로 알아채지 못한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선충이 툰베리의 가설을 입증한 첫 사례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사람의 ... ...
식욕 낮춰 비만 막는 인슐린의 능력
동아사이언스
l
2017.07.19
Medical Centre Hamburg-Eppendorf 제공 그 결과 인슐린을 투여한 그룹에서 쾌락과 보상심리에
관여
하는 복측피개영역(VTA)과 측위신경핵(NAc) 부위의 활성이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흥분을 전달하는 물질인 도파민에 반응하는 신경세포가 줄었기 때문이라 분석했다. 인슐린이 음식을 먹은 뒤 ... ...
[카드뉴스] 유전자가 말할 수 있는 진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16
대체로 회의적입니다. 지능이나 기억 같은 고등 정신능력은 여러 유전자가 복합적으로
관여
하는데다 메커니즘조차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체력 유전자로 알려진 ‘ACE’ 유전자가 ‘강’이면 체력이 강하다는 이야기도 근거가 불분명합니다. 체력적으로 유리한 조건일 ‘확률’이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