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현지
장식띠
지점
작업장
공사장
곳
d라이브러리
"
현장
"(으)로 총 2,615건 검색되었습니다.
경험하라. 학교가 기회를 줄 테니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유네스코 협동학교로서 평화 인권, 국제이해에 기반을 둔 유네스코 이념과 철학을 학교
현장
에 접목했다. 유네스코와 유네스코 한국위원회에서 하는 다양한 행사에 참여한다. 또한 유네스코에서 섭외해준 외국인으로부터 다른 나라의 문화를 배우는 ‘외국인과 함께하는 문화교실(CCAP)’도 ... ...
수학이 살아 숨쉬는, 여기는 이탈리아!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되면 그림자는 자오선 위의 숫자를 가리켜 그 날의 날짜를 알려 주기 때문이다. 직접 그
현장
을 보기 위해 시간에 맞춰 성당으로 향했다.정말 정오가 되면 햇빛이 정확히 자오선 위의 숫자를 비출까? 거룩한 성당에서 숨을 죽이고 빛이 비추는 곳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지켜보았다. 드디어 정오가 ... ...
건설환경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인프라의 설계를 담당하는 엔지니어링 회사 또는 시공을 담당하는 건설회사에 들어가
현장
을 체험할 수도 있고 공무원 시험을 통해 국가 정책 입안을 담당할 수도 있다. 연구소나 설계회사의 문도 학사학위 취득자에게 열려있다 ... ...
사실이 우선이다! 의견·주장은 거들 뿐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주제, 과학자(전문가)를 과학동아 동아리 회원들과 상의해 신청서를 보내주세요. ‘
현장
취재’ 지원 자격은요? 교내 과학동아 동아리 신청을 한 청소년 기자라면 누구나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과학동아 홈페이지에 있는 신청서를 작성해서 ds@dongascience.com으로 언제든지 보내주세요. 개인 신청은 ... ...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연구가 내린 결론은 너무나 상식적인 얘기다. 그러나 지난 수십 년 동안 우리나라의 교육
현장
은 이런 상식을 무시하며 학생들과 교사들을 ‘성적의 싸움터’로 내몰아왔다. 청소년 뇌 발달 연구에 기초한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이 어느 때보다도 시급하다 ... ...
PART 3. 반려동물이 가져다 준 행복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건강하도록, 혹시 건강을 잃었다면 다시 회복할 수 있게 돕는다. 치료와 변화가 일어나는
현장
을 다녀왔다.3지난 1월 7일, 인천에 있는 정신병원인 은혜병원을 방문했다. 반려동물과 환자들의 동물매개활동을 취재하기 위해서다. 이날은 서울 호서전문학교 동물매개사회복지과 학생들이 봉사활동을 ... ...
재난 앞에서 우리는 왜 똑똑하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것이 그들의 생존전략이었던 셈이다.긴장형 인간은 주변에서 조난구조활동을 할 때까지
현장
에 얼어붙어 있기 때문에 주변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 정신분석학적으로는 불안상황에서의 퇴행(regression)이라고 한다. 무기력한 아이로 돌아가서 주변에 있는 힘 있는 사람의 도움을 원하는 것이다 ... ...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독립적으로 여러 번 나왔다는 점이 흥미롭다”고 논평했다.[2011년 12월 13일 공개 세미나
현장
. 이 자리에서 CMS와 ATLAS의 실험 결과가 발표됐다.]빠르면 올해… 그 이후는?물리학자들은 예상하던 결과였다는 반응이다. ‘LHC, 현대 물리학의 최전선’이라는 책을 쓴 이강영 건국대 물리학부 연구교수는 ... ...
Part1. 2049 인류 최초 화성 기지 '웰즈'의 기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물론 우주복을 입은 채로지만. 의무실이 있는 돔을 나오자마자 보이는 새 돔 건축
현장
에 건설 전문 대원이 큰 관심을 보였다. 현재 우리가 화성에서 짓고 있는 건물은 모두 돔 형태다.정확히 말하면 미국의 공학자 벅민스터 풀러가 고안한 지오데식 돔이다. 삼각형 프레임이 구의 표면을 덮고 있는 ... ...
“외국 학생들이 유학 오는 대학으로 발전할 것”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나노 및 펨토 크기의 물질을 관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2014년 완공을 목표로 구축중이다.
현장
을 소개한 진숙현 홍보팀장은 방사광가속기의 존재 의의를 한 사례로 설명했다. 재작년 전세계를 강타했던 신종플루 치료약인 ‘타미플루’가 단기간 내에 개발돼 보급될 수 있었던 이유가 방사광가속기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