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발전
성장
향상
전개
발육
화재진압
d라이브러리
"
진화
"(으)로 총 3,203건 검색되었습니다.
잡생각 많은 당신, 걱정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디폴트 네트워크는 뇌에서 가장 늦게
진화
한 대뇌피질에 놓여있고 특히 인류의 뇌
진화
에서 급격히 팽창한 전전두엽과 측두엽이 여기에 속하기 때문이다.뇌에서 언어를 담당하는 대표적인 영역 역시 바로 디폴트 네트워크에 포함돼 있다. 즉 언어를 담당하는 브로카 영역은 좌뇌 전전두엽에 속하고 ... ...
과학동아로 논술과 입학사정관제 준비하기-바이러스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존재다. 유전 물질인 핵산을 복제해 증식하며 돌연변이가 일어나 환경에 적응하고
진화
할 수 있지만, 세포로 이뤄져 있지 않아 숙주세포 밖에서는 활성이 없는 결정 구조이며 대사 효소와 단백질 합성 기구가 없다. 바이러스의 일반적 생활사는 흡착→침투 및 껍질벗기→합성→조립→방출의 순서로 ... ...
아이 러브 ♥ 고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인류는 ‘아포지방단백질’이라는 물질을 이용해 기름진 음식을 소화할 수 있도록
진화
했습니다. 아포지방단백질은 마치 세제처럼 지질에 결합한 뒤 이를 혈관에서 치워 피를 깨끗하게 합니다. 특히 혈중 지단백질을 낮추는 데 가장 효율적인 형태의 아포지방단백질 유전자는 150만 년 전에 ... ...
피부는 장식이 아니야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네안데르탈인에 대한 뉴스가 심심치 않게 나온다. 이번 달에도 그들의 예술 능력에 대한 과학뉴스가 실렸다(20쪽). 과학동아는 작년 3월 네안데르탈인 특집 ... 인류
진화
연구를 주도했다는 이야기는 들은 적이 없다. 우리는 생각보다, 우리의 과거나
진화
에 대해 관심이 없다는 생각이 든다 ... ...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우주 팽창을 이긴 지역이다. 이 지역을 확대해 더 정밀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면, 별의
진화
과정까지 추적할 수 있다. 그런데 요시다 교수는 질문을 던졌다. 네 개의 우주 중에서 어느 것이 진짜 우주인가? 현재까지 정답률은 25%에 불과했다. 무작위로 찍었을 때의 확률이므로 구분이 불가능하다는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자체가 매우 흥미로운 천체인 동시에 은하의 탄생과
진화
에 큰 역할을 한다. 즉 우주의
진화
과정에 다방면으로 얽혀 있는, 우주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천체라고 할 수 있다. 아직도 수수께끼투성이이기는 하지만 앞서 소개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에서도 거대질량 블랙홀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 ...
남자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사람의 Y염색체를 비교했다. 붉은털원숭이는 2500만 년 전에 사람과 갈라져
진화
했다. 결과는 희망적이었다. 사람이 잃어버린 유전자 중에서 붉은털원숭이가 아직 지니고 있는 유전자는 하나에 불과했다. 2500만 년 동안의 변화가 그다지 크지 않았던 것이다. 앞으로도 이런 비율을 유지한다면 1000만 년 ... ...
말은 원래 고양이처럼 작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몸이 점점 작아져요. 추운 곳에서는 몸에 열을 더 많이 보존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화
하기 때문이에요. 이렇게 기후변화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는 동물은 포유류 전체에서 3분의 2나 된답니다. 즉 지구가 따뜻했던 시기를 지나 점점 추워지면서 말이 지금처럼 점점 커진 ... ...
모든 비과학에 맞선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않으면 그만 아닌가? 왜 굳이 (기적이) 일어났다고 말하는가?”도킨스는 생물의 다양성과
진화
, 천체의 특성,기상 현상의 원리 등 현실의 모습을 설명하며 거기에 얽힌 신화와 미신 이야기를 먼저 소개한다. 그리고 “정말(really) 그럴까”라며 과학적인 설명을 이어간다. 이것은 신화와 미신의 세계가 ... ...
Part 4. 와편모류 어떻게 바다의 지배자가 됐나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새로운 역할을 맡으며 공생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유전정보를 갖게 되는 생물체로
진화
했다는 것이다. 정 교수는 "와편모류는 실제로 사용하는 유전정보가 0.01%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엄청난 유전적 기능을 언제, 어떤 형태로 발현시키는지는 여전히 수수께끼"라고 설명했다.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